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티앤엘, 빅 빅 스테이지 애널리스트 보고서

by 동물원

2024.06.22 오후 17:18

신한투자증권 백지우 애널리스트 자료 참조한 정리 (감사합니다)

<기업리뷰>

  • 비즈니스 모델: 수출 중심 ODM (전체 매출의 80% ODM 브랜드, 자사 브랜드 매출 20%)

  • 매출비중

    • 트러블케어 등 상처치료제 88%

    • 깁스 7%

    • 기타 5%

  • 주요연혁

    • 1999년 골절치료용 고정제 개발

    • 2007년 하이드로콜로이드 국내 최초 개발

    • 2015년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활용한 트러블케어 패치 국내시장 진출

    • 2018년 미국 시장 진출

    • 2021년 미국시장 진출 성공 시작

  • 수출지역: 북미 80%, 유럽 15%, 아시아 5%

  • 신규사업: 마이크로니들(2028년부터 본격화되지만 지금도 뭔가 꾸물꾸물 하는 중)

<실적예상>

  • 2분기 실적이 가장 좋을 듯

  • 2분기 > 4분기 > 3분기 > 1분기


1. 2024. 5월 물량은 히어로사의 유럽 대응 물량 포함인지?

  • 유럽 물량도 일부 있지만 아직 크지 않은 수준 (기존 나가던 물량 수준)

  • 유럽 추가 확대 물량은 패키징 완료되었으며, 하반기 발주 들어와야 함

  • 아직 구체적 발주 논의 없음

  • 헝가리, 그리스, 루마니아, 불가리아 4개국은 올해 중 진행 예정

2. 주 수출 핵심 지역은? 향후 확장할 지역은?

  • 주 수출지역은 단연 미국

  • 현재 미국 내 CVS, Target, 월마트, ULTA뷰티 등 다수의 소매점에 입점 완료

  • 2023년 기준 각 소매점의 지점 수는 CVS 9,600개, Target 1,948개, 월마트 4,748개, Ulta 뷰티 1,400개

  • 2023년 HERO의 총 유통 지점 수는 613개(+204% YoY)

  • C&D에 인수되며 CVS 입점 매장은 4,500개까지 증가

  • Hero 제품은 C&D 유통망 중 20% 미만의 지점에서만 판매 중

  • 미국 내 주요 지역을 넘어 외곽 지역까지 입점이 확장되고 있는 추세

  • 미국 수출비중: 55~60%

3. 수주 현황?

  • 1년 추정치 받아서 3개월에 한번씩 확정 물량으로 진행하는 방식

  • 올해 초 추정과 큰 변화 없는 상황

  • 올해 수주는 크게 늘거나 줄지 않고 예상치대로 진행될 것

4. 일반적으로 수출을 통한 재고 축적, 재고 소진 사이클 경향이 사라질 수 있을지?

  • 수출을 통한 재고 축적, 소진 사이클은 유지될 듯

  • 2023년부터 C&D 물량 시작해서, 2024년 본격화

  • 2023년은 재고 정책 이슈, 2024년은 상고하저 패턴

  • 재고 사이클은 당분간 지속될 수 있으나 수출국가 확장 등으로 업사이드 발생 가능

5. 2024. 4~5월 수주 현황?

  • 2분기 실적이 가장 좋고, 하반기는 QoQ로 슬로우

  • 3~4분기도 YoY로는 당연히 성장하는 실적

6. 해상운임 상승세, 2024. 3분기부터 운임 비용증가?

  • 회사는 선적까지만 책임을 지고 선적 이후에는 고객사 책임 가지는 Free On Board 구조

  • 해상운임 상승 큰 이슈 아님

  • 다만 운임 상승으로 선적 배를 부킹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선적 이연 발생

  • 2024. 3월 그리고 최근 선적 이슈 있음

  • 회사에서 열심히 대응 중

7. 유럽향 정규오더 언제 어느 규모로 가능?

  • 유럽향 정규 오더는 2024년내 어려움

  • 만약 오더가 이뤄진다면 2025년 예상

  • 구체적 논의 없음

8. 슬로베니아 대마패치 진행 상황?

  • 슬로베니아 대마패치 시제품 제작 중

  • 2023년내 슬로베니아 MOU 회사와 연구 및 슬로베니아 현지 생산

  • 슬로베니아에서 우선 판매될 것

  • 대한민국은 심지어 연구에 대한 규제로 판매 어려움

  • 슬로베니아 이후 동유럽 등 판매 가능

9. 물량이 계속 늘어나는데 고객사 단가 인하 요구는?

  • 단가 인하 요구 없음

  • 티앤엘 30%대 영업이익율이지만, C&D 영업이익율 더 높은 수준

  • 티앤엘이 동등한 입장에서 협상 가능한 단계

10. 경쟁상황 변화?

  • 체감하는 경쟁상황 변화 없음

  • 하이드로콜로이드가 만들어지진지 20년 경과하고 특허 공개되었으나 품질 맞추기 어려움

11. 해외 온오프라인 비중?

  • 오프라인 80%

  • 온라인 20%

12. 2024년 수주 가이던스?

  • 연간 가이던스 제공하지 않음

  • 매년 매출 20% 성장 목표

13. 특수관계인 1.07% 매도 사유?

  • 사유 없음

  • 한투증권을 통해 외국계 기관에서 10만주 매수 의향이 있어 이에 주주 가족 물량으로 대응

  • 의미있는 블록딜 아님

  • 하지만 이런 블록딜마다 티앤엘 주가가 단기 고점이었다는 함정은 분명함

  • 다만 저렇게 이벤트마다 사팔한다고 막상 의미있게 돈 더 벌지도 못하는 듯

14. 경쟁사 진입장벽?

  • 생산 노하우: 하이드로클로이드 제작에 대한 온도, 압력, 원재료, 첨가물 등에 따라 물성/품질 좌우

15. 현간 추정치 외에 미국에서 잘 팔리면 추가 주문 가능?

  • C&D 거래 전에는 정기 주문과 비정기 주문 비율이 7:3 정도였으나, 현재는 비정기 스팟 주문 거의 없음

  • 정기 주문에 대한 생산만으로 풀캐파 돌아가는 상황

16. 배당 및 주주친화 정책?

  • 6:2:2 정책

  • 순이익 60% 내부자금 보유, 20% 직원 인센티브, 20% 배당

  • 순이익 높아지만 배당률 커지는 구조

17. 화장품 매출 현황?

  • 화장품 매출은 아직까지 미미한 수준

  • 매달 꾸준히 상승하고 있으나 매출 금액 크지 않음

  • 네이버 몰 등 온라인 몰에서 제품 리뷰 좋음

18. 신규라인 증설?

  • 2024. 6월말까지 증설 완료 목표

  • 증설 전 캐파 1000억(현재 주52시간 초과한 24시간 풀가동으로 1800억 캐파)

  • 6월말 증설 완료되면 정규 근무시간 기준 1250억, 24시간 풀가동 기준 2500억

* 생산 라인당 오퍼레이터 3명으로 인건비 투입이 크지 않음

19. 글로벌 제조사 점유율 구성? 캐파/경쟁구도?

  • 트러블케어 시장이 본격화되지 않아 정확한 통계자료 어려움

  • C&D IR 내용을 통해 추정하는 수준: 미국 트러블케어 시장 7조원, 그 중 패치는 20%(1.4조원 시장 규모)

  • 글로벌 제조사: 3M, 스미스앤네튜, 먼디파마, 컴바테 등

  • 국내에서 습윤밴드를 메디폼이라는 제품명으로 불렀던 것처럼 해외에서 트러블케어 패치를 마이티패치라고 부르는 상황

  • 미국 내 점유율 1위

  • HERO 브랜드의 가정 침투율은 과거 0.5%에 불과했지만 2023년 6% 돌파

20. 국내 원바이오젠 경쟁 상황?

  • 티앤엘, 원바이오젠, 제네웰 3개 모두 특별한 경쟁관계 아님

  • 3개 회사의 주력제품이 모두 다름

    • 티앤엘: 하이드로콜로이드

    • 원바이오젠: 폼 중심

    • 제네웰: 유착방지제 가딕스

  • 하이드로콜로이드 시장에서 티앤엘 점유율은 60~70% 수준

21. 미국 내 제조가, 소매가 차이?

  • 미국에서 비싸게 팔림

  • 티앤엘이 제조해서 판매하는 동일 여드름패치 제품은 한국과 미국의 단위당 가격이 10배 이상 차이

  • 미국내 판매사 히어로 코스메틱의 EBITDA margin 39%

  • 미국 소비자 입장에서 부담없는 소비 가격 레벨

22. 마이크로니들 신사업 현황?

  • 2022년매출 46억

  • 2023년 전량 미국 판매(103억)

  • 2024년 미국향 50% 수준으로 150억 매출 추정

  • 국내 출시 병행

  • 동국제약 협업하여 초도물량 발매

  • 국내는 매출목표 아직 없음

  • 현재 캐파 80억 + 2024. 6월 80억 증설 예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동물원

파머

콘텐츠 1331

팔로워 23

열심히 투자하려 노력합니다 (블로그 동물원)
댓글 0
0/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