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주목받는 글로벌 신약 (비만, JW중외제약, 메디톡스)

by 동물원

2024.01.17 오후 12:02

[글로벌 신약]

  • 2024년 가장 주목받는 글로벌 신약 TOP 10

  • 1위/2위는 역시 노보노디스크/일라이릴리의 GLP-1 비만치료제

  • (1위) 노보노디스크 카그리세마

    • 위고비의 고정용양 복합제 (대사질환, 펩타이드 계열)

    • 2025년 임상3상 완료 예정. 현재 평가가치 302억 달러(한화 40조원 가치ㄷㄷ)

    • 임상2상에서 기존 세마글루타이트 대비 혈당개선 + 체중감소 효과 확인

    • 사노피는 비만시장을 포기했고, 로슈/암젠/머크/아스트라제네카 등 경쟁사와는 상당한 기술격차 상황

    • 노보노디스크+일라이릴리 양대 독점은 한동안 지속될 것이라는게 합리적 추정

  • (2위) 일라이릴리 오르포글리프론

    • 경구용 GLP-1 수용체 (대사질환, 저분자화합물)

    • 일단 주사제가 아니라는 측면에서 환자의 편의성이 매우 우수함

    • 현재 가치 130억 달러 (17조원)

    • 데이터 기준 환자에 대한 효과/부작용은 주사제와 유사한 수준

    • 일라이릴리는 경구용 GLP-1에 대한 프로그램을 시작함

  • (3위) 버텍스 반자파프터

    • 버텍스파마(VRTX)는 요즘 크리스터테라퓨틱스(CRSP)와 함께 요즘 핫한 크리스퍼 유전자 치료제로 주목받는 중이지만, 기본적으로 낭포성 섬유증(CF) 신약 분야의 글로벌 강자

    • 낭포성 섬유증 환자가 주로 미국, 캐나다, 유대인에서 나타나는 질환이어서 국내에는 크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버텍스의 CF 신약 개발은 미국에서 2020년 이후 현대 생명과학의 하나로 칭송받는 중(희귀병이지만 환자가 미국 백인)

    • 기보유 FDA 승인 신약 파이프라인(낭포성 섬유증): 칼리데코, 오르캄비, 심데코, 트리카프타

    • 버텍스의 낭포성 섬유증 신약은 95% 낭포성 섬유증 환자에게 희망을 주고 있음

    • 이번에 나온 반자카프터는 버텍스의 차세대 낭포성 섬유증 치료제(저분자화합물)

    • 기존 CFTR 치료제와 병용요법으로 안전성과 효과에서 모두 우수한 효과를 보여줌

    • 임상 3상은 2023. 11월 완료되었으며 2024년 결과가 발표될 예정

    • 현재 가치 107억 달러 (14조원)

    • CFTR 신약 + 크리스터가위 유전자 치료제로 요즘 버텍스 주가는 연일 신고가 갱신 중

  • (4위) 로슈 티라골루맙

    • 블록버스터급 항암제로 소문나있던 제품이었는데, 2022년 임상3상 한차례 실패 (항체 계열)

    • 2023년 다시 한번 임상3상하는 과정에 실수로 임상 중간 결과가 공개되고 폐암에는 효과가 없지만 간암에는 효과가 있다는 이야기 나오며 다시 기대감 고조되는 상황

    • 2023. 8월 유출된 데이터에 따르면 6개월 이상 생존 연장 효과

    • 폐암 효과는 2024년 1분기 중 발표 예정

  • (6위) 아스트라제네카 카미제스트란드

    • 경구용 SERD 유방암 항암제

    • 2022년 임상2상에서 유방암 생존기간을 유의미하게 향상


  • 2024년 가장 많이 팔릴 블럭버스터 약품 TOP10

http://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0810

  • TOP10 요약

  • (1위) 머크 키트루다

    • 2년 연속 1위 (놀랍지 않음)

    • 2014년 출시된 키트루다는 면역항암제 시대의 문을 연 장본인

    • PD-1, PD-L1 억제제 경쟁은 사실상 키트루다로 종료되었음

    • 그나마 유일한 경쟁자는 TOP 7에 이름을 올린 브리스톨 마이어스(BMS)의 옵디보(Opdivo)

    • BMS 옵디보 + 여보이 병용, 옵디보 + 카보메틱스(입센) 병용 등이 유력한 치료 옵션대안

    • 그러나 머크의 키트루다가 글로벌 1위라는 데에는 이견이 없음

    • 2024. 1월 키트루다 FDA 자궁경부암 적응증 승인 기사도 나온 바 있음. 미국 39번째 적응증 장착

    • 키트루다의 혜자는 강력해서 경쟁자는 없고 병용 용법 파트너가 되는 게 현명한 선택

    • 키트루다의 단점은 반응율이 낮다는 점. 여러 업체가 키트루다 병용 임상 진행 중

    • 특히 키트루다/ADC(항체약물접합체) 병용요법 확장

    • 2023. 10월 일본 다이이찌산쿄 ADC 공동 개발한 ADC 폐암 의약품이 주목받고 있음

    • 알테오젠 바라보는 투자자도 많음

    • 알테오젠의 기술이 적용되는 키트루다SC 제형 (2025년 출시? 상표등록되었다는 블로거)

https://m.blog.naver.com/kmotorss/223322874275

    • 키트루다 특허는 2028년 만료 예정

    • 2024년 가장 많이 팔리는 의약품 1위 키트루다, 9위 가다실 - 2개 특허가 모두 2028년 만료 예정

    • 특허 만료는 머크의 가장 큰 리스크

    • BMS 옵디보 역시 2027년 특허 만료 예정

    • 특허 만료 + 바이오시밀러 출시 = 매출의 가파른 축소 (대표사례: 휴미라)

    • 휴미라는 2023년까지 글로벌 블럭버스터 TOP10이었으나, 2023년 특허 만료되지 마자 명단에서 삭제

  • (2위) 노보노디스크 오젬픽

    • GLP-1 진격의 나날들

    • 2023년까지 블러벅스터 TOP10에 이름이 없었지만, 2024년 명단에 등장하자 마자 2위 등극

    • 특히 오젬픽 외에 위고비 등의 브랜드로 판매 중인 세마글루타이즈 계열의 매출을 합치면 키트루다를 넘어서 글로벌 1위 의약품

    • 강력한 라이벌은 역시 일라이릴리. 다만 일라이일리는 마운자로, 잽바운드가 각각 다른 이름으로 분석이 되며 순위에 오르지 못했다고 분석기관이 스스로 밝히고 있음

    • 2024년 매출 증가 폭이 큰 제약에는 TOP5

    • 마운자로+잽바운드 2개 매출을 합하면 노보노디스크에 이어 TOP2

    • 노보노디스크는 위고비 단일 브랜드로 1위. 오젬픽으로 2위

    • 노보노디스크의 위엄

  • (3위) 사노피 듀피젠트

    • 글로벌 블록버스터 TOP3, 2024년 매출 증가폭이 큰 제약 TOP7

    • 중증 아토피 피부염/천식에 사용되는 면역조절제

    • 영유아부터 성인까지 모두 사용하는 아토피/천식 치료제의 희망같은 신약

    • 아토피 커뮤니티에 듀피젠트 찬양글 자주 출몰 (비싸고 좋은 약)

    • 면역억제 계열 제약이지만 부작용이 약함. Th2 염증 반응만 표적으로 작용하는 기전

    • 2023년 대한민국에도 만6세 이상 산정특례 적용되었지만 워낙 고가 제약이어서 스테로이드와 이것 저것 다 해보고 안되는 최악의 아토피 환자를 위한 보험적용

  • 듀피젠트 외에도 스카이리치(skyrizi), 린버크(rinvoq) 등 아토피/천식, 건선, 류마티스 관절염 등 면역질환 치료제의 호황이 대체적으로 관측됨

  • 빠르게 성장하는 제약 순위에서 눈길이 가는 약품은 엔허투(Enhertu)

    • 아스트라제나카+다이이찌산쿄에서 개발한 2세대 ADC 유방암 치료제

    • 매월 700만원 넘는 비용 문제로 보험 급여의 첨예한 이슈가 걸려있는 제품

    • 환자들의 간절한 염원이 있었지만 2024. 1월 약평위 문턱 못넘음. 약평위 입장은 건보재정을 위해 기업에서 재정부담을 분담해야 한다는 입장(약가 인하 요청)

    • 유방암 환자들은 급여지연에 반발한 서명운동 진행 중

    • 2024. 2월 재심의에 만약 엔허투가 건강보험에 등재된다면 단일 품목으로 건강보험 최대 예산이 투입될 예정

    • 건강보험 지원이 되지 않아도 엔허투 매출은 실시간 빠르게 증가 추이

      • 2023. 1분기: 22억

      • 2023. 2분기: 52억

      • 2023. 3분기: 64억

    • 건보 등재되면 폭발적인 매출 증가로 아스트라제네카는 돈을 벌고, 건보 배정은 바닥나고, 유방암 환자에겐 희망이 생길 수 있음

    • 제약사가 돈 버는 걸 비난하면 신약은 누가 개발할까라는 생각도 있음


[2024년 빅파마 매출 순위] cf. JW중외제약

  • 2023년 1위 화이자: 5등으로 하락. 코로나 이후 1위를 찾지해오던 빅파마의 매출 하락

  • 새로운 1위 로슈: 최근 신약 파이프라인에 소소한 문제들이 있다는 이야기가 들려오지만 다발성 경화증(오크레부스), 항암제(티센트릭), 혈우병(헴리브라) 등 히트 상품을 중심으로 글로벌 1위 매출 달성 추정

  • 로슈의 헴리브라를 보고 바로 떠오르는 회사는 JW중외제약. 헴리브라(에미시주맙)의 효능은 글로벌리 확인되었고, 2023. 5월 건강보험 등재도 완료되었는데. 헴리브라 건강보험 등재 이후 JW중외제약 매출 성장에 대한 기대가 무르익었는데

  • 왜 헴르브라 매출이 JW중외제약에 기대만큼 반영되지 않을까?

  • 2023. 5월 헴리브라의 건강보험 등재로 치료제에 내성을 가진 항체보유 중증 A형 혈우병 환자에게만 적용되던 건강보험 급여가 비항체 중증 A형 혈우병 환자로 확대될 경우 JW중외제약 매출 증가에 대한 여러 애널리스트 분석이 있었음

  • 실제 JW중외제약의 헴리브라 매출은 2023. 2분기 확대되었음

    • 2022.1분기: 12억

    • 2022. 2분기: 14억

    • 2022. 3분기: 14억

    • 2022. 4분기: 19억

    • 2023. 1분기: 16억

    • 2023. 2분기: 44억 (2023. 5월 건강보험 등재 반영)

  • 분기당 최소 100억~300억 매출은 나올 수 있을텐데

  • 이에 대한 분석 기사가 있음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1/10/2024011002593.html

  • 기사에 의하면 헴리브라가 처방되지 않는 이유는 혈우병 치료 가이드라인에 관여하는 한국혈우재단에서 헴리브라는 '처방약물 목록'에 등재하지 않았기 때문

  • 해당 목록에 등재되지 않으면 한국혈우재단 산하의 병의원에서 처방이 불가능한데, Hoxy 한국혈우재단과 GC녹십자 간 관계 때문에 신약 등재가 계속 지연되고 있는 것 아닌가? 라는 의심이 해당 기사의 요지

  • GC녹십자는 헴리브라를 제외한 애드베이트, 그린모노, 2가지 혈우병 치료제를 보유하고 있는데 대한민국 혈우병 시장의 70%를 점유

  • 헴리브라는 기존 GC녹십자 제품에 비해 편의성이 뛰어남

    • 기존 치료제: 주 2~3회 정맥 혈관주사 (병원 방문)

    • 헴리브라: 주1회부터 최대 4주 간격으로 피하주사

    • 주3회 병원방문 vs 월1회 병원방문

  • 환자만 보면 헴리브라의 매출이 훨씬 더 커질 여지가 많음

  • GC녹십자는 헴리브라를 계속해서 저격하고 있지만(아직도 혈우병 처방이 가능한 대한민국 병원 70개 중 헴리브라가 비치된 병원은 27개에 불과)

  • 환자의 편의성을 외면한 GC녹십자의 실력 행사는 지속가능하지 어려울 듯

  • 로슈가 글로벌 1위 제약사로 대두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제품이 헴리브라라는 점을 고려할 때

  • 혈우병 시장에서 헴리브라의 처방 확대는 일종의 메가트랜드 아닐까 라는 생각

  • JW중외제약 시총 7800억

  • 2023. 5월 헴리브라의 건강보험 등재와 AI를 활용한 신약 개발 테마성으로 가쁘게 올라갔던 주가는 조정을 거치고 있음

  • 다만 실제 실적성장을 이끌어오던 리바로젯의 제너릭 출시가 마음에 걸림

  • 피타바스타틴+에제티미브 복합제 시장은 확대되며 매출이 줄어들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도 있음

  • 전체적으로 빅파마의 순위 변화는 포스트 코로나의 변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줌

  • 화이자의 순위 하락

  • GSK의 순위 탈락 (아예 순위에서 사라짐)

  • 노보노디스크, 일라이릴리의 급격한 순위 상승

  • 헴리브라를 필두로 항암제 파이프라인을 가진 로슈의 상승

  • 아스트라제네카의 회복 (엔허투, 유방암)


[메디톡스]

  • 2023. 12월 출시한 신제품 뉴럭스 효과가 가시적

  • 소송 이슈를 부정적으로 보는 투자자는 아예 없다시피 함

  • 2024년 중반부터 대웅제약, 휴젤 소송 판결이 나오는 이슈도 리스크로 보는 사람이 없어보이는데, 다들 낙관적으로만 보는게 도리어 이상하다 싶을 정도

  • 위고비/잽바운드로 살빼도 보톡스는 맞아야 한다는 주식 세일즈 내러티브 목격 중

  • 한동안 GLP-1 부작용에 집중하던 목소리는 잘 안들리고, 근육손실, 얼굴 주름 등 GLP-1 계열 치료제의 부작용에 대한 사업기회가 이야기되곤 함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동물원

파머

콘텐츠 1331

팔로워 23

열심히 투자하려 노력합니다 (블로그 동물원)
댓글 0
0/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