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증시
지난 금요일, 옵션만기일을 맞이한 미국 증시는 극심한 변동성을 나타내면서 마감되었습니다. 개장 전 미 선물지수의 상승과 함께 긍정적인 분위기를 나타난 미 증시는 개장 이후 상승 흐름을 유지하는가 싶더니 이내 상당한 급락을 보이다가 장 마감 직전 낙폭을 상당부분 만회하면서 S&P500,다우지수는 강보함 상승 마감, 나스닥 지수는 -0.3% 가량 하락으로 마감하였습니다.

이 날 미국증시의 하방 변동성 확대 요인은 머스크의 성추문 이슈로 인한 테슬라의 급락과 반도체 주요 기업인 엔비디아에 대한 목표주가 하향 레포트의 출현으로 기술주 전반적인 투자심리가 악화된 영향이 있었으나 장 마감 전 미 연은의 대표적 매파 스탠스의 인사인 제임스 블라드 총재의
통화정책 관련 긍정적 발언이 매수세를 이끌어낸 것으로 추정됩니다.
S&P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의 기술적 흐름을 보면 전체적인 추세는 여전히 하락 국면에 위치해 있으나 단기적으로는 다시 한번 기술적 반등을
보여줄 수 있는 구간으로 판단됩니다.


특히 주말 간에는 상하이 지역의 코로나 경제봉쇄 완화가 예정대로 6월 1일부터 해제될 것이라는 소식이
미 증시의 단기 반등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한 가지 요소로 보여집니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368166632330888&mediaCodeNo=257&OutLnkChk=Y
비트코인
비트코인 시세는 계속해서 지루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는 모습입니다. 특별한 호재,악재가 없는 상황이지만 대부분의 가상 자산은 추가적인 하락은
멈춘 상태로 보여지고 있으며 악화된 투자심리에 상승폭 역시 제한적인 흐름이지만 여전히 과매도권에 머물러 있는 모습입니다.

시장을 돌려줄만한 의미있는 호재가 나타나주길 기다리고 있는 가상화폐 시장은 단기적으로는 '비트코인 현물 ETF의 승인'이 이루어진다면 단기적인 반등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그러나 추세적인 상승을 이어나가기 위해서는 긴축정책에 대한 시장의 적응과 최근 산적해 있는 매크로 시황과 관련된 악재(인플레이션, 전쟁 등)들의 해소로 미국 증시의 추세적인 상승이 선행되어야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205180223&t=NNv
한국증시
KOSPI : 2569.29 (+1.81%) / KOSDAQ : 879.88 (+1.86%)
ADR : 코스피 71.93 / 코스닥 73.18
RSI : 코스피 48.76 / 코스닥 47.88
지난 금요일 국내증시는 큰 폭의 반등에 성공하셨는데요. 그 전날 미국증시의 부진한 흐름에도 불구하고 국내증시가 상대적인 강세를 보인 점이
고무적입니다. RSI지표 상으로는 과매도권에서 벗어났으나 양 시장 지수의 ADR지표는 여전히 70 초반대의 구간을 형성하고 있어 개별 종목별로는 단기적인 상승 여력이 충분히 남아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국내증시는 지난 금요일에 이어 새로운 한 주간 추가적인 반등을 이어갈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되는데요. 주말 간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방문 이슈가 국내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를 기대해봅니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561286632331216&mediaCodeNo=257&OutLnkChk=Y
전일 특징주 리뷰
전일 상한가 및 상승,하락 특징주, 시간외 단일가 특징주 등의 사유분석 내용은 전일 마감시황 글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전일 특징주 및 상승,하락 종목 분석
주요일정 및 주도 섹터 예상 시나리오
(단기 트레이딩 관점)
* 금일 시장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는 주요 이슈와 관련 섹터 및 관련주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현대차, 미국 UAM , 로보틱스 등에 50억 달러 추가 투자
-> 관련주(UAM) : 네온테크 / 파이버프로 / 베셀 / 하이즈항공 / 피씨디렉트 등
-> 관련주(로봇) : 에스피시스템즈 / 휴림로봇 / 퓨런티어 / 푸른기술 등
-> 관련주(자율주행) : 퓨런티어 / 디와이 / 모바일어플라이언스 / 모트렉스 / 인포뱅크 등
* 뉴스 기사 - 정의선,현대차 그룹, 미국 UAM/로보틱스 등에 50억 달러 추가 투자
2) 한미 원전동맹 선언, SMR개발, 수출협력, 원자력고위급위 재가동
-> 관련주(원전) : 지투파워 / 비에이치아이 / 에너토크 / 서전기전 / 보성파워텍 / 일진파워 / 일진전기 / 윌링스 등
* 뉴스 기사 - 한미정상회담 원전동맹선언, SMR개발, 수출협력,원자력고위급위 재가동
3) 아프리카 발 원숭이 두창 전세계 확산, 또 다른 팬데믹 긴장
-> 관련주 : HK이노엔 / 파미셀 / 진원생명과학 / 일동제약 등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20522/113557667/1
*단기 트레이딩 관점에서 살펴 볼 주요일정과 관련주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 주요 일정
* 5/23 : 다보스포럼
-> 관련주(우크라이나 재건) : 도화엔지니어링 / 다스코 / 진성티이씨 / 프리엠스 / 수산중공업 / 광림 등
* 5/23 :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출범
-> 관련주(희토류,중국견제 가능성) : 동국알앤에스 / 유니온 / 유니온머티리얼 / 티플랙스 등
* 5/25 : 수소산업동맹 공식출범
-> 관련주 : 유니크 / 에스퓨얼셀 / 제이엔케이히터 등
* 6월 중 : 한은, CBDC 모의실험 6월 말 완료계획
-> 관련주 : 케이씨티 / 한네트 / 누리플랙스 등
http://www.pinpoin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2473
* 6월 중 : 누리호 발사
-> 관련주 : AP위성 /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 제노코 등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56/0000013122?sid=101
증권사 추천 레포트
(디테일한 내용은 파일을 다운로드해서 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 에이치시티
- 국내 유일 시험인증/교정 전문기업
- 1Q 22 Review : 매출액 +13% , 영업이익 -3% (YoY)
- 정보통신, 자동차 전장, 전기차 배터리 모두 좋다


* KEC
- 숏티지 수혜 확인
- 22년 전망 : Si 가전향 제품 확대 & 전장 SiC
- 안정적 Si 성장, 신사업 SiC 구체화 모멘텀


공모주 일정 및 투자전략 (5월 둘째주)

지난 달에 이어 5월의 IPO시장도 변변치 않은 시장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는 듯 합니다.
금주 24일 ~ 25일 청약이 예정되어 있는 청담글로벌은 매우 부진한 수요예측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사측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모가를 밴드
하단보다 30% 낮은 6000원에 확정, 공모주식수 또한 20% 줄여 상장을 감행키로 하였습니다.
청담글로벌은 화장품,향수 등 글로벌 뷰티 브랜드사의 제품을 중국,미국,유럽 등 대형 전자상거래 플랫폼에 판매하는 기업인데요.
사측의 뚝심있는 결단이 부진한 수요예측 성적을 딛고 분위기를 반전시킬 수 있을지 지켜봐야겠습니다.
주식시장 단상
高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물가상승 부담, 우크라이나 전쟁 지속 등 시장의 투자심리를 냉각시키는 악재들은 여전히 걷히지 않고 있습니다.
그러나 코로나 확산으로 경제활동를 봉쇄했던 상하이 지역이 예정대로 6월 1일 경제활동 봉쇄를 해제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고 있으며
주말 간 바이든 대통령의 방한 이후 한미 간의 통화스와프 논의가 지속될 것이라는 소식에 환율에 대한 불안감도 해소되지않을까 하는 기대감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당장에 원/달러 환율의 상승세가 꺾이는 흐름이 나타나준다면 국내증시의 외국인 수급에 우호적인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이며 상하이 지역의
경제활동 봉쇄 완화는 공급난 해소와 소비심리 회복에 대한 긍정적인 심리를 만들어 줄 수 있을 듯 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꼬여있는 악재들이 하나둘씩 실타래처럼 풀려나갈 것이나 결국 시간의 문제라 생각됩니다.
그런 시기가 오는 조짐이 보일 때 증시는 한발 짝 앞서 움직여나갈 것이고 이미 증시 전반적 여건이 좋아진 뒤에 주가는 저만치 올라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좋으나 싫으나 꾸준히 시장에 관심을 가져야하는 이유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이번 한 주도 화이팅하시기 바랍니다.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