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전쟁의 오랜 배경을 정리해 봅니다.
미국은 남부와 북부의 경제구조가 달랐음.
2. 미국 북부는 공업화가 빠르게 진행되었지만, 영국 등 제조업 선진국보다는 제조역량이 뒤떨어졌고, 제조원가가 높았음.
3. 북부는 유럽의 값싸고 품질 좋은 공산품의 유입을 줄여서, 지역 제조업을 보호할 수 있는 높은 관세를 선호하게 됨.
4. 미국 남부는 상황이 달랐음.
5. 목화가 주요 생산품이었는데, 70% 이상을 유럽으로 수출하고 있었음.

6. 높은 관세를 부과하면, 무역 상대국들이 보복관세를 부과해서 목화 수출이 힘들고, 수입 물가만 올라가는 것에 남부는 불만을 가짐.
7. 유럽 제품이 싸게 들어오면 제조업이 무너진다는 북부와 북부 산업을 지키기 위해 우리가 손해 본다는 남부의 시각차이가 있었던 것임.
8. 노예제도도 남부와 북부의 시각 차이가 큰 제도였음.
9. 목화의 경우 노동력이 많이 필요한 산업이라, 노예 노동력 없이는 돌아가기 힘든 산업이었음.
10. 반면에 북부는 인구가 많고, 미국인들을 고용하는 제조업으로 경제가 돌아가기 시작하면서 노예에 대한 필요성이 크지 않았음.
11. 남부와 북부의 시각 차이는 노예제도 자체보다는 노예 수입에 대한 시간 차이였음.
12. 북부도 노예제도 자체는 인정을 했지만, 노예를 수입하는 과정에서 노예상들의 비인도적인 행동들을 문제시한 것임.
13. 1807년 미국 의회에서 남부와 북부의 합의로 노예금지 법안이 통과함.
14. 노예제도 자체에 대한 금지가 아니라 법안 통과 20년 이후부터 노예 수입을 금지하는 법안이었음.
15. 남부도 이미 충분한 노예가 있으니, 이들을 잘 관리하면 목화 생산에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생각으로 합의를 해준 것임.
16. 남부의 판단은 틀렸음.
17. 목화 재배가 돈이 되면서, 생각보다 면화 생산량이 폭발적으로 늘어난 것임.
18. 1790년에 미국의 목화 생산량은 3천 톤 수준이었음.
19. 3천 톤 수준이었던 목화 생산량이 1820년에는 6만 톤으로 늘어났고, 1860년에는 2백만 톤까지 빠르게 늘어남.
20. 전 세계 목화 생산량의 2/3가 미국 남부지역에서 생산되는 상황이 돼버린 것임.
21. 인력으로 목화를 생산하는 구조인데, 노예는 1790년 70만 명에서 1820년 150만 명으로 2배가 늘어난 정도였음.
22. 이미 들어와있는 노예를 출산을 통해서 늘리는 방식으로는 수요를 따라가기 힘들었던 것임.
23. 흔하면 싸지고 귀하면 비싸지는 흔싸귀비가 작동하기 시작함.
24. 노예 수입이 금지되자, 1808년의 노예 가격은 인당 50불에서 800불까지 오르게 됨.
25. 노예 가격이 오르자, 남부지역의 노예 가치가 20억 불까지 올라갔고, 노예가 남부지역 주민 총재산의 20%를 차지하게 됨.
26. 노예를 해방하는 정책은 남부지역 주민들의 재산 중 20%가 증발하는 일이었음.
27. 이런 상황에서 1828년, 미국은 북부 산업 보호를 위해 관세율을 최고 45% 수준까지 올리게 됨.
28. 남부가 크게 반발했고, 사우스캐롤라이나를 시작으로 연방 탈퇴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임.
29. 1933년, 남북이 타협을 함.
30. 단계적으로 관세를 인하해서 20%까지 관세를 낮추기로 합의를 한 것임.
31. 1861년, 합의는 깨졌고, 평균 36%까지 낮아졌던 관세가 47%까지 다시 올라가게 됨.
32. 1861년 4월 12일. 남부와 북부 간 내전이 미국에서 일어남.
33. 이때 일어난 미국 내전을 남북전쟁이라고 부름.

34. 남북전쟁의 원인을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지만, 관세가 발단이 되고, 노예해방이 명분이 된 북부와 남부의 정권 다툼으로 봄.
35. 링컨은 노예해방론자가 아니었고, 공화당도 노예제도 자체의 폐지에 그렇게 적극적이지 않았음.
36. 정치적으로 노예해방이 공화당에 유리한 정책이었던 것이 문제임.
37. 남북전쟁 전에는 노예 1명당 0.2표로 계산을 해주고 있었음.
38. 노예를 해방시키면 노예 1명당 1표를 행사하게 됨.
39. 해방된 노예들이 노예제도를 폐지한 공화당을 찍을게 확실하니, 북부뿐만 아니라 남부도 공화당이 가져갈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임
40. 재산과 국회 의석이 모두 날아가는 노예해방을 남부는 받기가 힘들었던 것임.
41. 남부는 독립을 선포했고, 전쟁을 시작함.
42. 전쟁은 남부가 일으켰지만, 전력은 북부가 크게 유리했음.
43. 인구수만 봐도 북부가 남부보다 4배가 많았음.
44. 공업지역도 북부에 집중되어 있어서, 전쟁 물자의 97%가 북부에서 생산되는 상황이기도 함.

45. 북부 주민들의 개인 전투력이 허접한 것이 문제였음.
46. 남부인들은 총기가 생활화되어, 기본적으로 총기를 잘 다루는데, 북부는 공업지역이 많아 총기 사용 경험이 적었던 것임.
47. 남부가 초기에 연전연승을 한 이유 중 하나임.
48. 변수가 발생함.
49. 애팔래치아산맥에 사는 스코틀랜드계 이주민들이 북부 군에 합류한 것임.
50. 애팔래치아산맥은 한국의 태백산맥처럼 대서양을 따라 미국의 등뼈처럼 올라가는 산맥임.

51. 이곳으로 스코틀랜드에서 영국과 싸우던 사람들이 이민을 와서 많이 거주를 하는 지역이었음.

52. 스코틀랜드 사람들은 스위스 용병과 세계 용병 투 탑을 먹을 만큼 용맹하고, 무기를 잘 다루는 사람들이었음.
53. 서부영화를 보면 나오는, 무식하고 성격 화끈하고 총 잘 쏘는 그 사람들 맞음

54. 이들은 거칠지만 솔직하고 단순한 스타일이라, 돈독 오른 북부 양키도 싫고 남부 노예주들도 영국놈 생각이 나서 둘 다 싫어했었음.
55. 남부와 북부를 모두 싫어하지만, 먼저 싸움을 시작한 쪽이 나쁘다는 문화가 있어 북부 군에 합류하게 됨
56. 전투에 능숙한 스코틀랜드 이주민들이 북부 군에 합류하며 남북전쟁에서 북부가 이기는데 결정적 기여를 함.
57. 북부가 이기고 노예들이 해방되자 이들에게 문제가 생김.
58. 해방된 노예들이 애팔래치아로 들어와 이들과 경쟁자가 돼버린 것임.
59. 무식한 것은 둘 다 비슷한데, 해방된 노예들의 몸값이 싸다 보니, 해방 노예가 이들의 일자리를 빼앗아 버린 것임.
60. 흑인에게 불법 린치를 가하는 KKK 단의 주력이 남부가 아니라 이곳에 있었던 이유임.
61. KKK 단의 상징인 하얀 고깔 두건과 불타는 나무 십자가(Fiery Cross)는 스코틀랜드에서 병사들을 긴급할 때 모집하는 표식이었음.

62. 애팔래치아산맥에 거주하던 스코틀랜드 이주민들은 교육수준이 높지 않아, 자동차 공장, 철강공장 등의 노동자로 일을 많이 했음.
63. 이들에게 힐빌리라는 이름이 붙게 됨.
64. 힐빌리는 산골마을 백인을 뜻하는 단어였지만, 쇠락한 러스트벨트 공업지역에 사는 가난한 백인 하층민을 말하게 됨.
65. 미국차가 외국산에 밀려 망하고, 중국의 싼 철강제품이 수입되자, 공장들이 문을 닫으며 힐빌리들은 큰 타격을 받게 됨
66. 한때 안정적인 직업과 어느 정도 중산층의 생활을 하던 힐빌리들이 직장을 잃게 된 것임.
67. 2016년 6월 책 한 권이 출간됨.
68. “힐빌리의 노래”라는 책으로, 55주간 베스트셀러에 오르며 미국을 강타함.

69. 책의 저자가 살았던 미들타운은 암코-가와사키 철강회사 본사가 있던 오하이오주 남부의 지방 도시였음.
70. 중국의 싼 철강제품들이 수입되며, 암코-가와사키 스틸이라는 대기업이 무너졌고, 노동자들의 삶도 같이 무너짐.
71. 미들타운 시민들이 직장을 잃으면서, 마을에서 술 먹고 욕하고 싸우는 게 일상이 되었고, 가정 폭력이 난무하게 됨.
72. 알바를 하는 필자가 사먹기 힘든 티본스테이크를 이웃집 마약중독자는 실업수당으로 사 먹는 것을 보게 됨.
73. 앞집에 놀고먹는 사람은 정부가 준 식권으로 콜라 박스를 산후 현금으로 바꿔 술을 사 먹는 모습이 도시의 일상이었음.
74. 복지를 빨아먹고 사는 사람들에 대한 백인 빈민층의 분노와 제조업 쇠퇴로 인한 실업문제를 한 권의 책이 각성시키게 됨.
75. 이런 백인 빈민층의 분노는 단순하고 직선적인 트럼프에 대한 열광적인 지지로 바뀌게 됨.
76. 러스트벨트 지역은 전통적 민주당 지지 지역이었음.
77. 전통적 민주당 지지자들이 트럼프의 열광적 지지자로 바뀐 것임.
78. 민주당 지지 지역이 트럼프로 돌아서면서 트럼프는 대통령 당선에 성공하게 됨.
79. 솔직하고 단순하지만 지식수준이 낮은 힐빌리에게는 트럼프의 단순한 구호가 잘 먹혔음.
80. 철강 등 제조업이 망한 것은 중국 놈들 때문이니, 모든 수단을 동원해서 중국 놈들을 때려잡아야 하고, 마약이 넘쳐나고, 일자리가 없는 것은 허술한 멕시코 국경을 넘어오는 불법 이민자 때문이니, 멕시코 국경에 거대한 장벽을 쌓으면 된다는 식의 직관적이고 쉬운 트럼프의 주장이 힐빌리들의 입맛에는 딱 맞았던 것임.
81. 힐빌리들의 열광적 지지로 대통령에 당선된 트럼프는, 미국 제조업을 살리는 게 핵심 전략이 됨
82. 재선에 도전하는 트럼프는 경합 주에 포진한 힐빌리들을 자기 편으로 만드는데 노력을 함.
83. "힐빌리의 노래"라는 책의 저자인 J.D.VANCE를 부통령 후보로 지명하게 된 이유임

86. 힐빌리들의 일자리는 자동차 산업 등 제조업에서 주로 만들어짐.
87. 미국으로 제조업을 옮기는 리쇼어링을 하고, 관세를 올려서 자국 제조업을 보호하는 트럼프의 행동은 나름의 일관성이 있음.
88. 트럼프가 전기자동차에 보조금을 폐지하는 이유도 여기에서 찾을 수 있음.
89. 내연기관 자동차는 수많은 부품 협력사들이 필요하지만, 전기차는 그렇지 않음.
90. 힐빌리들의 고용을 감안하면, 전기자동차 확산속도를 조절하고 내연 자동차 산업이 좀 더 유지될 필요성이 있는 것임.
한 줄 코멘트. 표와 돈의 시각으로 보면 세상이 다르게 보일 수 있다는 말을 한 번씩 하고 있음. 트럼프의 관세전쟁, 전기자동차에 대한 거부감 등도 표와 돈의 문제로 보면 다르게 생각할 수 있게 됨. 링컨이 노예해방을 선언한 것은 인도적인 목적이 아니었을 수 있음. 노예해방이 공화당의 득표에 유리한 점이 있었음.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