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섹터가, 내 종목이, 있어야 비중을 왕창 투입하고, 좀 더 성숙한 투자자가 될 수 있다고 생각.
금리인하가 도래하게 되고, 진행이 된다면 미루어진 PJT 및 신규 PJT에 대하여 가속도가 붙을수도 있다고 생각
우선 풍력 뉴스 2가지 공부
개인적으로는 삼강엠엔티가 라는 사명이 더 익숙하고 앵커를 오고 가는 통로 Hawse Pipe라는 품목도 구매 경험이 있는 기업
대형 철판을 동그랗게 말아서 용접하고 여기서 조선소 기준에 부합하는 기술력이 문제가 되어 국내 가능한 업체가 얼마 없었음.

후육강관이라는 단어가 있어 찾아봄, 상기 언급된 Hawse Pipe와 비슷한 개념임.


현재는 후배가 대만 주재원으로 있어, 충분히 이런 저런 내용이 깊게는 아니더라도 확인 가능,
우선은 해당 기사에 대한 선 요약, 사업보고서 및 레포트 확인 예정, 조선비중은 감소추세
(어떻게 보면 당연한걸지도...소형선박 경쟁상대는 짜장제국)


SK오션 플랜트 - '후육강관' 국산화로 하부구조물 독보적 경쟁력 갖춰 (23년 5월30일)
해외 신규 시장으로 영향력을 확대, 풍력 전문기업으로 도약
-.19년 대만 진행중인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 PJT에 세계 유수의 개발사로부터 러브콜 접수중,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입증
-.23년은 6004억 규모의 대만 하이롱 해상 PJT 프로젝트 수주 (24년 12월까지 재킷 52기 공급 계획임)
-.19년 부터 지속적 매출 상승. 22년은 매출,영업이익은 창사이래 최고실적인 매출 6918억, 영업이익 719억
-.하부구조물 누적 수주 총계는 23년1분기 기준 1조4445억원기록, 수주잔고는 6892억
-.최근 코스닥 -> 코스피 이전 상장, (현재 24년06월 기준 시총 8600억 수준)
주요 경쟁력은 3가지
1) 후육강관 기술력, 수입에 전량 의존하던 후육강관을 국내 최초로 국산화, 이를 토대로 하부구조물 분야에서 독보적 경쟁력 확보
2) 고성조선해양산업특구 내에 보유한 93만 ㎡에 달하는 대규모 야드, 동사의 주요 생산품은 1기당 높이 93M, 무게 2.2T, 대규모부지 필수.
고성에 들어설 새로운 야드는 약 160만 ㎡로 기존 야드 면적인 93만 ㎡ 대비 약 1.7배에 해당하는 크기로 조성
3) 생산 구조물 바다로 싣고 갈수 잇는 접안 부두 (10-15M에 이르는 수심과 600M가 넘는 부두의 물류경쟁력)
신규시장 진출 본격화
-.베트남, 미국, 호주 등 신규 해외시장 진출 전망, 글로벌 해상 풍력 설치 지역은 기존 유럽에서 아시아, 북미로 확대
-.맥킨지 22년 글로벌 에너지 전망 모델에 근거, 2050년 탄소중립시나리오 전제로 산정시, 전세계 해상풍력 용량은 약 1000GW로 총 5000조 규모 (1GW당 총 사업비 5조원 가정시)

<출저 :당사 홈페이지>
회사의 목표는 해상풍력 종합 전문 기업으로 도약
-.27년 매출 약 3조, 기업가치 5조원 이상 기업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모기업인 SK에코플랜트와 시너지 기대 (SK에코플랜트는 해상풍력 사업, 핵심기자재 생산, 수전해를 통한 그린수소 생산 기술까지
‘완성형 그린수소 밸류체인’를 갖추고 있음
-.SK오션플랜트는 시너지 극대화를 위해 해상 풍력 하부구조물 사업을 넘어 해상풍력발전단지에서 생산된 전기를 송전하는 해상변전소 (OSS)
까지 사업 영역을 확대할 계획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30530/119538641/1
바다위의 유전 '부유식 해상풍력' 시장 커진다 (21년 5월13일)
부유식 해상 풍력 시장 증가추세
-.30년 글로벌 해상풍력 시장이 최대 19~30GW까지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음
-.한국도 부유식 해상풍력 사업에 유리한 입지를 바탕으로 본격 레이스에 돌입 (2050년 탄소중립 실현에 부유식 해상풍력이 핵심역활)
-.19년 기준 영국,일본을 중심 65.7㎿가 설치된 부유식 해상풍력이 30년 아시아, 유럽, 북미 중심 최대 19GW 규모로 설치 전망
-.25년 부터 부유식 해상풍력 시장이 본격 성장화로 예상 (IRNEA는 2030년 최대 30GW까지 부유식해상풍력 확대로 전망)
-.청화대 역시 해상풍력 세계시장이 현재 상용화 초기단계이나 2030년에는 누적설치 규모가 2019년의 100배 수준으로 성장 전망
부유식 해상 풍력
-.터빈을 해저 지반에 고정된 기초 위에 설치하는 고정식과 달리 부유체에 터빈을 설치해 운영하는 방식
-.50~60m 이상 심해에도 설치 가능, 먼 바다의 바람 자원을 활용 가능, 입지제약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워 대규모단지 조성가능
-.기존 방식을 넘어서 먼 바다 바람 자원까지도 활용한다는 점에서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 2050 탄소중립 실현에 중요한 역할 가능
-.국내최초 부유식 해상풍력 추진에 나선 울산시는 울산 해상 동해가스전 인근에 2030년까지 서울시 면적의 2배에 달하는 부유식
해상풍력 단지를 건설, 576만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6GW 규모 전력을 생산할 계획임.
-.정부가 내년 발전사업을 허가하면 2023~2030년 총사업비 36조원이 투입됨.
-.울산은 부유식 해상풍력 산업 발전에 유리한 조건 구비 (평균 초속 8M이상의 우수한 풍향, 동종섹터의 기업들이 다수 존재함)
-.부유식 해상풍력 관련 기술개발도 숨 가쁘게 진행되고 있는중
-.에너지공단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부유식 해상풍력 관련 △㎿급 부유식 시스템 △운송 및 설치기술 △다이내믹 케이블 △유지보수 등 핵심기술 개발이 정부 주도로 추진 중임
Study 사항
-.회사는 왜 신규 부지를 확장하는가?
-.회사는 고정식에서 부유식으로 진행이 되고 있는가?
-.고금리 영향에서 PJT의 연기, 취소우려는 그렇다면 다시 진행은 어느시점에?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