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실적 컨콜에서 인상적 내용

by 동물원

2024.05.02 오후 18:50

[삼성SDI]

  • 전고체 수주/신규라인 투자 계획?

    • 기존 고객 외에도 신규 고객 샘플 공급 요청 확대

    • 올해 생산공법, 라인투자 검토 중

    • 기술 검증 계획

    • 향후 양산된다면 슈퍼 프리미엄 차량 중심으로 탑재될 것

  • AI가 반도체 소재 사업에 미치는 영향?

    • ESS전지, 전자재료 반도체 소재, 소형 파우치 전지 등에 영향을 줌

    • 데이터센터 전략 수요가 2030년까지 현재보다 2배 증가하면 전력용 ESS 수요 증가 + UPS 수요 증가

  • 미국 내 ESS 설치가 늘어나고 있음

*현대차증권 강동진 애널리스트 뷰

    • 미국 내 ESS 설치 규모: 2023. 3분기에 7GWh. 2024년은 연간 40GWh 가능한 추세

    • 테슬라 ESS 설치량은 2024. 1분기가 사상 최대치

    • 데이터센터는 갑자기 전기가 나갈 경우 비상 배터리 UPS가 필요함

    • 현재 UPS는 디젤 발전기로 돌아감

    • 예를 들어 춘천 네이버 데이터센터에는 UPS용 60만 리터의 경유 보관 중

    • 향후 UPS도 점점 2차전지 ESS로 가는게 메가트랜드

    • UPS도 대형화될 것

    • 삼성SDI UPS 용량: 3.84GWh

    • 테슬라 UPS 용량: 3.90GWh


[삼성전자]

  • 낸드 사업에 Gen AI 영향?

    • Gen AI 진화하며 학습/추론에서 SSD 수요

    • IO 성능이 확대된 8TB / 16TB 요청 증가

    • 초고용량 SSD

  • 이미지 센서 업황?

    • 재고 소진 + 카메라 모듈사 가동률 회복

    • 1억 화소 이상 고화소 폰 카메라 수요

  • AI 가전 시장?

    • AI 가전은 연평균 10% 성장 전망

    • AI 가전의 핵심은 신뢰할 수 있는 보안

    • 삼성 KNOX 메트릭스 제공 계획

    • 하바기 SW 업그레이드 서비스로 LLM 모델 적용


[하이브]

  • 위버스 컴퍼니의 영업손실이 커진 이유는? 해외 아티스트 미니멈 개런티?

    • 해외 아티스트 미니멈 개런티 때문 아님

    • 서비스 확대에 따른 개발인력 증가가 비용 증가 요인

    • 2025년부터 신규 서비스 선보이면 멤버십/광고 등 수익 성장 가능

* 메타 머신러닝/AI 엔지니어 테크니션 연봉 중앙값: 연 40만 달러

* OpenAI 채용제안 엔지니어 6명 연봉 중앙값: 연 92.5만 달러

* 2022~2023 AI/머신러닝 관리직 급여 인상율: 5~11%

  • 해외 아티스트의 위버스 입점에 관한 UI 개선? 해외 아티스트는 인스타/틱톡 플랫폼 UI에 익숙함

    • 위버스 내 해외 아티스트 온 보딩 노력 중

    • 유튜브, 틱톡 등 SNS 플랫폼이 팬덤 비즈니스에 확장에 기여하는 부분에 주목

    • SNS 플랫폼으로 아티스트에 흥미를 가진 대중이 넘어오는 플랫폼이 위버스

  • 음반, 음원 수익 비중?

    • 음반 50%, 음원 50%


[에이피알]

  • 경쟁업체들 많아지고 있는데?

    • 후발 경쟁업체에 대한 시장 우려 알고 있음

    •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 경쟁기업 진입 예상

    • 꾸준한 기술개발로 신제품 출시

    • 자사몰에서 이익율 높아 후발주자들이 단기간에 따라오기 어려움

  • 해외 매출의 자사몰 비중?

    • 미국: 자사몰 85%, 아마존 15%

    • 일본: 자사몰 50%, 큐텐 50%

* 미국에서 자사몰 매출 85% 대나다다

  • 2023년 해외매출 40만대 중 미국, 중국, 일본 비중?

    • 미국 50%

    • 중국 15%

    • 일본 15%

    • 기타 20%

  • 글로벌 경쟁사는?

    • 미국: 뉴스킨, 뉴페이스

  • 미국 내 마케팅?

    • 국내: 김희선 CF

    • 미국: 유명 연예인 사용 후기

* 뉴페이스: 갈바닉으로 화장품 흡수 높임. 비교적 오래된 기술

* 에이피알: 전기자극으로 세포 틈을 만들고 화장품 흡수율 높임


[아마존]

  • 사상 최대 영업이익율

  • 리테일 매출 성장은 3rd party 판매자에 대한 서비스 매출 성장이 핵심 요인: 판매량 61% 성장, 서비스매출 16% 성장

  • 전통적인 풀필먼트(재고, 보관, 배송 등) + AI 검색 서비스 제공

  • 생성형 AI를 적용해서 제품에 대한 자세한 설명도 제공하고 제품 추천하고, 리뷰도 제공하고 등등으로 구매전환율을 높이겠다는 계획

  • 아마존 웹서비스 역시 턴어라운드

  • 2023. 4분기 기준 점유율 순위

  • MS와 엎치락 뒷치락 하는데 조금씩 MS가 격차를 벌리는것 아닌가 싶었는데

  • 컨콜 내용

    • AI를 비롯한 클라우드 전체 수요가 회복되고 있음

    • AI 서비스 모델 개발, 데이터 처리 등 클라우드 사업 잠재력 높음

  • 클라우드 시장 전망: AI 수요 성장하지만 AI 외 클라우드 수요도 성장

  • 아마존의 캐팩스 투자 계획은 대부분 AI + AWS 인프라


[일라이릴리]

  • 좋을 거라고 다들 알고 있었고, 그래서 1분기 컨센도 높았지만, 높았던 1분기 컨세도 넘어섬

  • 일라이릴리건 노보노디스크건 다 잘 팔림

  • 비만 신규처방 처방율(NBRx) 57%. 노보노디스크 위고비 추월 성공

  • 잽바운드 점유율 57%, 위고비를 이긴 이유는 가장 강력한 약이기 때문인데. 데이터로 설명 가능?

    • AMG 133은 데이터 양이 작아 아직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움

    • GIP agonism vs antaonism

* GIP agonism: GIP 수용체에 결합하여 GIP와 동일한 효과를 유발하고, 인슐린 분비 촉진, 혈당 감소, 지방 축적 증가 유도(일라일리리 티르제파티드, 노보노비스크 리라굴르티드)

* antagonism: GIP 수용체에 결합하여 GIP 효과를 차단함. 인슐린 분비 감소, 혈당 증가, 지방 축적 감소 유도(일라이릴리 LY3281279, 노보노디스크 BETP9003)

* GIP agonism vs antaonism: 무엇이 더 나은 효과인지 논란 중

* 일라이릴리 컨콜 피셜: GIP agonism를 선호함

  • 티르제파타이드: 근육 감량 등 체중 감소의 질이 더 나음. 아직 연구 중. 효과가 우수하지만 일부 복용자들이 위장 부작용으로 복용 중단. 주1회 투여로 주사 빈도 낮추고 등등

  • 매출 가이던스 상향 근거는?

    • 2024년 하반기 공급 능력 확대

    • 노스캐롤라이나 2곳, 아일랜드 1곳, 인디애나 2곳, 독일 1곳 등 전체 6곳 증설 + 1곳 인수 = 7개

    • 파트너, CDMO와 함께 생산 역량 늘리고 있음

  • 수요 대비 공급 부족 상황은 언제 해결되나?

    • 중단기적으로 공급 부족 지속 예상

    • 24시간 연중 무휴 생산 중

    • 야간공사를 강행하며 증설 진행 중

    • 공급 부족과 증설 확대는 올해 내내 이어질 것

  • 알츠하이머 치료제 도나네맙은 2024년 중반 약물 자문위원회 회의 예상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동물원

파머

콘텐츠 1331

팔로워 23

열심히 투자하려 노력합니다 (블로그 동물원)
댓글 0
0/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