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투자전략 :: 애플 9월 9일 신제품 발표. 아이폰 17 공개 예정. 애플 아이폰 밸류체인 관련주 체크

by 굿트레이더

2025.08.27 오전 07:53

*Disclaimer

* 전일 주요 이슈들 중 투자에 접목시켜볼만한 내용들을 정리합니다.

* 개인적인 투자 아이디어 기록 및 투자 전략을 공유하는 내용이며 특정 종목에 대한 매수 추천이 아닌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개인적으로 관련 종목들 중 일부를 매매할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 전혀 매매를 하지 않는 경우도 빈번하며 간혹 보유 종목들도 존재할 수 있어 단순 참고만 하시되 직접적인 판단하에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 작성자 본인은 해당 글에서 언급된 종목들을 보유하고 있을 경우 언제든지 매도할 수 있음을 인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정리 내용 중 오류가 있을 가능성도 있으므로 꼼꼼히 다시 살펴보시고 단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해당 블로그의 모든 콘텐츠는 비영리적 투자 아이디어 공유이며 수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틀리는 경우가 더 많음을 인지해주시기 바라며 모든 투자는 스스로의 판단으로 해주시기 바랍니다.

0. 시황/전략

#미국증시

- 키워드 : 트럼프, 연준 위원 리사 쿡 해임. 연준 독립성 훼손 우려 변동성 / 엔비디아 실적 기대, 금리하락에 상승 전환 마감

#원자재 / 금리

[미국증시 주요 섹터 일간 수익률]

[미국증시 52주 신고가]

*테크

: GLW - 특수유리, 광섬유. AI데이터센터 광솔루션 수요 확대

: STX, WDC - HDD, 낸드 스토리지 판매. AI클라우드 저장장치 업사이클. 낸드 가격 반등, AI서버 수요 기대감

: UI - 엔터프라이즈, ISP네트워킹. 호실적 + 대규모 자사주매입, 배당 강화

: U - 실시간 3D, 게임 엔진. 구조조정 이후 체질개선, 광고수익화 회복

: GOOGL - 빅테크, 플랫폼, 광고/클라우드 수익성 개선, AI 모멘텀 확대

*금융

: BAC - 미국 대형 상업 투자은행.금리 인하 기대 속 리스크온 회복, 소비 신용·수수료 견조

*광업,원자재

: NEM - 금,구리 광산운영. 금 가격 강세(실질금리 하락/달러 약세)

*산업재

: RTX - 방산 수주, 애프터마켓 견조

*소비재

: CCL - 크루즈 운영. 운임탑승률 회복, 부채 리파이

: VIK - 크루즈 수요 강세, 선대 확장

: LVS / WYNN - 리조트 카지노. 마카오 프리미엄 매스 회복, 라스베이거스 마카오 수요 견조

-> 미국증시 트렌드

: 통화정책 불확실성(금리인하) 완화 , 리스크온 회복,

: 금 가격 강세(금광/로열티)

: AI 데이터센터(광·저장장치)·네트워킹 수요 부각

: 여행·레저 수요 정상화

[전일 강세 테마 / 섹터]

: 로봇 관련주 - 현대차 그룹, 로봇 공장 건설 등 미국 추가 투자 소식

: LNG 관련주 - 트럼프 대통령, 한미정상회담서 '알래스카 LNG프로젝트' 참여 발언

: 제약바이오 - 금리인하 / 개별 기업 모멘텀

-ADR

[대응전략]

: 내일 6시 엔비디아 실적 발표. 2분기 빅테크들의 실적발표에서 AI Capex 투자 기조 참고할 시 엔비디아 실적 및 가이던스 무난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

: 국내 반도체 섹터는 엔비디아 실적 발표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계심리 상존. 내일 실적발표 이후 방향성 나타날지 주목할 필요

: 애플 9월 9일 신제품 발표. 아이폰17 공개예정. 이번 무대는 애플이 자사 기기에 AI를 본격적 통합하려는 전략을 보여주는 자리로 평가.

-> 온디바이스AI 관련 테크 섹터(로봇,AI,반도체,폴더블폰,자율주행) 관심

-> 최근 테슬라 주가가 좋은 흐름을 나타내고 있는 점도 눈여겨볼만 (자율주행,로봇,2차전지)

: 미국증시는 전반적 상승 흐름 전개.

-> 원전 테마 강세(오클로 TP 상향)

-> 중국 ADR 강세(니오,샤오펑,리오토 등 전기차 업종, 허싸이 등 LIDAR,자율주행 테마 강세) -> 2차전지

-> GE버노바, 파월인더스트리 등 전력설비 강세 (AI인프라 모멘텀 부각)

-> 양자 테마, 로봇 테마 등 일부 리테일 주식 강세 (위험자산 선호심리 확대)

->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가상화폐 반등 (금리인하 모멘텀, 위험자산 선호심리 회복)

-> 제약바이오,헬스케어 섹터 강세 (금리인하 모멘텀)

[관심섹터,종목]

#유리기판

*투자 관점

: 삼성 x 인텔 유리기판 협력 기대감 부각.

: 엔비디아가 26년까지 AI클러스터에 실리콘 포토닉스와 CPO(CoPackaged Optics)를 사용하여 더 낮은 전력으로 더 높은 전송속도를 제공할 것이라고 발표.

→ CPO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전성비가 매우 중요. 이에 따라 유리기판의 필요성이 대두될 가능성이 높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

글로벌 주요 플레이어인 SK앱솔릭스의 자금난 우려 등으로 유리기판 관련 투자지연 등 우려감이 존재. 유리기판 테마에 대한 시장 관심은 식어있는 상태. 덕분에 주가는 매력적인 가격대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향후 저전력,고효율의 유리기판 도입 방향성은 바뀐 부분이 없는 상황이라 생각되기에 긴 시계열에서 조금씩 관심을 가져나가기 좋은 구간이라 판단함.

#켐트로닉스

: 디스플레이 식각 기술을 보유한 화학 업체로 현재는 반도체, 전자, 전장, 유통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포트폴리오를 보유

: 향후 성장이 기대되는 반도체 분야에서는 PGMEA 소재를 개발하여 올해부터 매출을 확대할 것이고, Display Glass Thinning에서의 식각 기술 및 경험을 통해 향후 Glass 기판 Value-Chain 내에서 중요한 Player로서 역할을 할 것

: Glass 기판 Supply-Chain 내에서 동사는 TGV 공정에 대한 Full Value-Chain을 구축하여 가공된 Glass를 고객사에게 납품하려는 계획

*켐트로닉스가 '글라스관통전극(TGV)' 라인 구축에 착수

-> 최근 유리기판 산업 트렌드는 글래스 코어기판보다 글래스 인터포져 적용을 선제적으로 확대하는 분위기

-> 글래스 인터포져 적용 확대 시 필수 핵심 공정인 TGV(유리에 구멍뚫는) 공정과 이에 대한 장비주들이 선제적 관심을 받을 가능성 존재

-> 국내 주요 플레이어는 필옵틱스, 켐트로닉스로 압축.

*삼성전자 x 인텔의 유리기판 협력 이슈 주목

: 외신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미국 인텔과 차세대 반도체 부품인 유리기판과 패키징 기술 협력을 논의하며 트럼프 행정부의 통상 압박을 완화할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고 전해짐.

(인텔은 유리기판 연구를 하다가 사업을 접었지만, 최근에는 일부 기술을 외부에 개방하거나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 중)

-> 삼성그룹 유리기판 밸류체인에 대한 우선 순위 관심 필요해보이는 내용

-> 켐트로닉스는 삼성전기 유리기판 컨소시엄에 속해 있으며, 삼성전기는 올 2분기 세종 사업장에 유리기판 파일럿 라인을 구축

상기 언론 보도에 따르면 10월 말까지 라인 구축을 마쳐, 연말 고객사에 시제품을 공급할 예정이며

파일럿 라인은 올 하반기 중 구축을 마무리하고, 빠르면 3분기 중 관련 설비를 반입할 방침이라고.

준공은 내년 초인 것으로 파악되며 삼성향 납품을 논의 중.

식각을 포함한 전 라인업 준비 중.

삼성 유리기판 공정 중 TGV 공정을 담당할 예정.

이 중 도금은 외주를 맡길 계획. 도금을 제외한 대부분의 공정을 내재화

-> 도금 쪽 외주가 어디일지도 고민해 볼 필요가 있는데 관련 기업으로는 와이엠티, 와이씨켐.

[주요 타임라인]

*애플 9월 9일 신제품 발표. 아이폰17 공개예정.

-> 이번 무대는 애플이 자사 기기에 AI를 본격적 통합하려는 전략을 보여주는 자리로 평가.

-> 아이폰의 AI통합 모멘텀 본격화 기대.

-> 내년 폴더블 아이폰 출시, 폼팩터 변화 + AI기능 강화

-> 애플 밸류체인 기업들 시장 관심 확대 가능성 높아질 가능성. (켐트로닉스,덕산네오룩스 등 디스플레이 관련 기업들 체크 필요)

*국제무역위원회 최종판결 (11/17)

-> 최근 디스플레이 업황에 대한 회복 기대감이 부각되는 중.

-> 국제무역위원회(ITC) ,삼성디스플레이의 중국 BOE 등을 상대로 제기한 영업비밀 침해 소송 최종 판결

-> 11월 17일 판결 예정이나 결과는 거의 확정적.

**최근 실적 추이**

2025.1Q 1,492억/ 71억/ 81억

2024.4Q 1,168억/ 21억/ -8억

2024.3Q 1,509억/ 77억/ 44억

2024.2Q 1,600억/ 150억/ 90억

2024.1Q 1,475억/ 125억/ 88억

종가기준 T/per은 19배 수준.

컨센은 미확인.

최근 외국인 수급이 확대되기 시작.

이 친구들은 뭘 보고 들어왔을까에 대한 고민이 필요

※ 손실의 위험이 존재하니 투자 판단에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 모든 투자에 대한 최종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언급되는 종목들은 절대 매수 추천이 아니며 개인적인 생각의 공유일 뿐입니다.

※ 또한 간혹 보유중인 종목들을 언급하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 이러한 경우 보유중인 주식은 언제든지 매수,매도할 수도 있음을 인지하여 주시기 바라며 모든 내용들은 투자에 참고만 해주시기 바랍니다.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굿트레이더

고수

콘텐츠 5544

팔로워 221

실제 단기매매 계좌를 운영하듯이 포트를 운영하여 종목교체가 매우 빈번합니다.(회전율이 매우 높습니다.) 제 계좌를 따라하시기 보다는 공부용으로만 봐주시기 바랍니다.
댓글 0
0/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