퀘이사의 팜
투자관련생각(작성) 304
리포트4달 전
메가트랜드에서의 뇌동매매
메가트랜드에서 털린 경험! 변압기는 메가트랜드라고 생각했다. 그중에서 가장 대장주는 HD현대일렉트릭이라고 생각함. 그러나, 시장참여자의 변덕으로 인하여 충분히 가격 조정이 올수 있는 것이라 생각함. 그래서, 3월말에 조정을 줄 때에 30만원 부근에서 매수를 했음. 작년 4분기에 이연된 것도 있었고, 1분기 실적이 잘 나올거라는 리포트를 참조했음. ( 포인트는 변압기 산업이 죽지 않았다는 것이었음.. 그런데 기관 매도에 왜 팔았나요 ㅜㅜ) 33만

리포트6달 전
공매도 재개와 주가
2021년 5월 2일 (코로나 이후 20. 3. 16 ~ 21. 5. 2) 코스닥, 코스피 업종지수 2021년도에는 공매도 금지기간동안 코스피, 코스닥 지수가 급등을 하였다. 자세히 보면 코스닥지수는 공매도 재개 전주에 급락을 하였다. (코스피는 조금 빠진 수준) 대세 상승장에서 공매도 재개 영향은 3~4주 조정을 끝나고 지수는 재상승 한 후에 약 2~3달 이후에 급락을 함(이후 급락은 공매도와는 무관함) --- 공매도 재개보다는 지수가 상승할

리포트7달 전
투자자로서 날마다 나아간다는 것
투자자로서 어제보다 나은 오늘과, 오늘보다 나은 내일을 추구해야 한다 는 것을 느낀다. 다행이도 나는 발전하는 것에 좋은 느낌을 가지고 있어서, 그것을 거부하지는 않는다. 어제 장의 사례를 보면서 느낀 점은, 트럼프가 펜타닐을 언급한 것은 관세가 목적이 아닐수도 있다 는 것이다.. 는 것을 캐치해야 한다. 그리고, 헷지펀드들은 공매도로 수익을 낼 수 있다 는 것이다. 또한, 오늘내일 오른 장이 얼마나 지속될지도 생각해 보아야 한다. 시장이 예상
리포트7달 전
deepseek 과 스푸트니크 효과?
deepseek는 작년 8월경에 처음나왔고, 작년 12월에도 한번 주목을 받았다고 한다. 그런데, 갑자기 1월 말에 세상이 난리가 나는 것처럼 떠들썩한 이유가 무엇일까 생각해본다. 미국이 deepseek의 존재와 성능을 갑자기 알았을리도 없고, 나는 아주 라이트한 챗gpt 사용자지만, 잠깐 딥씩과 gpt를 비교해 보니 gpt가 우위에 있는거 같은데 마침 미국지수가 고점인 상황에서 조정의 빌미를 만든게 아닌가 싶기도 하고.. 중국이 아주 저가에
리포트9달 전
그냥 해보는 2025년 전망
25년은 개별주의 시대가 온다. (23~24년은 대 테마섹터 위주의 시대였다: 반도체, 2차전지, 화장품, 바이오 등) 25년에는 반도체(중국이슈), 2차전지(트럼프 이슈), 바이오(금리인하률 이슈) 등 대한민국의 큰 산업의 어려움이 예상됨. 이것은 대한민국에 큰 문제이다. (대외변수 얘기를 했지만, 대내적으로도 삼성전자의 기술이슈, 전기차 판매부진 이슈, 바이오주들의 임상실패, 현금부족 이슈 등이 있는데, 이것을 극복해 내는 회사중에서는 만약

리포트일 년 전
유가와 태광/성광벤드 (간략)
국제유가와 태광/성광벤트 주가는 어느정도 관계가 있는 거 같다. (오일/가스쪽 비중이 좀 되는 걸로) 성광벤트 보다는 태광의 주가 움직임이 베타가 심한 걸로 보인다. 내년 유가는 아무도 모르니... (유가급락이 지속되면 노터치가 좋을 거 같고), 이건 그냥 참고만 하는 걸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