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관련주 :: 지능형 로봇법 개정안 통과 / 클라우드MSP 관련주 / 마이크로바이옴 관련주. 4월 28일 주식정보 경제뉴스

전일 주요 경제뉴스 및 주식뉴스들 중 트레이딩 이슈에 접목시켜볼만한 내용들을 정리합니다.
오늘 살펴볼 경제뉴스,주식정보 내용들
1. 지능형 로봇법 개정안 국회 통과 / LG, 서빙로봇 점유율 확대 계획
(로봇 관련주)
2. 챗GPT 열풍에 덩달아 뜬다, 68조 시장에 기대감 폭발
(클라우드 관련주)
3. 먹는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시장 열린다, FDA 첫 승인
(마이크로바이옴 관련주)
★카톡 주식정보 채널 입장 ★
(↓아래 클릭↓)
경제뉴스 1 - 로봇 관련주 / 지능형로봇법 개정안 국회 통과


- 지능형 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이 전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
- 해당법안이 통과됨에 따라 국내 로봇 스타트업들이 개발한 자율주행 배달로봇은 보도통행이 가능해짐.(기존에는 보도통행 금지대상)
- 이에 따라 업계는 향후 배송, 순찰, 방역, 안내, 청소 등 서비스 시장에서 다양한 로봇 활용이 가능해졌다고 평가.
- 이번 개정안은 추후 정부 이송, 국무회의 의결 등 절차를 거쳐 공포될 예정이며 공포일로부터 6개월 후 시행될 예정임.
- 아울러 산업부는 연내 사업화가 가능하도록 인증기준 등 하위법령을 신속히 마련할 계획임.
로봇 관련주
(파급력 : ★★★)
- 지능형 로봇법 개정안이 올해 연말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될 예정으로 지능형 서비스 로봇 사업을 영위하는 국내 상장 로봇기업들의 성장은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아짐.
- 해당 뉴스로 인해 전일 국내증시는 시간외 지능형 로봇 관련주(로보티즈 등)이 큰 폭으로 상승.
- 이와 더불어 LG전자가 서빙로봇 점유율을 확대할 것이라는 뉴스 기사도 전해지며 LG전자 지분 보유 로봇 관련주들(로보티즈,로보스타 등)이 주목을 받음.
- 한편, 물류로봇 제조기업이자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사업을 영위하는 티로보틱스는 장 마감 후 SK온(추정) 향 계약공시가 나오며 시간외 상한가를 기록.
- 연내 삼성전자 젬스 로봇 출시, 정부 첨단로봇산업전략 1.0 정책 발표 등의 일정 모멘텀이 유효한 상태. 거기다가 연말 지능형 로봇법 개정안 시행에 따른 자율주행 서비스 로봇들의 본격적 성장을 기대해볼만.
* LG 로봇 관련주
: 로보티즈(전일 시간외 +8.24%) / 로보스타(전일 시간외 +5.13%)
※ 로보티즈 : 로봇솔루션 전문 업체. 서비스로봇 솔루션 및 로봇부품 연구 개발. 음식배달 플랫폼 '배달의민족'과 협업하여 배달용 로봇 서비스 진행 중. LG전자에서 지분 투자 (8.05%)
※ 로보스타 : 양팔을 이용한 소속의 물체 조작,조립 가능한 제조용 지능형 로봇 및 무인생산로봇 시스템 기술 개발. LG전자에서 지분 투자(33.40%)
* 물류로봇(AMR/AGV) 관련주
: 티로보틱스(전일 시간외 상한가) / 티라유텍(전일 시간외 +3.34%)
※ 티로보틱스 : 자율주행로봇의 비젼인식, 위치 및 제어에 대한 기반기술을 확보하여, 고하중 및 다양한 형태의 활용이 가능한 자율주행물류로봇(T-BOT1 SL, R, RC)을 개발. 이외에도 반도체, FPD 등의 생산공정에 필수적인 이송로봇인 진공로봇 및 재활로봇을 보유. 자회사 모션디바이스, 22년2월 국내 대기업 SI업체로부터 첫 AGV 소형 로봇 수주. 최근 SK온 향 수주 시작. 대규모 수주 지속 기대.
※ 티라유텍 :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및 자율주행로봇(물류 로봇) 판매업체. 스마트팩토리 구축에 필요한 SCM(공급망 관리 및 생산 계획), MES(생산 실행 관리) 및 설비 자동화 소프트웨어를 공급하고 있으며, 설비 제어 기술을 기반으로 산업용 IoT 디바이스 및 물류 로봇 등으로 사업 확대.
* 삼성 로봇 관련주
: 레인보우로보틱스 / 에브리봇 / 인탑스 / 아진엑스텍 / 라온테크 / 티로보틱스 등
※ 레인보우로보틱스 : 한국과학기술원 휴머노이드로봇 연구센터(휴보랩) 연구원들이 창업한 이족 보행 로봇 플랫폼 전문 벤처기업. 삼성전자의 지분투자로 인수가능성 부각.
※ 에브리봇 : 삼성전자 ODM 사업 영위. 지능형 로봇청소기 전문업체. 주력 제품 EDGE는 시장 점유율 1위. 서비스 로봇 사업으로 사업확대 준비 중.
※ 인탑스 : 삼성전자 웨어러블 로봇 '젬스' EMS 방식 참여.
※ 아진엑스텍 : 로봇 관련 모션제어솔루션 전문업체(삼성전자 자회사 세메스를 고객사로 두고 있음)
※ 라온테크 : 삼성전자 벤더사, 국내 유일 반도체 진공로봇 공급
※ 티로보틱스 : 자율주행, 의료재활 분야 종합로봇 기업. 삼성전자 출신 로봇 전문가 영입. 자회사 모션디바이스, 22년 2월 국내 대기업 SI업체로부터 첫AGV 소형 로봇 수주.
※ 삼익THK : 16년, 삼성전자와 함께 6축 다관절 수직 로봇 개발을 완료.
* 로봇 감속기 부품 관련주
: 에스비비테크 / 에스피지 / 해성티피씨 / 우림피티에스 등
※ 에스비비테크 / 에스피지 : 감속기 전문업체. 로봇용 감속기 국산화 성공. 현대차 지분 투자 루머.
※ 해성티피씨 : 국내 유일 로봇용 고정밀 감속기 생산
※ 이랜시스 : 청소기 감속모터 생산, 삼성전자 로봇청소기 납품 중
※ 우림피티에스 : 로봇용 정밀 감속기 업체 (삼성중공업과 국책과제 공동개발)
* 로봇 플랫폼 관련주
: 가온미디어 / 에브리봇 / 현대무벡스
※ 가온미디어 : 자회사 케이퓨쳐테크,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이용하여 로봇을 제어, 실시간 영상을 통해 모니터링 가능한 로봇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로봇 플랫폼 사업 영위.
※ 에브리봇 : 세계적 수준의 AI사물인식 기술을 보유한 이스라엘의 이뉴이티브(Inuitive)와 AI 프로세싱 모듈, AI 기술이 탑재된 자율주행 로봇 플랫폼 공동 개발. 향후 AI서비스 로봇 및 자율주행 무빙 플랫폼 출시 예정.
※ 현대무벡스 : 서비스로봇 반송장치, 서비스형 안내로봇, 로봇관제플랫폼 개발 과제 수행 및 사업화 완료. 22년 4월, 네이버 신사옥에 세계 최초 로봇 전용 엘리베이터 공급
경제뉴스 2 - 클라우드 MSP 관련주

- MSP(클라우드 관리 서비스 사업자) 시장이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는 분석.
- MSP는 기업의 클라우드 도입과 운영을 돕는 클라우드 솔루션.
- 지난 27일 시장 조사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MSP시장은 내년 71% 가량 커질 전망이며 몇 년간 가파른 성장이 이어질 전망임.
- 국내 대표 MSP 전문 기업으로는 메가존클라우드, 베스핀글로벌 등이 있으며 삼성SDS, LG CNS, SK C&C 모두 MSP사업을 강하화고 있는 추세.
클라우드 MSP 관련주
(파급력 : ★★)
- 클라우드 기업은 MSP(클라우드 관리 서비스 사업자)와 CSP(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로 나뉨.
- CSP 사업자는 AWS(아마존웹서비스)나 마이크로소프트처럼 클라우드 인프라와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회사를 의미.
- 국내 상장 기업들 중에서는 CSP와 연계된 기업들이 많은 상태.
- MSP사업자는 기업이 원활하게 클라우드를 도입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
- 다만 MSP시장이 레드오션으로 바뀔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함.
- CSP와 달리 MSP는 진입장벽이 높지 않으며 마진 역시 높지 않은 것이 단점.
- 하지만 AI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클라우드 산업의 성장은 필연적인 부분으로 MSP, CSP 관련 기업들 및 클라우드 관련주 전반에 관심을 지속해야할 듯.
* 클라우드 관련주(MSP 관련주)
- 나무기술 : 네이버클라우드와 MSP파트너십을 맺고 나무기술 클라우드 플랫폼 기술과 솔루션을 제공하는 고객에게 네이버클라우드의 Iaas를 활용한 서비스 제공. (네이버클라우드의 MSP파트너)
- 쌍용정보통신 : 2019년 프라이빗 클라우드 솔루션 '센 클라우드 스위트' 개발. 2020년 클라우드 관리서비스 제공자(MSP) 사업을 확대. 공공,금융,엔터프라이즈,게임 등 다양한 분야 고객 확보. 알리바바 클라우드, AWS(아마존웹서비스) 등과 협력관계 구축 중.
- 이니텍 : 국내 대표 MSP사업자 메가존클라우드와 클라우드 시장 확대를 위해 리셀러 계약을 맺고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메가존클라우드는 클라우드 인프라 전환을 검토하고 있는 금융 고객 대상으로 이니텍의 보안솔루션을 제공.
* 클라우드 관련주(AI 테마 관련)
- 엠로 : 기업을 대상으로 구매SCM 솔루션을 개발하여 공급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 업체. 클라우드 기반의 SaaS형 구매시스템인 emroCloud를 서비스중임.
경제뉴스 3 - 마이크로바이옴 관련주

- 미국 FDA가 지난 26일(현지시간) 세레스 테라퓨틱스의 경구용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보우스트'를 승인한다고 발표.
- 이로서 전 세계적으로 처음 '먹는'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가 FDA승인을 획득한 셈.
- 기존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는 환자의 항문에 직접 투여하는 방식이었음. 정상균을 보유한 사람의 대변을 추출, 환자의 장에 직접 주입하는 형태.
- 세레스가 승인받은 보우스트는 하루 적정 개수의 캡슐을 복용하는 식.
- 기존의 항문투여 방식보다 편의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된 부분이며 환자 입장에서도 치료의 거부감이 상당부분 감소되는 효과.
- 이는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치료의 획기전 개선과 규제불확실성 해소를 통핸 글로벌 시장 확대를 기대할 수 있는 부분.
마이크로바이옴 관련주
(파급력 : ★★)
-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는 그간 장 질환 연구에 집중되었는데 최근에는 면역,항암,뇌 질환 등으로 영역이 확대되고 있으며 최근 우리 정부가 마이크로바이옴 산업에 4천억원을 투자하는 등 정책적 지원이 이어지는 상태.
- 전문가들의 의견에 따르면 향후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은 더욱 활발해질 것이라는 전망.
- 현재 국내에서는 CJ바이오사이언스. 고바이오랩, 지놈앤컴퍼니가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다양한 연구개발을 진행중이며 두각을 나타내고 있음.
* 마이크로바이옴 관련주
: 지놈앤컴퍼니 / 고바이오랩 / CJ바이오사이언스
※ 지놈앤컴퍼니 : 마이크로바이옴을 기반으로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생물학적 제제를 연구,개발하는 기업임.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통해 얻어진 자료를 바탕으로 후보균주를 확보하고, 이들 중 In vitro/in vivo 실험을 통해 관련 파이프라인을 확장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항암제, 뇌질환 치료제, 난임, 아토피 치료제 등을 개발 중이며 미국 MSD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와 병용하는 담도암 환자 대상 임상 2상을 실시중.
※ 고바이오랩 :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사업과 기능성 프로바이오틱스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신약 개발 플랫폼인 Smartiome(스마티옴)을 구축하여,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후보물질 발굴에서부터 임상시험 및 제품화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자체 수행.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선, 천식, 염증성장질환 등에 대해 임상 2상 실시 중.
※ CJ바이오사이언스 :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미생물 유전체 생명정보 분석 플랫폼 및 솔루션,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맞춤형 헬스케어 사업 영위.마이크로바이옴 면역항암제 CJRB-101에 대해 미국 FDA에서 1·2상 임상시험 계획을 승인받았으며. 영국 4D 파마를 인수하고 신약후보물질 9건도 확보 중.
이상으로 경제뉴스 및 주식뉴스들을 체크해보았습니다.
★ 참고사항 : 해당 주식뉴스 및 경제뉴스의 이슈 파급력,리스크 평가의 경우 해당 재료에 대한 주식시장의 영향력, 재료의 지속성 및 확산성, 재료 및 주가의 변동성 정도를 감안한 지극히 주관적 관점에서의 평가이며 관련주들의 상승을 보장하지 않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더 자세한 내용은 정보채널에서 확인 가능 ※
(입장은 아래 클릭↓)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