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에스엠 투자, 인도네시아 KPOP (Feat. 신인 걸그룹 하츠투하츠)

by 굿트레이더

2025.01.14 오후 13:42

#엔터테인먼트

(한중 관계 개선 기대감)

(왕이 외교부장 방한 - 2월 말)

상대적으로 시장의 관심이 덜한 섹터 중 올해 업사이드가 큰 섹터 중 하나라고 판단되는 곳은 엔터 섹터.

작년 음반 판매량 감소에 대한 실적 부진이 이어졌으나

올해는 공연 수익 확대 및 작년 실적 대비 기저효과 영향 부각,

그리고 작년 주가 조정에 대한 부담없는 밸류에이션에 대한 매수 심리가 부각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

한편 주의깊게 살펴볼 내용은 중국의 내수부양 및 한중관계 개선 가능성.

중국은 부진한 경기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올해 강력한 소비 진작 의지를 나타내고 있는 상황.

특히 중국 정부는 2025년 내수 확대를 목표로 문화,여행,레저 분야 소비 진작을 최우선 과제로 설정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한국의 중국 공연 재개 가능성도 다시 한번 점쳐지고 있는 중.

물론 중국의 한한령 해제 기대감, 공연 재개 기대감은 잊혀질만하면 나타나는 재료이기도 했음.

하지만 지금 시점에서 엔터 산업은 해당 내용에 대한 기대감에 상승한 부분이 크지 않기 떄문에 손익비 측면에서 관심가져볼만한 구간이라 판단.

#에스엠

-하츠투하츠 데뷔 : 2/24

: 에스엠 5년만에 신인 걸그룹

(소녀시대 2007)

(FX 2009)

(레드벨벳 2014)

(에스파 2020)

: 소녀시대 이후 8인의 다인 걸그룹은 하츠투하츠가 처음

: 한국인 멤버 총 4명 / 일본, 중국,태국, 말레이시아 멤버로 구성

: 특이사항으로는 인도네시아 멤버가 구성되어 있다는 것

(인도네시아의 케이팝 인기 역시 상당한 수준. 에스엠의 인도네시아 시장 공략 의지)

https://www.youtube.com/shorts/w8u077OusGg

#엔터테인먼트

#KPOP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는 한류(Hallyu)가 매우 크게 확산된 대표 시장 중 하나.

특히 K팝 관련 팬덤 규모가 꾸준히 성장하면서, 현지에서의 음원·앨범 판매, 콘서트·팬미팅 등 공연 수익, 굿즈 판매, 광고·홍보 협업 등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음.

구체적인 수치를 집계하는 기관마다 조사 방식에 차이가 있지만, 아래와 같은 흐름을 통해 인도네시아 K팝 시장의 규모와 중요성을 가늠할 수 있음

1. K팝 소비·팬덤 현황

인구가 2억 7천만 명 이상(세계 4위)에 달하는 인도네시아는 아시아 지역 중에서도 K팝의 주요 시장으로 꼽힌다.

2022년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 ‘글로벌 한류 트렌드’ 보고서 등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에서 K팝 인지도 및 호감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현지 팬덤 규모 또한 빠르게 성장 중이다.

유튜브·스포티파이(Spotify) 등 주요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과 SNS 상에서, 인도네시아는 미국, 브라질 등과 함께 K팝 콘텐츠 재생 수·조회수 상위권에 오르는 국가다.

2.콘서트·행사 수익 및 영향

대형 기획사의 월드투어 일정에서 자카르타가 포함되는 사례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공연 티켓은 빠른 속도로 매진되는 경향이 있다.

대형 K팝 페스티벌(예: KBS Music Bank World Tour in Jakarta 등)이 열릴 때마다 현지 언론과 기업들의 협업이 활발해지고, 스폰서십과 광고 수익으로 이어지는 등 파급효과가 크다.

3.브랜드·현지 기업과의 협업

현지 유명 대기업, 통신사, 쇼핑몰 등과 K팝 그룹의 협업 광고나 프로모션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SNS 마케팅이 중요한 인도네시아 시장 특성상, K팝 아티스트의 팬덤을 활용한 콜라보 제품·굿즈 출시나 이벤트가 활성화되어 결과적으로 K팝의 상업적 가치가 올라간다.

4.시장 규모 추정

음원 스트리밍·앨범 판매·공연 매출 등 정확한 금액 규모는 매년 달라지지만, K팝 전체 수출액에서 인도네시아가 차지하는 비중은 계속해서 상승하는 추세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2021~2022년 K팝 공연이 재개됨에 따라 티켓 매출과 굿즈 판매액 역시 증가하고 있다는 소식이 여러 매체를 통해 보도되었다.

2022년 기준, 인도네시아의 K팝 관련 경제효과가 연간 수천억 원 이상(한국 돈 기준)에 달한다는 추산도 나오며, 앞으로도 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장될 것으로 보인다.

왠지 성공할 상이다..

왕이 형 어서오고..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굿트레이더

고수

콘텐츠 5427

팔로워 25

실제 단기매매 계좌를 운영하듯이 포트를 운영하여 종목교체가 매우 빈번합니다.(회전율이 매우 높습니다.) 제 계좌를 따라하시기 보다는 공부용으로만 봐주시기 바랍니다.
댓글 0
0/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