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뉴스들(AI, 수액, 휴미라, 녹십자, 일동제약)

by 동물원

2024.01.22 오후 18:14

[AI 투자]

  • 신영증권 박소연 애널리스트

  • 기술혁신이 사회 변화를 이끌었던 역사적 사례

  1. 목화농장 기계화: 목화 따는 기계가 흑인 해방, 흑인 인권의 사회 변화 초래

  2. 세탁기의 발명: 세탁기 등 가전제품 발명이 여성을 가사노동으로부터 해방시키고, 여성의 사회 진출 유도

  • AI가 불러올 수 있는 사회변화는?

  • 노동의 종말: 기계가 사랑의 노동력을 대체하며 기본소득이 대두되고 사람은 교육, 예술, 스포츠 등 문화적 자산을 만드는 데 투입

  • 박소연 애널리스트는 2023년 AI를 위한 고성능 반도체 생산이 화두였다면, 2024년은 AI를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과 서비스 모델에 주목함

  • AI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의 강자/승자는 모르겠음

  • 누가 금을 캘지는 모르겠고 광부들 청바지 파는 엔비디아에 투자하자가 현재 투자자들의 관점인 듯


[수액]

  • CJ대한통운, JW생명과학 수액 유통 물량 수주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012208475820495

  • JW생명과학은 국내 수액 시장의 약 50% 점유율

  • CJ대한통운은 JW생명과학+HK이노엔 일부 점유율을 가져가서 전체 수액시장의 70% 유통 담당

  • 수주배경: 독감 백신 누적 200만 박스 등 의약품 배송 기술력. 수액 물류의 핵심은 온도 관리로 적정 온도를 유지하면서 최종 배송지까지 보관·운송하는 콜드체인(cold chain)

  • 수액시장의 성장: 국내 수액시장 규모 2021년 4330억원 → 2025년 5250억원 추정. 고령화와 독감 유행이 지속되면서 수액제 전문 기업들의 설비 증설과 신제품 출시 등이 예정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 2023년은 글로벌 매출 1위 휴미라의 특허만료에 따른 바이오시밀러 출시가 주목을 받았음

  • 암젠, 삼성바이오에피스, 셀트리온, 노바티스, 화이자까지 9개 제약사에서 바이오시밀리 출시

  • 휴미라 + 9개 바이오시밀러까지 10개 회사가 강도 높은 경쟁을 벌이며 약 가격은 86% 하락

  • 하지만 애브비는 적극적인 시밀러 방어 전략으로 바이오시밀러 출시 1년이 지난 2024. 1월 기준 2~3%의 점유율 밖에 내주지 않았음

https://www.hk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335987

  • 여전히 애브비 오리지널 휴미라의 압도적인 시장 점유율 유지

  • 현재 처방되는 휴미라에는 구연산염이 포함되어 있지 않음. 구연산염은 약품의 점성도를 높이고 항체 구조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지만 강한 산성을 띠고 있어 피부 화상의 부작용이 있고, 주입을 위해 큰 바늘이 요구되며, 투약 시간도 오래 걸림

  • 휴미라의 바이오시밀러 9개 제품 중 구연산염이 포함되지 않은 제품은 삼성바이오에피스(하드리마), 셀트리온(유플라이마), 노바티스(하이리모즈) 3개 제품 뿐. 다른 제품은 구연산염이 포함되어 있음

  • 삼성바이오에피스, 셀트리온은 구연산염이 없는 고농도 제형에 대해 오리지널 의약품과 상호교환성 인증 시도 중

  • 바이오시밀러 제품 중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제품 중 하나는 노바티스/산도스에서 생산한 '하이리모즈'

  • 산도스는 10년전 머크의 류마티스 관절염 등 자가면역질환 분야 블럭버스터 의약품 레미케이드(익플릭시맙)에 대한 바이오시밀러 제품으로 성공했던 선례가 있었기에, 또 성공할 확률이 높다고 추정할 수 있음. 현재 점유율 0.3%에 불과하지만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분야의 강력한 경쟁자

  • 셀트리온 투자자들은 '유플라이마'의 상호교환성(interchangeability) 획득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음

  • 실제 의사들이 처방하기 위해서는 상호교환성이 중요한 팩터

  • 상호교환성 획득을 위한 셀트리온의 노력

    • 2023. 12. 26: 유플라이마-오리지널 휴미라 상호교환성 확보를 위한 임상3상 (유효성, 안전성 확보)

    • 2024. 1. 9: FDA 상호교환성 허가 절차 돌입

    • 회사 계획에 의하면 2024. 2분기 중 상호교환성 획득

  • 상호교환성을 획득하면 바로 대박? 베링거 잉겔하임(실테조)는 구연산염을 포함한 약품으로 상호교환성을 획득하였지만 실제 처방은 되지 않고 있음


[녹십자]

  • 2023. 12. 18일 알리글로(IVIG-SN 10%) FDA 허가 획득

  • 2024. 7월부터(2024. 3분기) 알리글로 선적 예정

  • 매출 추정 근거는?

  • 미국의 혈액제제 시장의 3대장: CSL 베링, 그리폴스, 옥타파마

    • CSL 베링: 40%

    • 그리폴스: 30%

    • 옥타파마: 15%

  • 대략 3개 업체 합하면 95% 이상의 시장을 과점하고 있다고 추정됨

  • 녹십자의 알리글로는?

  • 2015년 미국 혈액제제 제조 허가를 획득한 신생 기업으로 빅3 외에 나머지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을 가져가며 알부민, 면역글로불린 등을 생산하는 BPL 사례를 참조(BPL: 면면역글로불린 매출은 전체 매출의 55%)

  • BPL의 2023년 연례보고서에 의하면 미국 전체 혈액제제 시장 규모는 104억 달러로 추정(14조원)

  • BPL은 2023년 혈액제제 시장에서 낮은 단가 + 괜찮은 품질 전략으로 YoY 20% 정도의 매출 성장을 보여주고 있음

  • BPL 매출에 대한 로데이터 확인이 상당히 난해함. DS투자증권 김민정 애널리스트는 BPL의 시장점유율 1.4%로 가정하고, 2024년 하반기 녹십자의 알리글로 매출을 131억으로 추정

  • 로데이터에서 확인되기 힘들다보니 확신은 잘 들지 않지만, 2024년 반기 추정을 고려하면 연간 매출을 300억 이상으로 고려한 것으로 추정됨


[일동제약 턴어라운드]

  • 일동제약 2023. 4분기 잠정실적

  • 2023학년도 경영쇄신을 통한 수익성 개선

  • 매출은 늘어나지 않았지만 비용 통제가 이뤄지며 영업이익 적자 감소, 순이익 흑자 전환

  • 2023. 4분기는 당기순이익 기준 2022. 2분기 이후 6개 분기만에 처음으로 돈을 번 분기

  • 만약 2024년 1분기 영업이익 흑전이 가능하다면 14개 분기만에 흑전일텐데.... 가능하려나? 마지막으로 영업이익 흑자가 나왔던 분기는 2020. 3분기

  • 구조조정으로 대표되는 경영쇄신 + 적자 연구비 회사 물적분할


[국내기업의 바이오 M&A]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12192701


[중국의 피아노 매출 감소와 노령화]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240117/123105700/1

  • 2022년 대비 2023년말 기준 피아노 교습소/ 피아노 판매점 30% 폐점

  • 중국의 인구 감소와 고령화에 주목하는 관점도 있음


[대한민국 2030 연체율 증가]

  • 이자율이 낮은 학자금 대출도 갚지 못하는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음

  • 학자금 대출은 여전히 이자율 2% 미만으로 낮은 수준이나 다른 대출이 처리되지 않으며 학자금 대출도 갚지 못하는 2030 개인회생, 파산이 증가하고 있음


[추위와 전기차]

  • 추운 날씨로 인한 자동차 문제는 전기차보다 내연기관에 더 많이 발생한다는 시각

https://m.blog.naver.com/mooyoung_2022/223329286625

  • 미국 한파로 멈춰선 전기차 이미지들이 워낙 자극적으로 보도되고 있음

  • 한 동료는 미국 전기차 사태가 고가 옵션으로 선택해야 하는 히트펌프를 선택하지 않은 차량에서 발생하는 문제라고 주장함

  • 그 분의 주장이기 때문에 사실 여부는 모르겠음. 그 분은 공학과 기술의 열렬한 신봉자

  • 전기차의 판매 둔화는 팩트임

  • 전기차의 판매 둔화가 단기적인 흐름이냐, 생각보다 상당 기간 이어질 수 있느냐 바라보는 시점과 해석의 차이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동물원

파머

콘텐츠 1331

팔로워 23

열심히 투자하려 노력합니다 (블로그 동물원)
댓글 0
0/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