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기업 F/up] 켐트로닉스 (Feat.OLED 공급선 및 아바텍)

by 낙민동추노

2024.04.27 오후 16:36

본업 + 가시화 되는 반도체 소재 + 그리고 당겨올 수 있는 미래

문제는 가벼움으로 인하여 많이 사지 못한건 대역죄. (일부 사팔사팔 때문에...)

아이패드 관련 OLED 새로운 기술과, 같단하게 공급사에 대해서 잘 정리 되어 있는 내용의 뉴스

(사실 증권사 레포트에도 이미 많이 노출)

LGD는 식각은 아바텍이 하는것은 알고 있었지만, 해당건에 대한 뉴스가 있어 다시 확인.

결론은 MLCC 신사업, 그리고 OLED 식각공정 진행으로, 강력한 턴어라운드가 생길 수도 있지만, 우선 투자대상에서는 제외

대응은 켐트로닉스 추가 매수로... (싸진다는 조건하에... 안싸지면...ㅠㅠ)

아바텍

모임1.에서 예전에 한분이 언급도 하고 자료 공유도 해주었는데,

소재업체는 공부를 좀 제대로 해봐야 되겠다. 그때 다른 분이 UDC도 언급도 해주셨다 (불황도 강하고, 호황은 더 강한)


24년 4월26일 신상뉴스

  • 애플 아이패드에 OLED 적용은 이번에 처음 (기존 LCD), 12.9인치, 11인치 OLED 탑재 준비중, (경박단소)

  • 애플 아이폰에 적용되지 않던 새로운 기술 LGD와 삼성D에 적용.

  • 새로운 기술은 1. 하이브리드 기판 / 2. 투스택 탠덤 / 3.16층고다층 경성인쇄회로기판 (RPCB)

1.Hyd.Oled

  • Hyd Oled는 Rigid OLED의 유리기판 + Flex.OLED의 박막봉지 (TFE)를 적용 (기존은 PI소재기반 플라스틱 기판 사용, Flex.OLED사용)

  • 유리기판 사용으로 인하여 식각 작업은 필수. (유리기판 불필요한 부분을 부식액을 이용, 제거하고, 앏게 만드는 과정)

  • 아이패드 OLED 500마이크로미터(㎛) 두께 유리기판을 200㎛로 식각하는 것으로 알려짐

  • LGD는 아바텍이, 삼성D는 켐트로닉스가 식각 작업을 진행

  • 아바텍 - 2000년 설립된 IT 부품 소재 전문기업 (패덜두께 축소의 에칭기술 보유) & 켐트로닉스 - 1983년 설립, IT소재 및 케미칼 사업 추진중

2. 투스택 텐덤

  • 애플은 IT기기에 아이패드에 처음으로 투스택 탠덤 기술 적용 - OLED층을 두개로 적층

  • 유기발광층을 두 개 층으로 연결하기 위해 고굴절 전하생성층 (CGL)이 들어가는 것이 특징.

  • CGL은 전류를 흘려주면 두 개 층에서 전자와 정공을 효율적으로 전자수송층 (ETL), 정공수송층 (HTL)등 발광층에 연결하는 역활

  • 발광층 소재가 싱글스택에 비해 1.3~1.5배 재료가 투입되므로 OLED 소재업체 수혜 가능으로 예상

  • LGD는 LT소재가 그린(G)호스트, 피엔에치테크가 고굴절 캡핑레이어 (CPL), LG화학은 P도판트와 적(R)·녹(G)·청(B) 호스트를 공급

  • 삼성D는 덕산네오룩사가 레드(R) 프라임과 정공수송층 (HTL), 탠덤기술에 필요한 pCGL등, LG화학은 전자수송층 (ETL)과 정공방어층 (a-ETL), 삼성 SDI가 G호스트를 공급

덕산 네오룩스 - 시총 9200, PBR 2.6 & 피엔에이치 테크 - 시총 1,550, PBR 3.1

3. 16층 고다층 RPCB

  • 아이패드는 경성인쇄회로기판(RPCB)이 사용, (아이폰 RFPCB는 단단한 경성(Rigid) 기판과 구부러지는 연성(Flexible) 기판이 혼합된 제품임)

  • 삼성디스플레이 패널은 코리아써키트가 현재 대부분 물량을 소화 중이고, 비에이치도 다음 달부터 양산에 돌입해 본격 공급할 것으로 알려짐.

  • 코리아써키트는 최근 고점은 CXL이슈로 부각, 비에이치는 오늘 보니 주식격언 바닥아래 지하실이 있다는 뜻을 알수 있는 모양새,

  • 개인적으로는 계속 이럴까? ROE가 지금보다 증가하고, 하반기 애플의 아이폰 신제품 출시도 있다면 계속 이럴까? 금리때문에 계속 이럴까?

코리아써키트 - 시총 3760, PBR 1.0 & 비에이치 - 시총 5,750, PBR 0.83


23년 03월06일 뉴스

1.신사업 MLCC

  • 신사업으로 육성 중인 MLCC 2공장을 상반기에 착공 계획, 지난해 130억원을 투자, MLCC2공장 부지 확보한 적 있음.

  • 동사의 MLCC 2공장건설인 신사업 확대결과, 지난해 처음으로 수십억원규모 MLCC 매출 발생

  • 지난해 이스라엘 태양광인버터 업체 솔라엣지테크놀로지스와 34억원 규모 MLCC 계약 체결, 지난해 12월 계약 종료. 지난해 매출 반영

  • MLCC는 신뢰성이 중요한 부품으로 올해도 솔라엣지에서 관련 매출 올릴것으로 예상

  • 지난해 MLCC 계약 물량은 2.5개월 분, 1개월은 약 14억 수준, 12개월 환산시 160억 가량, 시장에서 아바텍 MLCC 매출은 300억 가량 예상

  • 분기보고서에는, 하기와 같이 언급

"2022년 8월부터 세계 1위 태양광 인버터 기업 솔라엣지테크놀로지스와 공급계약을 체결했고 안정적 공급능력으로 신뢰를 얻고 있다"

"연간 수백억원 규모 MLCC를 공급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어 "차후 전기자동차와 5G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적인 개발을 진행 중"

  • MLCC2공장 착공도 수요 확대 영향, 21년3월 회사 2대주주 (12.81%)인 LGD에 MLCC납품, 다음달은 전장용 MLCC를 처음 출하

  • 20년 MLCC 매출 400만원 (0.01%), 21년 MLCC 매출 9억 (전체 1.11%), 지난해 3분기 누적 MLCC 매출 2,700만원 (솔라엣지 발생 이전)

2. 식각사업

  • LGD향으로 하이브리드 OLED에서 0.5T(mm) 두께 유리기판 하판을 0.2T 두께 '울트라신(UT) 기판'으로 얇게 만드는 식각 공정 진행

  • 하이브리드 OLED는 RIGID와 비교해 유리봉지를 필름 형태 박막봉지로 대체하기 때문에 유리기판 상판이 없어지고,유리기판 하판만 존재

  • 기존 LCD에 사용했던 식각과 동일한 방식 적용, 이는 LGD가 6G라인 생산 아이패드는 기존공법사용, 향후 8G라인 생산 OLED는 신공법적용

  • 지난해 1월 OLED 신규식각인쇄사업을 위한 설비투자에 80억원을 같은해 9월까지 투자한다고 밝힌 적이 있음

  • 이때 "설비 신규투자는 합착(라미네이션),인쇄,건조,물류에 해당하고 1개 라인"이라고 설명하였음 (LCD 패널 사용한 식각을 OLED에도 적용)

  • 아바텍은 지난해 11월 분기보고서에 지난해 1~10월 'OLED 6세대와 8.5세대 모델 적용을 위한 패널 슬리밍·프린팅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힘.

  • 지난해 매출732억원, 영업손실 54억원, 당기순손실 43억원을 기록함. (매출은전년비 9.4%감소, 영업손실은 2배이상 확대, 당기는 적자)

  • 삼성D는 6G라인에서 만드는 아이패드 OLED부터 신공법 식각 적용 (켐트로닉스는 6G OLED 식각 신규 시설 242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힘.

  • 해당 식각은 삼성D의 5.5G 리지드 OLED 후공정 시각에 적용했던 것과는 다른 새로운 기술을 사용.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20051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낙민동추노

파머

콘텐츠 1993

팔로워 0

-
댓글 0
0/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