동물원의 팜
GS리테일 19
리포트9달 전
GS리테일, 성우
[GS피앤엘] GS리테일에서 호텔사업 인적분할 분할이유: GS리테일이 편의점 상장사(BGF리테일), 호텔사업 상장사(호텔신라, 파라다이스 등)에 비해 상당히 저평가를 받고 있어 사업부를 분리하고 밸류업하겠다는 취지 GS리테일 시총: 2.2조원 BGF리테일 시총: 1.9조원 호텔신라 시총: 1.7조원 (호텔+면제점) 롯데관광개발 시총: 7500억 (호텔+동화면세점) 파라다이스 시총: 9800억 (호텔+카지노) 서부TD 시총: 4000억 (관광호텔

리포트2년 전
GS리테일, 암중모색
미보유편향 2023. 4분기 편의점 실적 안좋을 듯: 11월 날씨 추워서 편의점 매출 기대 이하 2023. 4분기 홈쇼핑 실적 안좋을 듯: 10월 날씨가 따뜻해서 홈쇼핑 매출 기대 이하 한국투자증권 김명주, 전예원 애널리스트 리포트 흡사 우산장수, 짚신장수 어머니 부동산 개발사업부는 PF 사태의 영향으로 보수적인 회계처리가 적용되며 일회성 손실이 2023. 4분기 실적에 반영될 가능성 있음 2022년 11월 2022 카라트 월드컵이 있었다는 사

리포트2년 전
GS리테일, 아무 생각
미국 소비는 괜찮다는데 (NH투자증권, 나정환, 정여경) 코로나19 이후 미국 초과 저축은 해소되어서, 미국인들 저축한 돈은 없어졌다. (미국은 원래 저축 안하는게 국룰) 그러나 여전히 미국 소비 심리는 괜찮다. 2022년 중반 이후 소비 심리는 계속해서 개선되는 추이 왜냐하면? 물가가 올라도, 미국인의 실질 가처분 소득이 오르고 있다 미국 주택가격도 계속 올라서 2023년 최고시 경신 중 물론 코로나 이후처럼 내구재 소비가 좋지는 않다. 전자

리포트3년 전
GS리테일의 ESG 채권 발행
GS리테일이 ESG 채권을 발행한다. 처음 4월 22일에 ESG 채권을 발행한다고 공시를 했는데 1주일 후 수요가 많다면서 발행금액을 늘렸다. 채권의 세부내용을 본다 1차 일반채권 총액 1500억 KB증권, 삼성증권, 한투, NH투자증권, 신한금투, 키움, 6개 증권사가 나누었다. 상환기일은 2025년 5월 4일. 3년간 사용할 수 있는 돈이다. 2차 ESG채권 1000억원 일반채권 인수자와 동일한데 키움증권이 빠졌고 미래에셋 증권이 높은 비율

리포트3년 전
임창정 막걸리와 박재범 원소주 (유통 혁신과 편의점)
1. 임창정 막걸리 제조사: 조은술세종 (임창정과 함께 개발했다고 주장) 막걸리 + 미숫가루 섞어서 슬러쉬 형태로 꿀미숫가루 막걸리 2022. 4. 23 신세계 파주 프리미엄 아울렛에서 판촉 성공 5월 10일부터 세븐일레븐과 미니스톱에서 판매 이런 브랜드를 판매할 때 가장 문제가 되는 건 유통망인데 곰맥주 성공 이후 편의점이 적극적 2. 박재범 원소주 제조사: 원스피리츠 (CJ 출신 김형섭 대표+박재범이 만든 주류 스타트업) 2021년 4월 주

리포트3년 전
GS25, 성장하지 않는 회사라는 오해 (박재범 원소주)
편의점은 오프라인 공간을 기반으로 하는 산업이다보니 성장하지 않는 사양산업이라는 오해를 많이 받는다. 오늘 본 기사들 (1) 음식값이 비싸서, 식당 대신 편의점 도시감, 김밥, 컵라면 등 매출이 30~40% 증가하고 있다. 원두커피, 에너지드링크, 숙취해소제도 편의점의 주요 매출 중 하나이다. (2) 편의점 공간의 다양한 활용 오프라인 공간은 압축되며 기능이 합쳐진다. (3) 성장기대가 없는 GS리테일: 원소주의 성공 가능성? 이미 사람들은 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