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MSCI 선진국 지수

by 동물원

2021.11.02 오전 10:00

홍남기 부총리가 MSCI 선진국지수 편입을 재추진한다고 한다.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11020049

MCSI 선진국 지수란

모건스탠리 자회사인 MSCI(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Index)에서 만든 MSCI world 지수이다.

현재 미국, 캐나다, 유럽, 이스라엘. 호주, 홍콩, 일본, 싱가폴 등이 포함되어 있다.

2021. 9. 30일 기준 대충 미국이 67%, 일본 7%, 영국 4%, 프랑스 3%, 캐나다 3%,

그외 18개국 합치면 15% 이런 비중이다.

MSCI 선진국 지수는 미국 빅테크 종목에 엄청나게 투자하면서

지난 10년간 ETF가 성장하며 미국 나스닥 빅테크들의 엄청난 성장을 주도한 드라이브 중 하나이다.

테슬라 비중이 점점 높아지는데... 비중을 높이는건지 주가상승으로 비중이 자동 상향되고 있는건지

한국 시장의 규모, 한국 기업의 위상, 정부 재정의 건전성을 고려할 때

대한민국이 MSCI 선진국지수에 편입되지 않을 이유는 없어 보인다.

한국이 MSCI 선진국지수에 포함된다고 해도

지수 전체에서 1%가 안되는 비중이될 것이기 때문에

이 1%가 어느 정도 수급에 도움이 될까 싶은데

사실 블룸버그에서 MSCI를 엄청나게 지원하기도 하고

전세계 ETF의 규모를 고려할 때

선진국 지수에 진입하는 1%가 15조~60조의 외국인 수급을 불러올 수 있다는 분석이 있다.

그래서 홍남기 부총리께서도 저렇게 열심히...

그런데 MSCI 선진국 지수에 편입을 못하고 있는 이유를 보면 투자제도 개선을 요구한다.

1) 외화 자본의 유출입 편의성 확대

2) 투자상품 규제 완화

3) 영문 공시자료 제공(편의성)

4) 공매도 규제, 외국인 투자자 등록 등 규제 완화

여러 제도들이 찬반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매도

개인 투자자들에게 불리한 제도라는 내부의 불만과

공매도가 가능한 종목을 과도하게 규제한다는 외부의 불만이 겹친다.

그래서 정치가들도 한마디씩 하는데

이런 의견도 나오고

이런 의견도 나오는데

각자의 방식으로 포퓰리즘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글을 쓰다보니 정치 이야기가 나와서 그만 써야겠다, 싶다.

여튼 홍남기 부총리는 내부적으로 검토해보고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이 가능하다고 결론을 내고 저런 보도자료를 냈을테니 (설마)

좋은 결과가 나오길

----------------------------

이에 대한 신영증권 애널리스트 의견

1) MSCI market classification이 EM에서 DM으로 바뀌려면 일단 관찰대상 목록(Watchlist)에 올라가 있어야 합니다.

2) 그런데 한국은 몇 년전 아예 관찰대상 목록 자체에서 빠졌거든요.

재편입이 되려면 2022년 6월 정기심사에서 일단 Watchlist에 올라가야 합니다.

3) 그러면 2023년 6월 정기심사에서 선진국으로 승격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1년 정도 펀드매니저들 준비하라고 선제 예고 기간을 주기 때문에 실제 편입은 2024년 6월입니다.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동물원

파머

콘텐츠 1331

팔로워 23

열심히 투자하려 노력합니다 (블로그 동물원)
댓글 0
0/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