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임플란트] 한국 투자자가 반드시 알아야할 VBP 핵심 이슈 3가지

by 영리한황소

2022.08.24 오전 11:13

중국 임플란트 VBP 관련 이슈가 있는 부분이 있어서 중국 현지 기사 공유드립니다.

직접 기사를 읽어보시고 판단하시면 좋겠습니다.

이슈 1. 중국 내에서 임플란트 VBP 참여율은 저조하다.

일부에서는 중국 내에서 닝보시에서 VBP에 참여한 병원 숫자가 103개밖에 되지 않기에 의료시설의 VBP에 참여율이 매우 낮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이는 한국을 기준으로 생각하시니깐 오해가 발생한 것 같습니다.

중국은 인구가 14억명이지만 전국에 치과수는 83,000개소밖에 되지 않을 정도로 치과&치과의사 수가 부족하며, 이 중에서 임플란트가 가능한 치과의 비중은 2~30%로 더 부족합니다.

임플란트 자체가 다년간의 경험 & 특수한 분야이기 때문이죠.

이러한 내용과 인구수를 토대로 계산하면 닝보시 내에 임플란트가 가능한 병원의 숫자는 100개~140개로 추정됩니다.

닝보시 내에 임플란트 가능한 치과 수 추정치

이는 중국 현지 언론에서 밝힌 수치(138개)와 유사한데요.

중국 언론이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게 아니란 소리죠.

링크로 걸어드린 기사를 보면 기사에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宁波市共有103家医疗机构参与医保种植牙项目,占全市种植牙总量的75%左右。

의료 임플란트 사업에 참여한 의료기관은 닝보(寧波)시 전체 임플란트 수의 75%가량인 103곳이다.

파파고 번역

즉, 현지에 있는 임플란트가 가능한 치과는 국공립/사립을 불문하고 높은 비율로 참여하고 있다는 소리죠.

기사에서는 저 숫자가 국공립만을 대상으로 한 숫자인지, 사립병원까지 포함한 수치인지는 나와있지 않지만 제 계산상으로는 전체를 포함했을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즉, 지금 중국에서는 국공립/사립병원 구분없이 병원 자체는 VBP에 높은 참여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이렇게 참여율은 높지만 식립된 임플란트 갯수는 월 5개 정도로 매우 저조하다는 한계가 있는데요.

이 문제를 중국정부는 이슈2에서 언급할 "임플란트 식립 갯수 의무 비율"을 통해 해결하려 합니다.

이슈 2. VBP는 국공립 병원만 대상이지 사립병원 대상이 아니다.

原则上各统筹地区参加本次集采的医疗机构数(含民营)占开展种植牙服务医疗机构的比例应达40%以上,或本区域报送需求总量占上年度实际使用总量的比例达50%以上。

원칙적으로 각 총괄 지역에서 이번 집회에 참가하는

의료기관 수(사립 포함)는 임플란트 서비스를 전개하는 의료기관 중 40% 이상이 되어야 하며,

혹은 본 구역에서 전년도 실사용 총량 대비 총량 비율이 50% 이상이 되어야 한다.

파파고 번역

정리하면 중국 정부는 임플란트 '23년부터 적용될 VBP 제도를 발표하면서 3가지 조건을 내걸었습니다.

1. 지역 내에서 40% 이상의 의료기관(사립 포함)은 VBP에 참여해야 한다.

2. 지역 내에서 VBP를 통해 식립하는 임플란트의 수는 전년도 전체 임플란트 수의 50% 이상이여야 한다.

3. 참여를 원하지 않는 의료기관(사립 포함)은 서면 사유서를 제출해야 한다.

정리하면 처음 VBP가 시행되는 '23년까지는 국공립만을 대상으로 하지만 '24년부터는 사립병원도 저 영역에 포함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VBP에 참여는 했지만 임플란트는 심지 않은 병원들에게 조건 2, "임플란트 식립 갯수 의무 비율"을 적용해 VBP를 통한 임플란트 시술을 하도록 강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조건 3.을 통해 VBP제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기관은 제재를 가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료기관에게 알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재는 단순히 불참뿐만 아니라 앞서 말한 조건1, 조건2를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에도 가능합니다.

이슈 3. VBP로 피해보는건 스트라우만같은 유럽&미국 브랜드다.

기사를 보면 닝부시, 벵부시 VBP 모델 모두 스트라우만같은 유럽&미국 브랜드(이하 "서구 브랜드")는 참가하지 않고 중국&한국 브랜드(이하 "아시아 브랜드")만 참가했습니다.

애초에 서구 브랜드의 주 타겟 고객은 VBP를 사용할 고객이 아닙니다.

VBP가 시행되더라도 모든 치과는 VBP용 카달로그, 별도 카달로그를 동시에 비치할 수 있으며, 이 중 환자는 자기가 원하는 카달로그에서 임플란트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애초에 서구 브랜드의 고객은 이 별도 카달로그를 볼 수 있는 소수의 부자층입니다.

이들은 이빨을 위해서라면 2~3배의 가격을 지불하는 것에 거부감이 없기 때문에 VBP가 시행된다고 해도 별도 카달로그에서 서구 브랜드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오히려 VBP 제도 내에서 치열하게 경쟁할 아시아 브랜드들만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 경쟁이 공정한 경쟁같습니까?

아시아 브랜드 중에서도 중화권, 비 중화권 브랜드끼리 경쟁은 불공정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그리고 판매가격이 10~20% 하락한다고 생각하시는데, 기사를 보시면 중국 내부 언론들은 수입 소모품은 30~50%까지 인하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판매가격이 50%까지 하락하면 마진율은 얼마나 떨어질까요??

텔레그램 소개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영리한황소

고수

콘텐츠 499

팔로워 448

Young & Rich 황소자리 투자자입니다. 저렴한 주식을 정리해 두었다가 시장의 관심이 증가할 때 매수해 빠르게 수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추구합니다.
댓글 0
0/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