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뉴스(9/7) - 알루마이얀 방한(네옴시티 관련주) / AMD 데이터센터 관련주 / 비만치료제 관련주 등
* '빈 살만 금고지기' 알루마이얀 방한…정기선 사장 만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알루마이얀 회장은 이날 밤 한국에 도착해 8일 출국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알루마이얀 회장이 한국을 찾는 것은 1년 4개월 만이다. 그는 지난해 5월 사우디아라비아 사절단 자격으로 윤석열 대통령의 취임식에 참석한 바 있다.
특히 8일에는 HD현대 본사에서 정기선 HD현대 사장을 만나 협력 방안도 논의한다.
HD현대는 정 사장의 지휘 아래 조선과 건설기계 분야에서 사우디와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HD현대는 사우디아람코개발회사와 사우디 국영 해운사인 바흐리와 손잡고 축구장 700개 넓이인 496만㎡ 부지에 합작조선소(IMI)를 건설 중이다. IMI 조선소는 중동 지역 최대 조선소로 올해 말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네옴시티 관련주 : HD현대건설기계 / HD현대인프라코어 / 진성티이씨 / 대창단조 등 건설기계 위주
* `HBM의 시대` 첨단 패키징으로 일격 준비하는 삼성
6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최근 HBM3를 엔비디아와 AMD 등 주요 고객사에 품질 승인을 받았으며, 제품 공급과 첨단 패키징 서비스를 일괄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8년부터 2.5D 패키징 기술인 '아이큐브'를 개발해 왔다. 지난 2021년 로직 프로세서에 HBM 4개를 결합하는 것에 성공했으며, 올해는 8개 HBM을 결합하는 아이큐브8을 출시할 예정이다.
내년부터는 웨이퍼 상태의 복수의 칩을 수직으로 적층하는 3D 패키지 기술도 본격 양산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이미 노출된 재료이긴하지만 리마인드
HBM 관련주 관심 지속
* AMD "하반기 데이터센터 사업 강한 성장세 예상"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스(AMD)는 회사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칩에 대한 관심이 매출로 전환되고 있다며 하반기에 강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했다.
6일(현지시간) 마켓워치에 따르면, AMD의 최고경영자(CEO) 리사수는 전날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골드만 삭스의 커뮤니코피아+기술 투자자 컨퍼런스에서 AI 데이터센터 하드웨어에 대한 관심이 한달 전 실적보고 당시보다 훨씬 높아졌다고 밝혔다.
실적 보고 당시 AMD는 고객의 참여가 전년도보다 7배 증가했다고 밝혔었다.
AMD의 AI 가속기 파운드리 담당하는 삼성전자의 HBM 밸류체인 관심 지속
* 마이크로소프트, AI반도체 스타트업에 투자
실리콘밸리에 본사를 둔 인공지능 반도체 스타트업 디-매트릭스가 마이크로소프트(MSFT) 등 투자자들로부터 1억1,000만달러 (1,460억원)를 투자받았다.
6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 회사의 시리즈 B 자금 조달 라운드는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테마섹이 주도했으며 캘리포니아의 벤처캐피탈인 플레이그라운드 글로벌과 마이크로소프트가 포함됐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챗GPT를 출시한 오픈AI에도 집중적으로 투자하면서 AI 분야 벤처 투자에 가장 적극적인 빅테크이다.
국내증시 관련 기업들에게는 크게 연관성이 없는 내용이지만 굳이 개연성을 엮는다면 MS와 AI분야에서 협업중인 이스트소프트
* 美와 다른 길 가는 사우디…연말 국제유가 100弗 넘나
미국 월가에선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의 원유 감산 연장 외에 원유 시장의 공급 부족을 심화할 다른 요인이 최근 많아졌다고 진단했다.
허리케인으로 인해 멕시코만의 원유 생산에 차질을 빚고 있는 데다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인 가봉은 쿠데타로 원유 공급에 타격을 받았다.
이 같은 원유 공급 문제가 물가를 자극하면 미국 중앙은행(Fed)이 긴축정책을 더 길게 가져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시장 조정받는다면 국제유가 관련주들 테마 수급 형성될 가능성도 존재
흥구석유 / 중앙에너비스 / 극동유화 등
* 항암제 가고, 비만·치매 온다… 2028년 가장 유망한 파이프라인은?
6일 업계에 따르면 제약·바이오 시장분석기관 '이밸류에이트'(Evaluate)는 최근 연례 보고서에서 2028년 기준, 가장 유망하고 기대 가치가 큰 상위 10개 신약 파이프라인을 공개했다. 파이프라인이란 제약사에서 R&D(연구·개발) 중인 신약 프로젝트다.
순위는 2028년 예상 매출이 아니라 파이프라인의 현재 가치 순으로 매겼다.
잠재 가치가 가장 높은 1위 파이프라인은 MSD의 폐동맥 고혈압 치료제 '소타터셉트'였다. 2028년 예상 매출은 26억달러(약 3조5000억원)다. 파이프라인의 현재 가치는 116억달러(약 15조5000억원)로 측정됐다.
비만치료제, 당뇨치료제,의료AI는 바이오 분야에서 메가트렌드로 확고히 자리잡는 모습
비만치료제 관련주 : 펩트론 / 인벤티지랩 / 대원제약 등

* EU, 빅테크 플랫폼 규제 본격화…구글·애플 등 규제 확정
이낸셜타임스 등에 따르면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알파벳(구글 모회사) △애플 △메타(페이스북 모회사)△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바이트댄스(틱톡 모회사) 등 6개사를 디지털시장법(DMA)에 따른 ‘게이트키퍼’(대형 플랫폼사업자)로 지정했다.
EU가 게이트키퍼를 지정한 건 올 5월 디지털시장법이 발효된 후 처음이다. 삼성전자도 스마트폰에 탑재된 자체 웹 브라우저 등을 통해 독점 플랫폼이 될 수 있다는 위험이 있다는 이유로 게이트키퍼 지정 가능성이 거론됐으나 최종 명단에선 제외됐다.
국제유가 상승 압박 + 해당 내용으로 인해 미국증시 빅테크 기업들의 주가가 대체로 조정.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