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투자전략 , 관심종목 :: 반도체 섹터 집중관심 지속 , SOCAMM2, 엔비디아 루빈 CPX, GDDR7 관련주 심텍 관심

by 굿트레이더

2025.09.15 오전 07:51

*Disclaimer

* 전일 주요 이슈들 중 투자에 접목시켜볼만한 내용들을 정리합니다.

* 개인적인 투자 아이디어 기록 및 투자 전략을 공유하는 내용이며 특정 종목에 대한 매수 추천이 아닌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개인적으로 관련 종목들 중 일부를 매매할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 전혀 매매를 하지 않는 경우도 빈번하며 간혹 보유 종목들도 존재할 수 있어 단순 참고만 하시되 직접적인 판단하에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 작성자 본인은 해당 글에서 언급된 종목들을 보유하고 있을 경우 언제든지 매도할 수 있음을 인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정리 내용 중 오류가 있을 가능성도 있으므로 꼼꼼히 다시 살펴보시고 단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해당 블로그의 모든 콘텐츠는 비영리적 투자 아이디어 공유이며 수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틀리는 경우가 더 많음을 인지해주시기 바라며 모든 투자는 스스로의 판단으로 해주시기 바랍니다.

0. 시황/전략

#미국증시

- 키워드

: FOMC앞둔 경계심리

: 미국증시 최근 상승에 따른 숨고르기 시점

: 금리인하 기대감은 여전, 그러나 FOMC 일정 앞둔 셀온도 주의

: AI모멘텀 지속. 테슬라 강세. 자율주행,로봇택시 모멘텀 부각 중

-> 국내증시 AI디바이스 모멘텀(로봇,자율주행 등) 부각될 지 관심

#원자재 / 금리

#특징종목

테슬라(+7.36%)는 네비다주 타량국이 자율주행차 시험 운행을 공식 승인하자 상승 지속.

이사회 의장이 머스크 외에 향후 10년간 테슬라를 이끌 사람이 없다며 머스크를 세대를 대표하는 리더라고 언급한 점도 상승 요인.

테슬라 비관주의자인 게리 블랙이 미국에서 모델Y, 모델3 판매 증가하고 있고 마진 개선 등을 이유로 단기 주가 상승 전망을 언급한 점도 영향

마이크론(+4.42%)은 전일 시티가 AI 관련 수요 증가와 기술력 등을 이유로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한 영향으로 상승 지속.

[미국증시 주요 섹터 일간 수익률]

[미국증시 52주 신고가]

🔹 Technology (기술)

-마이크론 테크놀로지(MU)

→ 메모리 반도체 수요 회복 기대 및 목표가 상향

-아이온큐(IONQ)

→ 양자컴퓨팅 상용화 기대, 신규 파트너십 이슈

-샌디스크(SNDK)

→ 메모리/저장장치 수요 회복 기대

🔹 Consumer Cyclical (소비자 경기민감)

-케이시스 제너럴 스토어스(CASY)

→ 리테일 매출 성장 기대

-파라마운트 스카이댄스(PSKY)

→ 콘텐츠 투자 확대 및 인수 기대감

🔹 Communication Services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WBD)

→ 콘텐츠 흥행 기대 + 구조조정 효과

*체크 포인트

-차세대 기술주(양자컴퓨팅·반도체 저장장치)가 신고가 흐름을 주도하며, AI·데이터센터 수요 확산이 지속됨을 확인.

-소비재와 미디어 콘텐츠 분야에서도 특정 종목이 크게 부각, 경기 둔화 우려에도 리테일·엔터테인먼트 수요 견조함을 시사.

-시장은 전반적으로 기술 성장주와 스토리텔링이 강한 콘텐츠/엔터주 중심으로 쏠림 현상 강화.

[전일 강세 테마 / 섹터]

: 반도체 - AI모멘텀 / D램, 낸드 업황 호조 전망 / HBM4 모멘텀 부각

: 로봇 - 노란봉투법 수혜 / 현대차 보스톤다이내믹스 기대감 (9/17 현대차 인베스터데이)

: 제약바이오 - 금리인하 수혜 , 개별 종목 모멘텀 부각

: SOFC - 고체연료전지, AI데이터센터 에너지원 부각

-ADR

[대응전략]

: 금주 FOMC 일정 (한국시간 18일 03:00) 앞두고 셀온뉴스 경계심리 상존하는 모습.

: 미국증시는 지난 금요일 하락종목 개수 우세, S&P500, 러셀2000 지수 하락.

: 특히 금리인하 기대감에 상승했던 러셀2000 지수 -1%대 하락세.

-> 9월 FOMC 금리인하 발표 일정 관련 셀온뉴스 물량 선제적 출회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

: 그러나 9월 FOMC 금리인하 발표 후 시장은 셀온뉴스 발생 시 추세적인 하락보다는 일시적 조정 정도에 그칠 것으로 무게.

: AI모멘텀이 확장되고 있으며 유동성 장세 모멘텀 역시 강화되는 시점이라는 점, 경기침체 및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는 약화되고 있기 때문.

: 특히 국내증시는 정책 불확실성 해소(대주주양도세 50억 확정적) , 고객예탁금 증가세로 인한 풍부한 대기 매수자금 존재.

-> 조정의 기회를 주지않는 흐름이 나타날 가능성도 염두하며 주식비중 확대한 채 계속해서 상승랠리를 지켜보는 전략이 좋을 것으로 판단.

: 무엇보다 하반기 ~ 내년 상반기까지 반도체 업황의 긍정적 모먼트가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판단되며, 미국증시에서도 나스닥 지수의 약세 속 마이크론테크 주가 큰 폭 상승한 점은 국내증시 반도체 섹터 센티멘트에도 긍정적

: 반도체 섹터 내에서 여러 카테고리들의 순환매 가능성 존재. 최근 가장 우선적으로 부각받고 있는 낸드향 소재/장비 우선순위 관심. 이후 반도체 섹터 순환매 진행 시 신기술 트렌드 테마들 (SOCAMM, 유리기판 등) 관심.

: 내년 양산 앞둔 HBM4 관련주들(소재,장비 등) 지속 체크 필요.

[관심섹터,종목]

#반도체

*이슈 - 26년 이후 추론용 칩 규모가 훈련용 칩규모 능가 시작

(출처 : 카에데 님 텔레그램 채널)

  • 26년 이후 추론용 칩 규모가 훈련용 칩 규모를 능가하기 시작하며, 2030년에는 8:2로 벌어질 것

  • 추론 모델에서 성능을 결정짓는 핵심가치는 메모리 반도체(고정글 참조)

  • 위와 같은 시나리오라면 메모리반도체는 이미 시클리컬이 아니라 고성장 산업으로 리레이팅 필요


*체크포인트 - 클라우드 인프라 데이터 90% 여전히 HDD에 저장

-> 시게이트에 따르면 클라우드 인프라 데이터 90%는 여전히 HDD에 저장되고 있음.

-> HDD,SDD 및 낸드 소재,장비 관련 우선순위 관심

-> 그동안 NAND산업은 AI 시대에서 오랜 기간 외면받아왔기 때문에 아직 Valuation에 대한 부담감이 큰 구간이 아니라고 판단

: 공급 측면에서는 삼성전자의 2011년 HDD 생산 중단 등을 통해 대부분의 업체들은 SSD에 집중하고 있어 HDD산업은 Seagate와 WDC의 2강 체제로 공급이 한정

: HDD의 온기는 NAND산업 전반에 확장.

-> 그동안 NAND는 AI Server 수요에서 DRAM 대비 외면 받는 상황이었지만 최근 압도적인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는 Neo Cloud 업체들은 기존 Hyperscalers 대비 신생 업체들이기 때문에 NAND 재고가 크지 않아 신규 수요 동력원으로 작용

: 공급 측면에서도 삼성전자가 286L부터 Hybrid Bonding을 채택하며 공급에 추가적인 제약이 예상

: SK하이닉스는 SanDisk와 협업을 통해 HBF 샘플을 2H26 출시할 예정인만큼 HBM의 레거시 DRAM Capa 잠식과 유사한 효과를 기대

: 메모리 산업은 AI 수요로 인한 HBM 기대감도 존재하지만 레거시 메모리가 더욱 주목을 받고 있는 중.

: DRAM은 Server향 견조한 수요와 CXMT의 제한된 Capa 증설로 인한 중국발 과잉 공급 우려가 크게 완화.

: CXMT는 그동안 물량에 집중했던 것과 달리 중국의 AI Chip 내재화를 위해 HBM 내재화에 더욱 집중.

: 따라서 CXMT의 DRAM Capa는 4Q24 210K/m → 4Q25 280K/m → 4Q26 290K/m로 증가폭이 크게 둔화될 것으로 예상

*AI 추론 칩 확대 -> HDD, SDD 수요 증가 -> 낸드 소재,장비주 수혜

: AI산업은 추론 단계가 확장되고 있는 상황. 이에 따른 AI추론칩의 수요가 장기간 확대되는 분위기

: AI의 추론과 관련해서 학습한 내용들은 계속해서 데이터로 저장되어야 함.

-> 해당 단계에서 대용량 저장장치 필요함(HDD)

-> 이에 따라 막대한 데이터 저장이 필요(수요 확대) , 공급은 부족한 상황 (시게이트, 웨스턴디지털 양강 체제)

-> 침체되어있던 낸드 업황의 본격적 회복세 기대되며 이와 관련된 소재,장비주들 관심 필요.

*이슈 - 엔비디아 , SOCAMM1 백지화

: 엔비디아가 '제2의 고대역폭메모리(HBM)'로 불리는 저전력 D램(LPDDR) 모듈 '소캠(SOCAMM)' 도입 계획을 변경.

: 소캠1 프로젝트를 백지화하고 소캠2 도입을 결정, 메모리 3사와 테스트에 착수.

: 소캠1에서는 마이크론이 경쟁 우위를 점했으나 삼성전자, SK하이닉스에 만회 기회가 생겼다는 평가

: 기술적으로 소캠2의 입출력(I/O) 단자는 소캠1과 같은 694개지만 데이터 전송속도는 최대 9600MT/s로 소캠1 8533MT/s(마이크론)보다 빠름.

: 또 차세대 저전력 메모리인 LPDDR6 탑재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짐.

-> 관련 수혜주 : 심텍 / 티엘비 / 마이크로컨텍솔 등

*엔비디아, 루빈 CPX 출시 예정

: 엔비디아는 내년에 추론용 칩인 루빈 CPX를 출시, 가성비 좋은 추론 칩으로 HBM 대신 GDDR7이 탑재됨(128기가바이트 용량)

: 앞서 엔비디아는 지난 1월 게임용 그래픽카드 '지포스RTX5090'에도 GDDR7을 적용한 바 있음.

: GDDR7의 초기물량은 삼성전자가 독점공급.

#심텍 (관심종목)

*체크 포인트

: SOCAMM , GDDR7용 기판 매출 본격화

-> SOCAMM, GDDR7 적용 확대의 최수혜주중 하나라는 판단

: 엔비디아 루빈 CPX 관련주 부각 (GDDR7 수혜)

*주요 BM

: 메모리모듈용 PCB, 반도체 패키지 기판 주력

: 주요 제품 - SSD , PC, 서버용 모듈기판, 메모리 반도체 패키지 기판(MCP, GDDR, BOC)

: 매출비중 - 패키지 기판 71% , PCB모듈 28%

: 고객사 매출 비중 - 삼성 57% , 하이닉스 15%, 마이크론 14%

1) 투자포인트

*DDR5

: DDR5는 이전세대 대비 향상된 성능과 전력효율성을 제공

: AI서버 ,고성능 컴퓨팅, 차세대 PC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요 급증

: 심텍은 메모리모듈용PCB및 반도체 패키지 기판 분야 세계 시장 점유율 1위 차지

-> DDR5 확대에 따른 직접적 수혜 전망

*SOCAMM

: 엔비디아가 최근 소캠1 프로젝트를 백지화하고 소캠2 프로젝트에 착수한 것으로 확인

-> 소캠1에서는 마이크론테크가 우위를 점했으나, 백지화되며 소캠2부터는 메모리 3사(삼성,하이닉스,마이크론)가 같은 선상에서 다시 출발

: 이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에 전화위복으로 작용. 삼성,하이닉스는 3분기부터 소캠 양산을 예고했으며 국내 수혜주들(심텍 등) 관심 필요.

: 당사는 SOCAMM 개발 초기 단계부터 엔비디아, SK하이닉스 등과 협력을 통해 관련 기판 기술을 선제적으로 개발

: 당사의 SOCAMM 기판 매출은 4Q25부터 본격화 예상. 9월 출시 예정인 GB300에 약 10% 우선 탑재, 내년부터 탑재율 40% 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

*GDDR7

: 지난주 엔비디아는 차세대 AI반도체 '루빈 CPX'를 공개

: 루빈CPX에는 최신 그래픽 D램인 GDDR7이 탑재되며, 내년말부터 본격적 출하 시작됨

-> 루빈 CPX 출시 내년말로 예정 , 반도체 기업들은 내년 1분기부터 양산 돌입 , 엔비디아 공급 시작할 것

: 업계에서는 엔비디아의 잇다른 GDDR7채택이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 확대를 견인할 것으로 전망.

-> 심텍은 국내 고객사들에게 GDDR7용 기판 공급을 본격화, 수익성이 크게 개선될 가능성

*실적

: 2분기 실적

-> 매출 3408억 (+YoY 9%) , 영업이익 55억 (+54%, YoY)

-> 전 부문 매출이 전분기 대비 증가하며 턴어라운드 성공

: 2025년 - 매출 13,665억 / 영업이익 307억 / OPM 2.24%

: 2026년 - 매출 15,074억 / 영업이익 936억 / OPM 6.2%

: 2027년 - 매출 16,630억 / 영업이익 1334억 / OPM 8.02%

※ 손실의 위험이 존재하니 투자 판단에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 모든 투자에 대한 최종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언급되는 종목들은 절대 매수 추천이 아니며 개인적인 생각의 공유일 뿐입니다.

※ 또한 간혹 보유중인 종목들을 언급하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 이러한 경우 보유중인 주식은 언제든지 매수,매도할 수도 있음을 인지하여 주시기 바라며 모든 내용들은 투자에 참고만 해주시기 바랍니다.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굿트레이더

고수

콘텐츠 5569

팔로워 228

실제 단기매매 계좌를 운영하듯이 포트를 운영하여 종목교체가 매우 빈번합니다.(회전율이 매우 높습니다.) 제 계좌를 따라하시기 보다는 공부용으로만 봐주시기 바랍니다.
댓글 0
0/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