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원자재 확보가 필요하다 1: 전기자동차와 배터리 시장 규모 전망, 그리고 원자재
배터리 원자재 확보가 필요하다 2: 리튬
배터리 원자재 확보가 필요하다 3: 리튬 생산
리튬 채굴 기업


※ kotra

※ Google Finance
국내에서 리튬 업스트림인 채굴과 관련된 기업은 사실상 포스코홀딩스뿐이다.
하지만 포스코는 본업이 철강인만큼 이차전지 관련 밸류를 단 1도 평가받지 못하고 있다.
상대적 비교차 미국과 중국의 1위 채굴 회사 주가와 같이 그려보았다.
포스코를 제외한 각 회사들의 정보와 자료들을 찾아보려 했는데 생각보다 쉽지가 않다.
그래서 총 5개의 회사에 대해서만 작성했다: Albemarle, SQM, Livent, 강봉리튬, Pilbara
이상의 5개 회사를 선정한 이유는 그저 자료를 접근하기 쉬워서 였다.
주주친화가 잘되어있어서 자료를 찾기 쉬운 미국 회사들.
리튬 영향력이 강한 중국 회사 중 사업보고서를 볼 수 있었던 강봉리튬,
그리고 포스코와 함께 사업을 영위하는 Pilbara.
Albemarle

※ Albemarle '22Q3 IR
미국에 본사를 두고 있는 회사로 영위하고 있는 사업은 리튬 60:보론25:촉매15
최근 4개 분기 합산 실적
매출액 43억 달러 (=6조원, USD 1 = KRW 1425)
순이익 2.64억 달러 (=3700억원, USD 1 = KRW 1425), 순이익률 6.13%

※ Albemarle '22Q3 IR
광상과 판매처를 글로벌하게 소유하고 있음.

※ Albemarle '22Q3 IR
Capa: 2022년 20만톤 LCE → 2030년 45~50만톤 LCE



※ Google Finance



※ Google Finance
이익률이 좋지 않음. 부채비율이 높긴하나
추세상 연간 실적은 올해 턴할 수 있을듯 하고 분기 실적은 이미 크게 턴 했음.
SQM

※ SQM '22Q2 IR
칠레에 본사를 두고 있고 미국에 상장한 회사로 영위하고 있는 사업은 리튬67:곡물13:요오드9:칼륨10
최근 4개 분기 합산 실적
매출액 64억 달러 (=9조원, USD 1 = KRW 1425)
순이익 21억 달러 (=2.9조원, USD 1 = KRW 1425), 이익률 32.72%

※ SQM '22Q2 IR
칠레 기업 답게 칠레에 대부분의 괭산을 보유.
호주 스포디움 경암은 조인트밴쳐인듯.
Capa
탄산리튬: 2022년 12만톤 → 2024년 21만톤
수산화리튬: 2022년 21만톤 → 2024년 90만톤



※ Google Finance



※ Google Finance
실적은 좋으나 현금흐름이 좋지 않음.
2021년 부채, 2022년 6월 모두 부채가 증가한거 보니 자금을 조달한듯.
Livent

※ Livent May '22 IR
미국 회사로 영위하고 있는 사업은 수산화리튬49:부틸리튬25:탄산리튬&염화리튬17:기타9
최근 4개 분기 합산 실적
매출액 5.9억 달러 (=8400억원, USD 1 = KRW 1425)
순이익 1.1억 달러 (=1560억원, USD 1 = KRW 1425), 이익률 18.64%

※ Livent May '22 IR
주요 염호는 아르헨티나 염호를 소유중이며 캐나다 광상 50% 지분인수 진행 중.
아르헨티나에서 채취한 탄산리튬을 미국과 중국에서 제련 중.

※ Livent May '22 IR
Capa
탄산리튬: 2022년 2만톤 → 2030년 10만톤
수산화리튬: 2022년 2.5만톤 → 2025년 5.5만톤



※ Google Finance



※ Google Finance
Ganfenf Lithium (강봉리튬)

※ 강봉리튬 사업보고서
중국 회사, 중국 상장로 영위하고 있는 사업은 리튬과 리튬화합물83:리튬배터리13:기타4
최근 4개 분기 합산 실적
매출액 30억 달러 (=4.2조원, USD 1= CNY 7.13)
순이익 15.4억 달러 (=2.1조원, USD 1= CNY 7.13), 이익률 50%


※ 강봉리튬 사업보고서
중국, 호주, 아르헨티나 등 세계 각지의 광상의 지분을 가지고 있긴 하지만 매장량만 공개.
실질적인 생산량 공개는 중국 염호 중심.
Capa
수산화리튬: 8.1 만톤
탄산리튬: 3.1 만톤



※ Google Finance



※ Google Finance
Pilbara Minerals

호주의 광산 회사로 영위하고 있는 사업은 리튬 스포듀민과 탄탈륨
각 금속에 대한 채굴과 판매 중량을 공개하고 있는데 매출 비중으로는 어떤지 자료가 한눈에 볼 수 있게 나와있지 않다.
최근 4개 분기 합산 실적
매출액 7.5억 달러 (=1조원, USD 1 = KRW 1425, USD 1 = AUD 1.57)
순이익 3.5억 달러 (=5100억원, USD 1 = KRW 1425, USD 1 = AUD 1.57), 이익률 47%



※ Google Finance



※ Google Finance
근데 구글 파이낸스 자료가 뭔가 이상듯?? (확인필요)
국내 이차전지 업체들의 리튬 확보 방안
우리나라 기업 중에는 리튬 업스트림 원자재 채굴 사업을 직접 영위하는 회사로는 포스코가있다.
포스코가 아르헨티다 염호를 확보하여 관련 사업을 진행 중이지만
시장에서는 믿지 않는 눈치다ㅋㅋㅋ
실질적으로 아직은 직접 양산 매출이 발생하지 않기도 하니, 시장의 불신이 일부 일리가 있긴 하다.
포스코 기업 자체뿐 아니라 우니라나 2차전지 산업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되니
지켜봐야 할 중요한 점인듯 하다.
어찌됐든 국내 2차전지 관련 기업들은 해외에서 리튬을 수급하고 있다.
아래 표는 각 회사들이 계약한 리튬 관련 자료.
위 자료를 바탕으로 각 기업들의 확보된 리튬량에 해당하는 EV 차량 대수로 환산해서
연환산 Capa를 확인해봤다.
기업 |
리튬 종류 (계약 회사) |
총 확보량 (t) |
연 환산 확보량 (t) |
LCE (t) |
포스코 |
스포듀민 (Pilbara) |
315,000 |
315,000 |
62,685 |
에코프로이노베이션 |
탄산리튬 (ioneer) |
21,000 |
5,250 |
5,250 |
LG에너지솔루션 |
스포듀민 (SigmaLithium) |
69,000 |
9,857 |
1,962 |
수산화리튬 (SQM) |
55,000 |
5,500 |
8,487 | |
수산화리튬 (Vulcan Energy) |
45,000 |
9,000 |
13,887 | |
SK이노베이션 |
수산화리튬 (TLK) |
50,000 |
12,500 |
19,288 |
LCE 기준 연 환산 확보량만 보면 포스코가 압도적이다.
포스코는 물론이고 다른 회사들도 계속 리튬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니
앞으로 이 물량은 더 늘어날 여지가 충분하다.
※ Albemarle Investro Day (2019. 12. 12)
※ kotra 배성봉 - 미국의 배터리 시장동향 (2021. 3. 5)
※ kotra 신재훈 - 리튬 대체 공급지로 부상하는 브라질 (2022. 4. 1)
※ 삼성증권 이경자, 장정훈, 이창희 - E-Waste 산업 (2022. 4. 11)
※ 한국광해광업공단 중국사무소 - 리튬산업 슈퍼사이클 시작, 글로벌 자원경쟁 심화 (2022. 4. 15)
※ LIVENT Corporation Investro Presentation (2022. 5)
※ 이베스트투자증권 이안나, 강 - 미중용 배터리 메탈 슬러그 (2022. 5. 11)
※ kotra 이동희 - 칠레 리튬 시장동향 (2022. 5. 18)
※ GanfengLituium 2022 Interim Report (2022. 6)
※ 에너지경제연구원 김해지 - IEA의 글로벌 EV 시장 장기 전망 (2022. 7. 4)
※ Pilbara Minerals June 2022 Quarterly Activities Report (2022. 7. 28)
※ SQM CORPORATE PRESENTATION (2022. 8)
※ kotra 정세호 - 전기차 허브로 도약하는 인도네시아 (2022. 8. 17)
※ 키움증권 이종형, 김지산, 오현진, 박주영, 이원주, 김소정, 황현정 - 폐배터리 재활용, 이유있는 주가
상승 (2022. 9. 2)
※ 케이프투자증권 박진형, 안주원, 허선재, 이규익 - '재'사용/활용하는 세상 (2022. 9. 7)
※ 한국무역협회 임지훈 - 배터리 행식 원자재 공급망 분석: 리튬 (2022. 9. 30)
※ Albemarle Investor Presentation (2022. 10)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