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개인적인 공부를 복습하기 위해 정리한 글이므로, 디스플레이 섹터를 투자하시는 분이라면 원문을 꼭 정독하길 추천드립니다. 문돌이도 이해가능.
*문제가 될시에 바로 삭제하겠습니다.
<1편: 디스플레이와 픽셀>
1. 디스플레이가 뭐길래
-같은 LCD, 같은 OLED 디스플레이라 하더라도 크기에 따라 성격이 달라진다.
-핸드폰 OLED와 TV OLED도 기술적으로나 공정상으로나 다른 종류이다.
-중대형 OLED: LG D
-소형 OLED: 삼성 D (삼성 D는 뒤늦게 대형 OLED인 QD-OLED 진입)
2. 색상에 대해
-빛의 3원색: RGB
-빛의 3원색은 섞을수록 흰색에 가깝다.
-그렇다면 디스플레이는 검은색을 어떻게 표현할까?(뒤에 기술)
3. 디스플레이 작동방식
-픽셀은 RGB가 한 세트
-해상도는 이 픽셀이 얼마나 많이 있는가
-이 픽셀의 각 셀에 반도체가 들어가 스위치 역할을 하고 있다
<2편: LCD와 OLED 살펴보기>-핵심★★★
LCD나 OLED나 모두 반도체 공정을 기반으로 한 진공공정에서 제조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LCD는 백라이트가 바탕이 된다. OLED는 유기물과 수명 극대화, 그리고 플렉서블 적용 등이 가장 중요.
*용어정리를 하고 가자면...
LED: LIGHT EMITTING DIODE
LED디스플레이: LCD방식인데 광원이 LED
LCD: LIQUID CRYSTAL DISPLAY
QLED: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QD-OLED: QUANTUM DOT OLED
QNED: QUANTUM DOT+MINI LED (원래 삼D의 차세대 마이크로 기술명이었으나, LG가 제품명으로 써버림. 그래서 용어가 혼동됨. 다음기사 참고)
니캉내캉 다 비슷해서 혼동이 오는데, 크게 LCD계보 OLED계보로 나눠보면 된다. 호돌이님 글 보면 알지만, 기반이 되는 기술이 다름.
LCD계보: LED디스플레이, QLED, QNED, MINI LED, MICRO LED
OLED계보: QD-OLED, WOLED
다시 호돌이님 글 요약으로 돌아와서.
1. LCD: 액정
-액정은 3상 이외의 다른 물질
-전압에 따라 배열방향이 바뀐다, 온도에 민감하다
2. LCD의 백라이트
-LCD에는 셀로판지와 비슷한 컬러필터가 있다
-백라이트는 말 그대로 뒤에서 비춰주는 빛
-처음에는 CCFL이라는 광원으로 백라이트를 사용(우리가 말하는 LCD)
-후에 LED(DIODE)를 이용. LED는 반도체 소재가 빛을 발함(우리가 말하는 LED 디스플레이)
3. LCD의 컬러필터(RGB)
-컬러필터는 셀로판지랑 비슷한 개념
-각각의 컬러필터에 얼마나 밝기를 해줄것이냐가 색조합을 완성시킨다
-이것은 액정으로 정해지는데, 액정이 전압을 받아 특정한 방향으로 배열됨에 결정된다
-LCD의 빛샘현상: 액정이 빛을 100% 막아주지 못한다
4. OLED
-OLED는 백라이트,액정,컬러필터 다 없음
-OLED는 어두운 검은색 배경이 기본, 그 위에 RGB 각각의 유기물소재가 있다
-이 상태에서 전류를 흘러줘 각 소재가 빛을 띰
-OLED는 디폴트가 검은색이니 명암비가 좋다
-OLED는 액정이 없어 얇고 힘을 가해도 변형이 없다(플렉서블에 용이)
-단점은 수명
5. 스마트폰
-OLED는 밝기에 따라 전력효율 차이가 크다
-LCD는 제품따라 다르며, 전압을 가할일이 덜할수록 전력 효율 GOOD
6. WOLED, QD-OLED
대형 디스플레이는 제조시 기판사이즈도 커지고 픽셀안에 광원의 영역도 넓어져 수율 떨어짐. 그래서 완전 OLED 미적용. 변형.
<LG D의 WOLED>
-액정X, BUT 컬러필터라는 개념을 이용
-광시야각, 빛샘현상 없음, 외부 및 반사현상 없음
<삼D의 QD-OLED>
-WOLED는 흰색유기물 발광원, QD-OLED는 파란색 유기물 발광원
-이 파란색 유기물은 퀀텀닷이라는 발광소재. 컬러필터도 퀀텀닷.
-수명이 짧다
7. LCD는 전압구동, OLED는 전류구동
-OLED는 RGB 각각의 발광소재에 미세한 전류를 보낸다. 전류를 정교하게 조절하는 스위치가 반도체소자(TFT).
<3편: Mini-LED란?>
1. LCD는 끝인가?
대형 디스플레이는 꼭 OLED가 아니어도 된다? 그러면?
-기존의 LCD에 새로운 기술
-새로운 기술=마이크로 LED, QNED
2. LED-LCD
-엣지형: LED가 디스플레이의 한쪽 끝단에만 설치, 공간의 제약때문에 사용+비용절감
-직하형: LED가 화면 전체영역에 규칙적으로 배열
3. LCD의 개선
-로컬디밍: 백라이트의 일부만 끄는 것->LED를 촘촘하게 설치하여 개별로 컨트롤->"Mini-LED"
4. Mini-LED
-대만의 Epistar가 만든 개념
-개당 크기가 100~300 마이크로미터 LED를 수천~수만개 설치
-OLED에 비해 제조비용이 70%
-명암비가 비슷해서 OLED와 체감 비슷
-수명 유리, 최소 5년
디스플레이에 대한 기본개념은 여기까지고...추가적으로 알아볼 부분은?
우리나라의 디스플레이는 삼성과 LG가 대표하여 이끌어가고 있다. 축적된 기술도 많고 성장의지도 커서 사실상 글로벌 선두업체이다. 경쟁이 치열해서 세트업체인 이 두 기업에서 주가상승은 기대하기 어려우나 산업을 주도한다는 면에서 엮인 중소형 기업들이 정말 많다.
그래서 두 업체도 꾸준히 팔로우해야되고, 관련 서플라이 체인도 알아야됨. 그 부분에 대해서도 호돌이님이 쓰신 글이 있다. 2020~2021년 글이라서 개인적으로 더 알아볼 부분이 있지만, 알아야 할 부분임은 확실하다.
호돌이님은 머리에 도서관을 차리신게 틀림없다...저런 내용들을 포함해서 더 고퀄의 강의를 하신다니. 다음휴가때 일정이 맞으면 하시는 강의 다 들을 예정. 항상 지식을 베풀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