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리서치 리포트. 내용 요약

지난 20년간 AI 연구는 폭발적으로 성장
2022년 챗GPT 3가 처음 출시된 이후엔 AI 분야 연구의 그야말로 가속 패달 풀 엑셀
꿈의 AI에 대해 사람들이 일상에서 이야기하기 시작함
세계가 데이터로 구성되고 에이전트 AI가 부상하며, AI를 활용한 도구의 한계를 상상하기 어려운 상황
2020년 연 1만건이건 AI 논문이 2024년 기준 연 6만건에 달함

특히 AI 논문은 2018년 이후 중국에서 폭발적인 성장
2024년 중국에서 출간된 AI 분야 논문은 미국, 영국, EU를 모두 합한 양과 같은 수준

2024년 기준 AI분야 전체 논문의 70%는 중국대학, 연구소에서 이뤄짐
AI의 지정학적 함의
가장 뛰어난 AI를 보유한 국가/기업은 다양한 분야에서 경쟁 우위를 가지게 됨
AI 연구는 마치 우주개발처럼 국가 단위의 지정학적 성격으로 변모하는 중
AI 선도 국가가 되기 위한 3가지 조건
우수 인재확보
인프라(데이터, 에너지, 반도체 등)
상용화 체계
그중 단기적으로 가장 문제가 되는 건 인재확보

AI 우수인재는 중국이 핵심
논문도 많고 사람도 많다 보니. AI 연구개발 생태계 내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가진 커뮤니티를 형성하게 됨
중국 AI 연구자의 인구 분포
박사(student)가 절반 이상이긴 하지만 포닥과 신진연구자들이 상당히 늘어나고 있고
연구경력 15년 이상의 중견 연구자와 20년이상 경력 구축된(career buildig) 연구자/교수들도 크게 늘어나는 추이
특히 박사+박사후(포닥), 신진연구자(early career) 그룹의 총 숫자가 미쳤음. 30대 이하의 젊은 연구자 그룹 숫자가 3만을 넘어감
그 젊은 AI연구자들이 딥시크 쇼크를 만들어낸 주역 그룹

다른 나라를 보면 통계가 다름
예를 들어 유럽: 전체 AI 연구자들이 늘어나는 속도가 감소 추이. 그나마 학부생, 포닥/신진 그룹은 있지만 어느 정도 경력이 쌓인 연구자들이 늘어나지 않음. 어디론가 이동하고 있음

유럽이 연봉을 안줘서 미국으로 가나?
미국 AI 연구자의 인구 분포
놀랍게도 미국 역시 학부생과 대학원생, 포닥 그룹은 늘어나지만 어느 정도 연구 경력을 갖춘 중견 이상 연구자 그룹 인구가 늘어나지 않음. 미국에서조차 최고급 AI 연구자들이 빠져나가고 있음

중국의 박사 및 포닥(박사후) AI 연구자수는 미국 전체 AI 연구자수의 2배에 달함
놀랍게도 중국은 미국, 영국, 유럽의 AI 인재를 끊임없이 유입하는 중
특히 미국은 압도적으로 많은 인재를 중국에 빼앗기는 중

AI 특허 통계
여기엔 대한민국 두둥 등장

2022년~2024년 특허가 줄어드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특허 출원과 특허 등록 사이에 시차가 존재하기 때문. 실제 AI 기술특허가 줄어든 건 아님
이 그래프는 로그 스케일임
로그 스케일에서 이 격차를 보여줌
중국이 다른 국가보다 30% 특허를 더 많이 낸게 아니라, 거의 10배 가까운 더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는 의미
중국의 AI 연구는 단순히 LLM, 생성형 AI가 아님
로보틱스, 컴퓨터비전 등 다양한 AI 응용 분야 전반에서 기술력이 커지는 추이
연구자가 늘어나고 모인다는 건 단순한 우연이 아님
기술력을 갖춘 인재가 새로운 기업을 만들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실험하는 세대가 성장할 수 있다는 기대가 포함됨
탑-다운 방식의 중국식 기술개발, 국가 주도 연구개발이 얼마나 성공할 수 있을지 한계는 모르겠지만
눈 가리고 못본 척 할 수 있는 상황은 이미 아닌 상황이라는게 현실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