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브로에서는 한국인들이 어떤 주식을 주로 사는지를 알수가 있다.
직전 3개월간 한국인들이 가장 많이 산 주식 1위와 3위가 테슬라로 나온다.
한국인들의 테슬라 사랑은 아직도 유지되고 있다.

하지만, 단순하게 매수만 보는 것 보다는, 매수에서 매도를 뺀 순매수로 보는게 더 정확할수가 있다.
한국인이 최근 가장 많이 순매수한 1위 종목은 서클이다.
직전 3개월간 23.8억불을 매수했고, 16.1억불을 매도해서, 7.6억불을 순매수하고 있다.

서클은 6월중순에 250달러이상 주가가 올라가는 피크를 치고, 최근 주가가 꽤 빠지고 있다.

서클의 주가하락 원인을 "스테이블 코인회사는 어떻게 돈을 버나?" 라는 글중 아래 부분(나무색 1~28번)을 읽어보면, 알 수 있을듯하다.
1. 테더와 서클은 비슷하게 운용되니, 테더를 예로 들어 보겠음.
2. 테더의 계좌에 1달러를 입금하면, 테더는 1테더(USDT)를 교환해 줌.

3. 테더로 물건값을 지불하거나, 해외 자녀에게 유학자금을 테더로 송금하면, 그 자체로는 특별한 비용이 발생하지 않음.
4. 비용은 테더로 거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지 않고, 테더를 다시 달러로 바꾸는 경우에 발생함.
5. 1테더(USDT)를 테더사로 보내면, 1테더는 소각되고, 테더사는 1달러를 은행 계좌로 입금해 줌.
6. 테더를 달러로 바꿔서 은행 계좌로 입금하는 과정에서, 테더는 1%의 수수료를 받아 가게 됨.
7. 이것만 보면 큰돈이 안될 것으로 보일 것임.
8. 테더는 달러로 들어온 자금의 대부분을 미국 국채로 운용함.
9. 테더는 보유 달러의 66%로 90일 미만 미국 국채를 사고 있고, 서클은 보유 달러의 89%로 미국 국채를 사고 있음.
10. 이런 회사들은 환전수수료 보다 미국 국채에서 나오는 이자수익이 짭짤한 수입원임.

11. 테더는 미국 국채(66%) 외에도 자산운용방법이 다양함.
12. MMF(5%), 현금(0.1%) 등으로 운용을 하는데, 18% 정도가 기타자산으로 잡혀있음.
13. 미국 규제당국은 18%의 기타자산에 의문을 표하고 있음.
14. 2022년 규제 기관 보고를 보면, 테더 보유 자산 중 상당 부분이 중국계 부동산 회사가 발행한 CP라는 것임.
15. 중국계 부동산 회사라면 거의 망해버린 헝다, 컨트리가든등이 떠오를 것임.
16. 미국 규제당국은 이것을 회계감사하겠다는 상황이고, 테더는 미국 기업이 아니라는 이유 등으로 회계감사를 거부하고 있음.
17. 서클(Circle)은 운용이 깔끔함.
18. 89%가 평균 12일짜리 초단기 국채이고, 나머지 11%가 현금임.
19. 서클도 고비를 한번 겪었음.
20. 2023년에 예치금의 10% 정도를 보관한 곳이 SVB 은행이었던 것임.
21. SVB 은행의 파산 사태로 2023년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일부 손실을 본 후 현재는 정상화됨.
22. 서클은 1USDC 당 1달러가 예치되어 있다는 것을 매달 회계검사로 확인받고 있음.
23. 서클은 최근 미국에 상장을 했으니, 이제는 공시 등을 통해서 재무가 확실하게 공개될 예정임.
24. 수수료도 크게 높지 않고, 국채 이자 받아서 스테이블 코인 회사들이 얼마나 벌 것인지가 궁금할 것임.
25. 24년에 테더의 순이익이 130억불이 나왔음.
26. 종업원 80명 밖에 되지 않는 회사가 엄청난 순이익을 올리고 있는 것임.
27. 스테이블 코인 회사들은 수수료 수익보다는 보유한 달러를 운용해서 들어오는 수익이 더 많은 상황임.
28. 이들 회사들은 운용자산이 늘어나는 속도와 미국 단기국채 금리에 수익이 연동되는 구조임.
한 줄 코멘트. 스테이블 코인 회사들의 수익은 운용자산 규모와 운용수익률로 결정이 남. 미국 단기국채 금리가 낮아지면 수익률이 낮아질 수 있지만, 맡기는 돈이 그 이상 늘어나면 전체 수익이 늘어나게 됨. 단기국채금리와 운용자산 추이를 동시에 볼 필요가 있음. 기준금리 인하는 악재임.
---------------------------------------------------------------------------------------------------------------------------------------------------
한줄 코멘트. 서클은 보유자산의 89%가 평균 12일짜리 단기국채고, 나머지 11%가 현금이다. 단기국채는 금리인하에서 나오는 평가이익이 의미가 없다. 단기국채 금리에서 나오는 이자수익이 중요하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단기금리는 낮아지고, 그만큼 서클의 이익이 떨어지는 것이다. 단기금리가 떨어지는 것 이상의 자산확대가 되어야 수익이 늘어나는 구조다. 써클의 숙제는 테더를 먹어버리는 수준으로 시장점유율을 확대해서 단기국채 금리하락에 따른 이익감소를 커버해야하는 것이다.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