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칩스앤미디어] 사업보고서 훑어보기

by PhD

2022.05.05 오후 16:30

0. 기본정보

※ 네이버 증권

2003년 설립, 2015년 상장 후 비교적 지속적으로 우상향 중인 주가. 현재 시총은 1976억. 본사 소재지는 서울시 강남구이며 현재 대표이사는 김상현.

※ 칩스앤미디어 사업보고서

짧은 업력이지만 무상증자를 두번이나 했었다.

※ 칩스앤미디어 사업보고서

최대주주는 텔레칩스.

1. BM

※ 칩스앤미디어 사업보고서

반도체 IP(반도체 설계 자산, Silicon Intellectual Property)를 개발 및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 반도체 IP란 특정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반도체의 한 블록(영역)을 지칭.

※ 칩스앤미디어 IR자료

우리가 보는 반도체 하나는 내부에 여려 기능을 하는 별도의 반도체로 나눠져 있다. 이렇게 나눠진 블록 하나하나를 반도체 IP라고 이해하면 될듯하다. 동사는 이러한 블록 단위의 반도체 IP를 개발 및 판매하여 수익을 올리는 회사.

고객사에 동사가 반도체 IP를 공급할때 라이선스 매출이 발생하며, 고객사가 동사의 반도체 IP를 활용한 반도체 칩을 판매할 때 로열티가 발생한다. 라이선스는 1회성 매출로 보이고, 로열티는 지속적인 매출 같다.

여러 반도체IP 중 동사는 비디오 코데 IP, ISP (Image Signal Processing) IP, CP (Computaional Photography) IP, 컵퓨터 비젼 (Computer Vision) IP 와 같이 주로 영상과 관련된 반도체 IP를 주로 취급한다.

※ 칩스앤미디어 IR자료

동사가 제공하는 비디오 반도체 IP는 자동차, 영상가전, 보안, 모바일 등의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2. 산업의 특성

※ 칩스앤미디어 사업보고서

반도체 IP를 사용한다는 의미는 반도체 칩에 필요한 모든 기술을 칩 매이커가 직접 개발하지 않고 타인이 보유한 기술을 가져다 사용한다는 의미다. 타인의 기술과 본인이 과거에 개발해뒀던 기술을 재사용한다는 개념이다. 마치 완성차 업체가 모든 자동차 부품을 하나하나 개발하고 제작하여 자동차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부품은 다른 업체에서 구매하여 자동차를 만드는 OEM과 유사하다고 이해하면 될 것 같다.

이런 반도체 IP산업이 생겨나면서 물리적인 반도체 칩 개발 없이 반도체 IP만 개발하고 판매하는 당사가 영위하는 산업이 커지고 있다.

반도체 칩 메이커들은 본인들이 직접 개발하는 반도체 IP와 라이선스하는 IP를 활용하여 반도체 칩을 만들게 되었다.

※ 칩스앤미디어 사업보고서

기본적으로 반도체는 2~3년간의 개발과정을 거친 후 제조되어 매출이 발생한다. 따라서 반도체 IP 회사의 경우도 IP를 라이선스하는 최초 1회성 매출 이후 2~3년 후가 되어야 안정적인 로열티 매출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기본적으로 2~3년간의 선물의 성격을 띄는 사업. 따라서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팔리는 반도체 칩이 제조된다면 로열티가 꾸준하게 발생하고 cash cow의 역할을 하게 된다. 검증된 반도체 IP는 reference가 되어 추후 다른 회사, 다른 반도체 제품에 라이선싱 되기도 수월하다.


3. 산업의 성장성과 경쟁 업체

※ 칩스앤미디어 IR자료

반도체 IP 시장은 2020년 59억 달러로 평가되며, 2020년부터 2026년까지 CAGR 12.3%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동사가 집중하고 있는 비디오 반도체 IP의 전방 시장은 아래와 같다.

※ 칩스앤미디어 사업보고서

※ 칩스앤미디어 사업보고서

※ 칩스앤미디어 사업보고서

※ 칩스앤미디어 사업보고서

※ 칩스앤미디어 사업보고서

※ 칩스앤미디어 IR자료

동사는 전체 반도체 IP 업계에서는 매출액 기준 8위를 하고 있으며, 1위는 그 이름도 유명한 ARM. 비디오 IP만의 시장 통계는 따로 있지 않다. 비디오 IP 시장에서의 경쟁자는 중국의 Verisilicon과 프랑사의 Allegro가 있다.

중국의 Verisilicon은 구굴의 비디오 표준인 VP 파트너로 등록되어 비디오 코덱 IP 제품을 라이선스하고 있다. 원천 기술은 핀란드의 Hantro → 미국의 ON2 → 구글로 인수합병되었다.

프랑스의 Allegro는 비디오 기술을 테스트 할 수 있는 스트림을 제작하여 IP 업체나 반도체 칩 업체에 판매하는 회사다. 2013년 비디오 코덱 IP 제품을 직접 출시했고 2019년 동종업계 Amphion을 인수하여 규모를 키웠다.


4. 당사의 경쟁력과 기술력

디지털 기기에서 비디오를 처리하는 방식은 1) 범용 프로세서에 의한 소프트웨어 처리, 2) 전용 프로세서(DSP)에 의한 처리, 3) 전용 ASCI에 의한 하드웨어 처리

방법

장점

단점

범용 프로세서에 의한

소프트웨어 처리

  • CPU나 GPU 활용

  • 프로그래밍이 자유로움

  • 많응 양의 계산이 필요

  • 실시간 처리를 위해 높은 주파수 필요

전용 프로세서에 의한

소프트웨어 처리

  • DSP 전용 하드웨어

  • 소프트웨어 교체를 통한 업그레이드

  • 고해상도 요구에 따른 하드웨어 한계

전용 ASCI에 의한

하드웨어 처리

  • 고속 / 고해상도 영상 처리에 유리

  • 최적화된 면적으로 저전력 가능

  • 유연성과 확장성 부족

※ 칩스앤미디어 사업보고서

사업보고서를 보면 당사는 '전용 프로세서에 의한 소프트웨어 처리'에 가까운 방법을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인코더와 디코더의 공유 가능한 블록을 통합하여 면적의 우위와 저비용 설계를 가능하게 했다.


5. 당사의 사업 방향성

※ 칩스앤미디어 사업보고서

산업 전반적으로 반도체 IP의 수요가 커지는 방향으로 보인다. 이에 동사도 주력 제품인 비디오 코덱 IP와 유관한 IP들을 확보하여 하나츼 패키지로 공급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의 자율주행과 ADAS, 드론, 액션캠, 영상보인기기 등 카메라 센서가 적용되는 전자제품들이 당사의 주요 타겟이다. 이에 따라 ISP (Image Signal Processing) IPCP (Computational Photography) IP 확보를 우선으로 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Computer Vision 기술 제공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보인다.

  1. ISP IP

    • 카메라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에서 발생하는 왜곡 및 결함 등의 에러를 보정하는 기능

  2. CP IP

    • ISP로부터 출력된 영상의 화질 향상 기능

    • 조명이 낮은 환경에서 사물을 정확히 인식

    • 야간이나 급격한 밝기의 변화가 일어날때도 선명한 영상 제공

주요 고객층은 팹리스업체였으나 통신의 속도가 빨라지고 이에 따라 처리해야할 영상 데이터의 증가로 IT 플랫폼 업체들과 디자인 하우스들로 고객 다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 칩스앤미디어 IR자료

기술 예시


6. 매출 및 비용 관련 사항

※ 칩스앤미디어 사업보고서

1회성 매출인 라이선스 매출과 지속적인 매출인 로열티의 비율이 거의 5:5이다. 고무적인 것은 지속적인 매출 발생이 가능한 로열티 매출이 증가세다.

※ 칩스앤미디어 사업보고서

기본적인 계약 조건은 라이선스 + 로열티. 로열티 비중을 작게 할 수록 라이선스 가격이 올라가는 구조.

※ 칩스앤미디어 사업보고서

수출 비중이 매우 높으며 100% 직판.

※ 칩스앤미디어 사업보고서

주요 비용은 제품 개발에 필요한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비용. 이런 비용은 정기구독과 유사한 형태로 발생하기 때문에 대규모의 설비 투자는 없을지라도 지속적인 지출이 발생할 것 같다. 개발을 위한 자체 서버 비용도 필요할듯한데 이에 대한 언급은 없다. AWS 같은 것을 사용하나?


7. 재무제표 요약

버틀러

전반적으로 우상향하고 있는 실적. 2018년과 2021년 성장폭이 컸다. 2021년 연간 영업이익은 52억 수준으로 Trainling POR은 38배. Peer의 멀티플은 모르겠지만 객관적으로는 엄청 높다.

2020년 부채 비율이 2배 가량 커졌지만 원채 부채 비율 레벨이 낮다. 2020년의 부채 증가 요인은 유형자산의 급증 때문이다. 서버를 샀나?

안정적인 현금흐름 내에서 투자중.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PhD

파머

콘텐츠 1293

팔로워 5

꾸준한 수익을 추구하는 직장인 투자자 입니다. 상방과 하방을 모두 고려하는 균형잡힌 포트폴리오를 지향합니다.
댓글 0
0/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