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온디바이스AI 관련주, 카카오 투자 관심 / SOFC, 연료전지 관련주 / 자사주소각 의무화 모멘텀 체크 (투자전략, 관심종목 코멘트)

by 굿트레이더

2025.08.29 오전 07:56

*Disclaimer

* 전일 주요 이슈들 중 투자에 접목시켜볼만한 내용들을 정리합니다.

* 개인적인 투자 아이디어 기록 및 투자 전략을 공유하는 내용이며 특정 종목에 대한 매수 추천이 아닌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개인적으로 관련 종목들 중 일부를 매매할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 전혀 매매를 하지 않는 경우도 빈번하며 간혹 보유 종목들도 존재할 수 있어 단순 참고만 하시되 직접적인 판단하에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 작성자 본인은 해당 글에서 언급된 종목들을 보유하고 있을 경우 언제든지 매도할 수 있음을 인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정리 내용 중 오류가 있을 가능성도 있으므로 꼼꼼히 다시 살펴보시고 단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해당 블로그의 모든 콘텐츠는 비영리적 투자 아이디어 공유이며 수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틀리는 경우가 더 많음을 인지해주시기 바라며 모든 투자는 스스로의 판단으로 해주시기 바랍니다.

0. 시황/전략

#미국증시

- 키워드

: 엔비디아 호실적 영향, AI버블 우려 완화, AI모멘텀 강화

: S&P500 역사적 신고가

: 금리인하 기대감 지속

: 2분기 GDP 잠정 3.3% (예상치 3.1% 대비 상회 -> 위험자산 선호심리 확대)

: 테슬라 7월 유럽판매 -40% 감소

#원자재 / 금리

#특징종목

젠슨 황이 향후 5년간 AI 인프라 투자 규모가 3~4조 달러에 달할 것이라 전망하자 마이크론(+3.61%)이 상승하고 AMD(+0.87%)도 강세. 브로드컴(+2.80%)도 맞춤형 AI 칩에 대한 강력한 수요를 이유로 긍정적인 전망을 발표하자 상승.

테슬라(-1.04%)는 유럽자동차제조업협회가 유럽내 테슬라 차량은 전년 대비 40.2% 감소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하락

알파벳(+2.00%)은 2026년까지 버지니아주에 90억 달러를 추자 투자하여 클라우드 및 AI 인프라를 확장할 계획이라고 발표하자 상승.

뉴스케일파워(+3.75%), 오클로(+6.41%), 카메코(+4.45%) 등 원자력 기업들은 데이터센터 관련 지출 증가를 언급한 젠슨 황 엔비디아 CEO의 발언과 구글의 투자 확대 등으로 전력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기대를 반영

[미국증시 주요 섹터 일간 수익률]

[미국증시 52주 신고가]

[국내증시 강세 테마 / 섹터]

: 조선 관련주 - 미국 '군함 해외 건조 제한법' 우회 방안 검토 소식

: 지주사, 상법개정안 관련주 - 민주당, '자사주 소각 의무화' 관련 3차 상법개정안 추진 기대감 (9월 중)

: 로봇 관련주 - 현대모비스, 로봇 사업 진출 공식 선언 소식

-ADR

[대응전략]

: 엔비디아 전일 실적발표 후 시간외 하락헀으나 당일 낙폭 모두 축소하며 마감. AI모멘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며 관련 투자 아이디어 견지 (AI인프라 관련주들)

: 2분기 잠정 GDP 예상치 상회, 경제상황 견조한 모습. 선제적 금리인하 이어질 시 골디락스 분위기 조성. 유동성 + 위험자산 선호심리 확대에 따른 증시 상승 랠리 지속될 것으로 기대. 오늘 밤 PCE 물가지표 확인 필요.

: S&P500 신고가, 단기적으로는 미국증시 밸류 부담 상존. 금리인하 모멘텀 확실시 될 시 신흥국 시장 모멘텀 상대적 부각 가능성

: 국내증시는 대주주양도세 관련 불확실성 상존하나 10억이던 50억이던 빨리 결정되는 것이 좋을 듯.

: 워스트 시나리오 10억 대주주양도세 기준 확정 -> 국내증시 단기 변동성 확대 예상. 그러나 중장기적 시장 방향성(금리인하 유동성 장세 + 주식시장 머니무브) 불변. 비중확대 기회로 대응 예정

[관심섹터,종목]

#카카오 (온디바이스AI 관련주)

: 금리인하 진행될 시 성장주 섹터 부각 가능성.

: 국내 AI산업 정책 육성, 온디바이스AI 트렌드 확대 수혜

*온디바이스AI

: IT하드웨어 부분에서는 폴더블폰, AI스마트폰, AI글라스 등 새로운 시장 개화 목전

: 이에 따른 IT SW, AI SW 부분에서의 모멘텀 연계될 것으로 생각

: 카카오는 연내 온디바이스AI 서비스 출시 계획하고 있어 현 시점 관심가져보면 좋을 것으로 판단.

*일정 모멘텀 - AI에이전트 공개 (9/23) (SK증권 남효지 연구원 레포트 참고)

: 9월 23일, 이프카카오(if kakao) 행사. 당사 AI에이전트 서비스 공개 기대감 유효

: 아직 수익모델 공개되지 않았으나 SK증권 보고서를 인용하면 2가지 시나리오 케이스 존재

: Base 케이스 - 매출 26년 1056억 , 27년 2129억원

: Bull 케이스 - 매출 26년 2780억, 27년 5197억원

*일정 모멘텀 - 9월 중 카카오톡 개편 계획

: 1&3탭을 피드화 -> 숏폼 컨텐츠 전개 예정.

: 피드형 지면 우려 존재하나 앞선 글로벌 사례들을 보면 긍정적 효과 기대 (인스타그램 표방)

: 릴스/숏츠/Spotlight 사례에서 숏폼 콘텐츠의 추가는 앱 체류시간 증가 -> 광고 노출 증가로 연결. 광고매출 성장에 큰 기여를 했음.

*실적 / 밸류에이션

: 지면 개편 후 AI에이전트 출시 효과 반영한 카카오 26년 영업이익 1조 432억 (YoY +55.3%)

: 27 년에는 지면 안정화, agent 이용자 증가에 따라 영업이익은 1 조 3,531 억원(+29.7%)으로 높은 성장세 예상

: 애널리스트 TP 밴드 87,000 ~ 100,000 (현 주가 63,500원)

(아래) SK증권 남효지 연구원 밸류에이션 테이블

: TP 87,000 수준 (상승 여력 33.8%)

*투자 의견 (네이버 vs 카카오)

: 하반기 온디바이스AI 모멘텀 부각될 가능성.

: 카카오는 B2C 중심, 네이버는 B2B, B2G 중심.

: 상대적으로 AI모멘텀이 시장에서 빠르게 반응하는 쪽은 카카오.

: 네이버 중장기 긍정적 관점 지속. 소버린AI 정책 최수혜 예상.

: 국내 AI SW 투자는 '카카오 + 네이버' 바스켓 전략으로 가져가는 것이 좋지않을까 생각.

#SOFC #연료전지 관련주

*투자 관점

: 최근 미국증시 블룸에너지 연일 신고가 경신. (전일 +7% 가량 급등, 역사적 신고가 기록 중)

-> 블룸에너지는 미국 주요 SOFC(연료전지) 사업 영위 기업.

-> AI데이터센터 전력수요 수혜 부분에서 최근 SOFC 관련 기업이 가장 강한 흐름을 보이는 트렌드

-> 데이터센터 전원 다변화/전력난 이슈에 따른 분산전원 관심·대형 조달 모멘텀.

*국내 SOFC 밸류체인 (두산퓨얼셀, 미코)

: 이번주 두산퓨얼셀, 미코 등 국내 SOFC 관련주 밸류체인 기업들도 시장의 관심을 받는 모습

: 근본적으로는 SOFC보다는 캐나다 60조 잠수함 수주 수혜 관련해서 수소 테마 범한퓨얼셀 급등하며 두산퓨얼셀,미코 등 수소 테마로 동반 부각되었던 심리도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

: 그러나 AI데이터센터 전력수요 확대 -> SOFC 모멘텀 확대되고 있는 트렌드임에 국내 SOFC 관련주들 역시 모멘텀 연계될 가능성

*모멘텀 트레이딩 관점

: 두산퓨얼셀, 미코 압축해서 관심

*바텀피싱 관점

: 한선엔지니어링 관심

#상법개정안 (증권사 / 지주사)

: 상법 2차 개정안 통과 , 9월 자사주소각 의무화 법안 통과 예상됨에 증권사,지주사 기업들 시장 재차 관심받기 시작

: 대주주양도세 관련 노이즈 상존하나, '국내증시의 구조적 변화'라는 장기적 방향성은 이미 시작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 이와 관련해서 기업들의 변화가 하나둘씩 나타나는 중임에 주목할 필요

(LS - 자사주 소각 + 주주환원 확대 계획 발표)

(LG - 전일 자사주 소각 발표 , 첫 중간배당 실시)

(대신증권 - 상환전환 우선주 자사주 소각)

(아래) 전일 내용 참고

#반도체

: 엔비디아 실적 발표 후 하방 변동성 확대되었으나 전일 미국증시 개장 중 하락폭 대부분 만회.

: 마이크론테크 주가 +3.6% 상승세. 시게이트, 웨스턴디지털 등 AI스토리지 낸드 업체 등 신고가 랠리 이어지는 모습

-> AI모멘텀 지속, 관련 수혜 연계되는 IT HW 관련주들 지속 관심 필요

-> 하반기 ~ 26년 ~ 27년 온디바이스AI 모멘텀 확대 가능성. D램, 낸드 업황 개선세 예상

(10월 윈도우10 서비스 종료 -> PC교체 수요 확대)

: 저평가 반도체 소부장 기업들 인베스팅 관점 관심 지속

#코미코

: 최근 (8/25) 미래애셋증권 김영건 위원께서 코미코 관련 매우 디테일한 레포트 발간

: 투자포인트 요점은 TSMC를 비롯한 글로벌 핵심 반도체 기업 다수 고객사로 보유한 레퍼런스 , 중국 반도체 자립 핵심 파트너 , 한국 칩메이커 설비 증설 기대, 삼성파운드리 확장 직접적 수혜로 정리

: 멀티플을 다소 높은 PE 18배 수준으로 제시. TP 120,000원 제시함. 이에 따른 근거는 상기 언급한 다수의 투자포인트들이라는 설득력

*미코세라믹스

: 코미코는 미코세라믹스 중복상장 우려로 인한 디레이팅 우려감이 존재했었음.

: 그러나 지난 8/19일 이러한 우려감을 해소시키는 지분 취득 공시 발표.

-> 주가 상단을 제한시켰던 거버넌스 이슈 해소

-> 삼성 파운드리 부문 턴어라운드 , 중국 반도체 굴기 수혜 , 반도체 업황에 따른 실적 성장 모멘텀 부각될 것으로 판단

※ 손실의 위험이 존재하니 투자 판단에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 모든 투자에 대한 최종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언급되는 종목들은 절대 매수 추천이 아니며 개인적인 생각의 공유일 뿐입니다.

※ 또한 간혹 보유중인 종목들을 언급하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 이러한 경우 보유중인 주식은 언제든지 매수,매도할 수도 있음을 인지하여 주시기 바라며 모든 내용들은 투자에 참고만 해주시기 바랍니다.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굿트레이더

고수

콘텐츠 5534

팔로워 220

실제 단기매매 계좌를 운영하듯이 포트를 운영하여 종목교체가 매우 빈번합니다.(회전율이 매우 높습니다.) 제 계좌를 따라하시기 보다는 공부용으로만 봐주시기 바랍니다.
댓글 0
0/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