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W
‘TW’ 일반글 검색결과

9할9푼9리
2년 전
석경에이티 1편, 나노소재, 글로벌 기술력, GPM 60% 수준
※ 기업 소개 시가총액 3,000억 수준, 나노소재 30년 연혁, 2020년 12월 IPO 올해 3월 고체전해질 소재 (붕산화물계) 개발 성공 및 특허출원, 도전재 모멘텀으로 급상승 이후 횡보 중 소재 강국인 일본에서 기본기를 쌓고, 일본과 미국 고객사 확보 후 국내 고객사로 확장 그리고 IPO까지. 특히 무기질 나노소재에서 글로벌급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다. ※ 경영진 소개 음주와 골프를 하지 않고, 가장 늦게 퇴근하고 직접 여의도에 설명회를

9할9푼9리
2년 전
석경에이티 4편, 전기차 TIM(방열소재)용 필러, 확장성
석경에이티 1편, 나노소재, 글로벌 기술력, GPM 60% 수준 | 오렌지보드 리포트 (orangeboard.co.kr) 2편 링크 석경에이티 2편, 나노팀과 TIM, 매출 추정 접근 방법 | 오렌지보드 리포트 (orangeboard.co.kr) 3편 링크 석경에이티 3편, 중공실리카, 통신용(5G, 6G), 디스플레이용(OLED 등) | 오렌지보드 리포트 (orangeboard.co.kr) ※ TIM 제품, TIM 필러 소재 ⓐ TIM 제품
아타락시아
2년 전
다시 돌아보는 <코메론> (feat. 저 PBR 퀀트)
올해 들어 저 PBR주들이 급 주목을 받고 있는 모습이 보여 필자도 재미삼아 저PBR 퀀트를 한번 돌려봤다. 오로지 " 내 맘대로 " 기준 설정을 했고 그 기준은 아래와 같다. PBR 0.5 미만 "현금성+금융" 자산 풍부 그래도 성장하는 기업 아무리 "저PBR 테마"라 할지라도 최소한 펀더멘털은 타협하고 싶지 않은 개인적인 의향이 반영 되어있다. (담배꽁초처럼 자산이 점차 소멸되가는 기업까지 사고 싶진 않으므로...) Note i) 2023년

9할9푼9리
일 년 전
석경에이티 유리기판, FR4, LCP필름, PI필름 CCL과 FCCL + 특허권, AI와 PCB
석경에이티 1편, 나노소재, 글로벌 기술력, GPM 60% 수준 | 오렌지보드 리포트 (orangeboard.co.kr) 2편 링크 석경에이티 2편, 나노팀과 TIM, 매출 추정 접근 방법 | 오렌지보드 리포트 (orangeboard.co.kr) 3편 링크 석경에이티 3편, 중공실리카, 통신용(5G, 6G), 디스플레이용(OLED 등) | 오렌지보드 리포트 (orangeboard.co.kr) 4편 링크 석경에이티 4편, TIM용 필러, 매출 추

바닷속우체부
일 년 전
슈프리마 : AI기술은 보안에도 필요하다. [글로벌 보안 전문기업]
슈프리마 입니다. 슈프리마 : 시가총액 1,730억 PER 6.81배 PBR 0.79배 부채비율 7.02% 당좌비율 649.7% 유보율 5,742% 슈프리마 홈페이지의 회사소개 글입니다. "세계 최고의 바이오인식 원천 기술을 보유 한 슈프리마는 업계를 선도하는 지문인식 기술과 얼굴 인증 기술을 기반으로 출입통제, 근태관리, 모바일 인증 등 다양한

오렌지보드
일 년 전
OSM.2024-06-No.21- 모니터링 포트폴리오!!!
1) 기존 오렌지보드 스톡 매거진을 분할하여 발행합니다. 독자에게 더 효용이 크다고 판단했습니다. 2) 편집인 레터는 편집인이 독자에게 전하고 싶을 생각을 담고 있습니다. 3) Editors Pick은 크리에이터가 제공한 보고서 중에서 선택하고,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부록 개념으로 제공합니다. *편집인의 역량 부족으로 선택의 폭이 좁을 수 있습니다. *하술한 내용은 이해를 돕기 위함입니다. 투자를 권유하기 위한 목적이 아닙니다. 4) 훑어보

금호동변강쇠95
일 년 전
[티앤엘] 옛 상처가 떠오르는 이유는
티앤엘, 옛 상처가 떠오르는 이유는 - 티앤엘은 고기능성 소재 전문 기업이다. 소재 기술을 통하여 창상피복제와 정형외과용 고정제 등을 제조, 판매하고 있다. 현 시점 티앤엘의 주력 제품은 하이드로콜로이드라 불리우는 습윤 드레싱제재 이다. - 무릇 중환자실 간호사라면,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드레싱제의 용례와 특성을 꿰고 있으리라. 임상 현장에서는 상처의 유형을 가리지 않고 습윤한 상처치유 환경을 만들어야 할 때 하이드로콜로이드를

수퍼노바
일 년 전
"딱히 영리한 짓을 할 게 없는 시기에는..." (하워드 막스)
저는 가치 투자자입니다. 저는 특정 상황에서 내재가치를 가늠하려고 노력해요. 내재가치에 비해 가격이 낮을 때 매수를 원하고, 내재가치에 비해 가격이 높을 때 매도합니다. 그 사이의 주요 결정요인은 무엇일까요? 그건 감정, 심리, 투자자 심리가 되겠죠. 만약 어떤 자산에 대해 사람들이 낙관적이고, 흥분해 있고, 강세를 외치면 가격이 내재가치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고, 그건 위험의 원인이자 기대 이하 수익률의 원인이 됩니다. 하지만 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