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샘
한샘은 생활용품관이 문을 닫고 있다.
한샘 매장에서 생활용품관은 가장 손님이 붐비는 곳이지만 객단가는 가장 낮고 이익율 역시 높지 않은 사업분야
이미 2022년 논현점과 용산아이파크몰에서 생활용품관이 문을 닫았다.
올해 초 스타필드점(고양점, 하남점)에서 생활용품관이 없어졌다.
잠실점, 목동점, 전주점, 롯데메종동부산점은 이제 막 폐점되었거나, 3월말 폐점 예정이다.
해당 지점은 굿바이 파격 세일이 진행 중이다.

지난 주말 방문해보니 파격 세일이 진행 중이다.
예를 들어 베란다 랙. 정가 17만원. 인터넷 할인 최저가 9만원. 굿바이 세일해서 5.4만원에 구매 가능

한샘 생활용품관이 빠진 자리에는?
한샘이 내세우는 디지털 전환과 연계한 체험형 가구가 전시될 예정
체험이 필요한 가구의 특성 + 디지털 강점을 연계하겠다는 마케팅 전략
단기적으로 부동산 업황이 턴 할 전망은 전혀 보이지 않지만, 계속 관찰할 가치가 있는 회사라고 생각합니다.
(2) 크레버스
청담어학원 ㅇㅇ지점 브랜치가 올해 가을학기 문을 닫음
해당 지점은 에이프릴어학원으로 변경될 예정
지점에 문의하면 해당 지점의 에이프릴어학원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CMS 등록이 필수일 것이라고 하는데
본점에서는 청담어학원 혹은 에이프릴어학원 등록에 CMS 등록이 필수가 아니라고 말함
지금까지 투자자들은 청담어학원과 CMS의 합병 시너지가 거의 없다는 것이 컨센서스로 보이는데
혹시라도 합병 이후 변화가 있을지 보고 있습니다.
투자하고 있는 기업은 아닙니다.
(3) 아모레퍼시픽
코로나 이후 지속적으로 오프라인 매장을 줄이고, 온라인/편집숍 위주로 마케티이을 집중
일단 고정비가 줄어드니 숫자로 보는 실적에는 적자 감축

다만 적자 감축이 아니라, 성장으로 턴 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음
아모레퍼시픽 직원들도 모르는 듯
후계자 서민정에 대한 여러 짤들이 도는데, 인기 많은 CEO가 늘 성공하는 건 아니기도 한데, 잘 모르겠음

(4) 신세계푸드
노브랜드 버거 폐점: 중랑역점, 고양신원점, 대구월성점 폐점했고, 종루구청점/신금호역점 곧 폐점. 코로나 기간에 빠르게 성장해왔는데. 근본적으로 맛이 없음
스무디킹도 폐쩜이 보임. 폐업 이야기도 들림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