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laimer
* 전일 주요 이슈들 중 투자에 접목시켜볼만한 내용들을 정리합니다.
* 개인적인 투자 아이디어 기록 및 투자 전략을 공유하는 내용이며 특정 종목에 대한 매수 추천이 아닌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개인적으로 관련 종목들 중 일부를 매매할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 전혀 매매를 하지 않는 경우도 빈번하며 간혹 보유 종목들도 존재할 수 있어 단순 참고만 하시되 직접적인 판단하에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 작성자 본인은 해당 글에서 언급된 종목들을 보유하고 있을 경우 언제든지 매도할 수 있음을 인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정리 내용 중 오류가 있을 가능성도 있으므로 꼼꼼히 다시 살펴보시고 단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해당 블로그의 모든 콘텐츠는 비영리적 투자 아이디어 공유이며 수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틀리는 경우가 더 많음을 인지해주시기 바라며 모든 투자는 스스로의 판단으로 해주시기 바랍니다.
0. 시황/전략
#미국증시


- 키워드
: 금리인하 기대감 지속 vs 이번 주 물가지표(CPI) 경계심리
: 나스닥 사상 최고치 경신
: 10년물 국채금리 하락 추세
#원자재 / 금리


#특징종목
브로드컴(+3.21%)은 지난주 실적 발표에 따른 상승을 지속적으로 이어감. 특히 OpenAI로부터 100억 달러 규모의 칩 주문이 경쟁 우위를 보일 수 있다는 점이 긍정적인 요인
엔비디아(+0.77%)는 씨티그룹이 브로드컴 여파로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
엔비디아 CEO가 데이터센터 인프라는 10년내 3~4조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인데 이는 단순한 AI 솔루션을 넘어 가속 컴퓨팅으로의 근본적인 전환이 이뤄질 것이라고 주장
테슬라(-1.27%)는 콕스 오토모티브의 데이터가 미국 전기차 시장 점유율 결과 테슬라가 지난 8월 말 기준 38%를 기록했다는 소식
퀀텀스케이프(+21.05%)는 뮌헨에서 개최된 IAA 모빌리티 컨퍼런스에서 폭스바겐의 배터리 유닛인 파워코와 함께 자신의 기술을 두카티 레이스 바이크에 적용하여 첫 공개 시연을 성공적으로 마쳤다는 소식
메타 플랫폼(-0.02%)은 일일 사용자들의 방대한 데이터를 이용해 AI 광고 수익이 증가할 수 있다는 기대가 부각되며 상승 후 장 마감 앞두고 자본 지출 우려와 수익화 이슈가 부각되며 하락
알파벳(-0.34%)은 최근 상승에 따른 매물 소화하며 하락.
AI 광고 기업인 앱로빈(+11.59%)은 A&P500 포함 소식에 큰 폭 상승.
애플(-0.74%)은 9일 있을 아이폰 17 발표를 앞두고 기술 자문회사 퓨처럼 그룹 CEO가 “혁신성과 독착성이 부족하다”고 비판하자 하락
알리바바(+4.15%)는 AI 모델인 Qwen3-Max-Preview를 발표하자 상승. 시장은 관련 칩 발표로 AI 기술력이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했음을 보여준 강력한 신호로 해석. 관련 칩은 알리바바 클라우드를 통해 제공돼 클라우드 사업 성장 동력 확보도 긍정적

[미국증시 주요 섹터 일간 수익률]

[미국증시 52주 신고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APP (AppLovin)
BM: 모바일 앱 마케팅·광고 플랫폼
신고가 이유: AI 기반 광고 최적화 엔진(Axon) 성과로 수익성 개선
-CPNG (Coupang Inc)
BM: 이커머스·로켓배송 기반 온라인 리테일
신고가 이유: 한국 내 점유율 확대 및 수익성 개선 가시화
-LVV (Live Nation Entertainment)
BM: 공연·티켓·엔터테인먼트 서비스
신고가 이유: 콘서트 수요 호황 및 티켓 가격 강세
*테크
-MU (마이크론테크)
BM: 메모리 반도체(DRAM·NAND)
신고가 이유: AI 서버용 HBM·DDR5 수요 급증
-GLW (Corning)
BM: 디스플레이·광통신용 특수유리
신고가 이유: AI 데이터센터용 광섬유 수요 확대
-ALAB (Astera Labs)
BM: AI 데이터센터용 연결 반도체(CXL)
신고가 이유: AI 인프라 투자 확대에 따른 수혜
-UI (Ubiquiti Inc)
BM: 무선 네트워킹 장비
신고가 이유: 기업·가정용 네트워크 수요 증가
-CRDO (Credo Technology)
BM: 데이터센터용 고속인터커넥트 반도체
신고가 이유: AI 전송속도 수요 증가
-STX (Seagate Technology)
BM: HDD 스토리지
신고가 이유: AI 서버 스토리지 수요 회복
*Consumer Cyclical
-TM (Toyota Motor ADR)
BM: 글로벌 완성차 제조
신고가 이유: 하이브리드·전기차 판매 호조, 엔저 수혜
#체크포인트
-AI/반도체·보안·스토리지 → 데이터센터/AI 인프라 투자 모멘텀
-금 채굴·로열티 기업 → 금 가격 사상 최고치 랠리 수혜
-자동차(도요타·혼다) → 전동화, 엔저, 판매 호조 , 하이브리드 차량 판매 부각
-소비재(쿠팡·Sea·오렐리·Lululemon 제외) → 온라인/리테일 성장
-바이오텍/제약 → 신약 기대감
[국내증시 신고가 트렌드]
-조선 기자재 관련주 : 오리엔탈정공 / 한라IMS / 세진중공업 / 대양전기공업 / 화인베스틸 / 삼영엠텍 / 동성화인텍 / 한국카본
-건설기계 : 대창단조
-반도체 관련주 : 유니테스트
-지주사 : CJ / KCC
-제약바이오 : 디앤디파마텍 / 코미팜 / 메지온
-의료기기 : 넥스트바이오메디컬
-피부미용 : 엘앤씨바이오
[전일 유동성 강세 테마 / 섹터]
: 조선 기자재 관련주 - 한미 조선협력 모멘텀 , 조선 기자재 전반 멀티플 리레이팅 지속
: 반도체 - 탈엔비디아 흐름 가속화, K반도체 수혜 전망
: 피부미용 - 중국 관광객 무비자 입국 (9월 말) / 리쥬란 해외에서 인기 지속
: 로봇 - 노란봉투법, 보스톤다이내믹스 모멘텀 지속
-ADR

[대응전략]
: 나스닥 신고가 랠리 이어짐에도 전일 미국증시 흐름은 전반적 혼조세 양상. 상승종목 vs 하락종목 개수 엇비슷한 흐름 연출
: 9월 금리인하 확정은 상수가 된 가운데 연중 몇 번의 금리인하가 진행될지에 시장은 관심.
: 이러한 와중 이번 주 '고용통계 잠정 수정치 발표(오늘)', 생산자물가지수(10일), 소비자물가지수(11일)의 지표 이벤트들을 앞두고 경계심리는 이어지는 모습.
: 컨센을 크게 벗어나는 쇼크 수준이 아니라면 금리인하 유동성 장세 모멘텀 지속될 가능성에 무게. 9월 중 적당한 기간 조정 이후 10월 ~ 12월 연말랠리 예상.
: 종목 장세 이어질 가능성 생각하며 금리인하 수혜섹터, AI모멘텀 주식들 지속 관심
: 국내증시는 대주주양도세 불확실성이 9월 중 해소될 가능성에 무게. 전일 대통령과 구윤철 장관 발언을 참고하면 10억 하향 가능성은 매우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
: 긍정적 시나리오 50억 현행유지. 30억으로 진행되더라도 시장의 충격은 크지 않을 것. 이후에는 유동성 장세 , 3차 상법개정안 모멘텀에 관심을 가져야할 시점.
[관심섹터,종목]
#HD현대중공업
: 주도주 추세매매 관점으로 접근
: 미국 MASGA 프로젝트 수혜 + HD현대미포와의 합병으로 인해 회사의 체급이 상향되는 구간
: 대형 선사 중 모멘텀 가장 돋보이는 기업이며 멀티플 재부각되는 상황이라는 점, 향후 몇 년간의 실적/EPS 성장 지속되는 상황임에 조선 대형주 중 주도주 공략 탑픽으로 판단
*HD현대중공업 & HD현대미포 합병
(아래 삼성증권 레포트 인용)
: HD현대 조선 계열사간 합병 -> 대형선박 , 방산, 엔진과 중소형 선박(HD현대미포)를 모두 아우르는 밸류체인 완성
: 분산된 역량, 자원 일원화 -> 경쟁력 강화
: 한미 MASGA프로젝트 및 해양방산 확대에 따른 실적 개선 기대


(아래) 대신증권 이지니 연구원 코멘트 인용
1) 설계·조달·인력 체계가 통합
2) R&D 비용, 고정비 금융비용 등 절감 효과
3) 회사별로 나뉘어져 있던 도크 역시 합병 후 대형·중형선 믹스 최적화로 ASP와 마진을 동시에 끌어올릴 수 있음
*수주 관련
:7월 말 기준 동사의 수주잔고는 161척, 그 중 LNG 운반선은 52척 으로 1/3을 차지.
:매출에 인식되는 선박 중 2023년 수주물량이 가장 많은 데 해당 년도에 수주한 LNG 운반선은 30척.
: 특히 2023년 수주선박은 선 가 상승으로 인해 고수익선박으로 분류되어 이익 개선에 기여
(아래) 다올증권 최광식 연구원 코멘트
: 2024년 "초대박 고가물량" 신조선가 상승폭 1/3만 반영해서도 2026 ~ 2028년 실적상향 가능
-> 초대박 고가물량 매출인식 4Q25에 시작. 2026년 40%, 2027년 75%에 달하는 수준
: 하반기 LNG 발주 재개, MASGA 관련 투자 및 수주 소식 대기

*친환경 수요, LNG D/F 엔진 수요 증가 부각
:자회사 HHI-EMD를 통해 MAN ME-GI와 자사 HiMSEN 등 LNG DF 엔진 생산 레퍼런스 보유.
:최근엔 이중연료 엔진용 BOG 처리 신기술 의 선급 승인으로 시스템 가치가 높아짐.
:IMO의 친환경 엔진 수요와 함께 LNG 운반선의 수요가 맞물려 LNG D/F 엔진의 Q 증가 기대
:엔진 선별수주 및 단가 인상 지속되고 있어 엔진 사업 부문에서도 당사 수혜 가능

#이오테크닉스
: HBM4 공급 시점이 도래하면 신공정 기술 경쟁력을 가진 장비사가 돋보일 가능성.
: 이와 관련하여 펨토초 레이저 장비 공급하는 이오테크닉스를 계속해서 관심.
: 업계에 따르면, 이오테크닉스는 SK하이닉스와 레이저 기반 웨이퍼 절단 장비의 성능 평가를 진행하는 것으로 파악
: 이오테크닉스가 SK하이닉스 공급망에 합류하면 세계 3대 메모리 회사에 웨이퍼 절단 장비를 공급하는 성과
: 글로벌 HBM제조사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테크)은 올해 하반기 HBM4 양산을 앞두고 있음
: 3사 모두 펨토초 레이저 장비가 필요한 상황으로 판단되며, 디스코의 상용화 가능 시점 전까지 이오테크닉스의 과점 구도가 형성될 가능성 농후
:SK 하이닉스는 2025년 4분기 중(10~12월) 12-스택 HBM4 칩의 대량 생산을 시작
:따라서 펨토초 장비 제조하는 기업들은 현 시점부터 관심을 가져나갈 필요.
: 글로벌 펨토초 레이저 장비 플레이어는 디스코, 이오테크닉스 정도로 압축되는 상황.
: 현재 HBM4 펨토초 레이저 장비 공급 가능한 기업은 이오테크닉스가 유일. 경쟁사인 디스코 대비 약 3년의 기술 경쟁력 앞선 상태
: 당사 주가는 최근 조정 (MDD -15%) 가격 부담을 다소 덜어낸 상태
: 26~27년 컨센 기준 F/per 25~28배 수준.
: TSMC, 마이크론테크,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애플 등 국내외 핵심 IT기업에 대한 레퍼런스 보유, HBM4 핵심 장비 공급 가능성 농후한 점에 높은 멀티플 부여받을 가능성.
: 기존 레이저 장비 모멘텀 부각 외에 PCB업황 개선에 따른 PCB장비 실적 개선 가능성은 주가에 크게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

#티엘비
: PCB 업황 턴어라운드 관심.
: 반도체 섹터 역시 금리인하 수혜 섹터 중 하나. 관련하여 반도체 섹터 내에서 업황 턴어라운드 부각되는 PCB업종 관련주식들 관심 필요.
: 현재 PCB 9개사, 2025년 3Q 전체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0.6%(yoy/11.6% qoq), 43.2%(yoy/67.6% qoq)씩 증가를 추정.
: 삼성전기와 LG이노텍을 제외한 중견PCB 7개사의 매출과 영업이익도 각각 11.8%(yoy/14.7% qoq), 77.2%(yoy/90.2% qoq)씩 증가, 개선이 더 높을 전망.
: 티엘비는 3Q25 매출 최대, 2개 분기 연속으로 호조 예상. 서버향 메모리모듈의 가격 상승(ASP)과 높은 점유율로 수익성 호조가 지속.
: 3Q25 영업이익은 177%(yoy/11.8% qoq) 증가 추정
: 8월 ~ 9월 중 외국인 수급세 지속. 외국인 보유비중 2년 6개월래 최대치 확인. 중장기 모멘텀 부각받는 시점이라 판단.

※ 손실의 위험이 존재하니 투자 판단에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 모든 투자에 대한 최종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언급되는 종목들은 절대 매수 추천이 아니며 개인적인 생각의 공유일 뿐입니다.
※ 또한 간혹 보유중인 종목들을 언급하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 이러한 경우 보유중인 주식은 언제든지 매수,매도할 수도 있음을 인지하여 주시기 바라며 모든 내용들은 투자에 참고만 해주시기 바랍니다.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