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루라이드 + EV6 차량은 잘 팔리고, 전기차/하이브리드/내연기관 모두 다 잘 해나가고 있고, 신규모델은 계속 출시중이며,
이미 미국에는 현지화하여 장기간 진출 한 상태이다. 조지아주 합작공장에서는 전기차 생산이 논의된다고 한다.

관세가 어떻게 될지는 모르지만, 조지아주 주민들이 좋아하지는 않을 것 같다. 특히 뉴스내용 처럼 진짜 57만명 고용이라면... (진짜 57만명 맞나?)
시가 배당금액은 \6,500원 아마 배당락일에는 \6,000-\7,000 정도의 마이너스 변동이 생기겠지만,
추가매수로 대응한다면, 오히려 Thanks.
Building EVs is next on the agenda at Hyundai and Kia’s joint plant in Bryan County, Georgia.
The company touts the $20.5 billion it has spent in the US on its domestic production facilities,
which it says employ over 570,000 workers.
Korean automaker Kia (000270.KS), is killing it.
Kia America, part of the Hyundia Motor Group, reported another record sales month in February, powered by its mix of gas powered offerings like the high-selling Telluride SUV, as well as EV vehicles like the EV6 crossover.
현대자동차그룹의 계열사인 기아 아메리카는 2월에 판매량이 높은 텔루라이드 SUV와 EV6 크로스오버와 같은 전기차 차량의 혼합에 힘입어 또 한 번 기록적인 판매량을 기록했습니다.
"So our grand strategy is, first, we want to be a leader in what we call sustainable mobility. This is key, is mission, and EVs are part of that, and also includes electrified internal combustion, which is hybrids and plug in hybrids and so on," Steven Center, Kia Americas COO & EVP told Yahoo Finance. "But we we've also built out a very full lineup of internal combustion vehicles in the past few years."
"따라서 우리의 원대한 전략은 첫째,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의 선두주자가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핵심이며, 미션이며, 전기차도 그 일부이며 하이브리드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등 전기 내연기관도 포함됩니다."라고 기아 아메리카의 COO 겸 EVP인 스티븐 센터는 야후 파이낸스와의 인터뷰에서 말했습니다. "하지만 지난 몇 년 동안 내연기관 차량의 매우 전체 라인업도 구축했습니다."
Center mentions the aforementioned three-row Telluride, as well as the Sorrento and other smaller SUVs. The company didn’t abandon sedans — like its Big Three rivals did — and just introduced the midsize K4 last year. The larger K5 is actually built in North America.
센터는 앞서 언급한 3열 텔루라이드와 소렌토 및 기타 소형 SUV에 대해 언급합니다. 이 회사는 빅3 라이벌처럼 세단을 포기하지 않았고 작년에 중형 K4를 출시했습니다. 더 큰 K5는 실제로 북미에서 생산됩니다.
A big part of the growth plans for Kia include localizing production in the US, which it has done for many years. Kia intends to move its EV production stateside as well.
기아차의 성장 계획에는 수년간 해온 미국 내 생산 현지화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기아차는 전기차 생산도 주 단위로 이전할 계획입니다.
"We're going to be building EVs in Georgia, and that's before any of this tariff talk. Kia has been in the United States for over 30 years now, and we've invested as a company, billions and billions and billions of dollars in American manufacturing and supply chain," Center said. "So this is part of a plan we've had for a long time."
"우리는 조지아에서 전기차를 생산할 예정이며, 이는 관세 협상 이전의 일입니다. 기아차는 미국에 30년 넘게 진출해 왔으며, 우리는 미국 제조 및 공급망에 수십억 달러, 수십억 달러를 투자했습니다."라고 센터는 말합니다. "따라서 이것은 우리가 오랫동안 가지고 있던 계획의 일부입니다."
Officially, Kia addressed the 800-pound gorilla in the room —Trump's auto tariffs — by stating the company is monitoring tariff developments and will be reviewing business strategies in response.
공식적으로 기아는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인 800파운드 고릴라에 대해 관세 개발을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비즈니스 전략을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But — and this is a big but — the White House hasn’t targeted vehicles made in South Korea, where Kia is based and still imports vehicles in the US.
하지만 백악관은 기아자동차가 본사를 두고 있고 여전히 미국에서 차량을 수입하고 있는 한국산 차량을 표적으로 삼지 않았습니다.
Ford CEO Jim Farley has been howling that not targeting other international imports with tariffs is unfair because international automakers like Kia are essentially getting a free ride, whereas imports from Mexico and Canada — also part of a free trade agreement — are slated for 25% duties starting April 2.
포드 CEO 짐 팔리는 기아와 같은 국제 자동차 제조업체는 기본적으로 무임승차를 하고 있는 반면, 멕시코와 캐나다(자유무역협정의 일부) 수입품은 4월 2일부터 25%의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기 때문에 관세로 다른 국제 수입품을 겨냥하지 않는 것은 불공평하다고 울부짖고 있습니다.
Unfair or not, it’s likely only a matter of time before other trade partners are targeted by the administration, and Center believes Kia has a good game plan if that happens, because of its large US footprint.
불공정하든 아니든 다른 무역 파트너가 행정부의 표적이 되는 것은 시간 문제일 가능성이 높으며, 센터는 기아차가 미국 내 입지가 넓기 때문에 그렇게 된다면 좋은 게임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믿습니다.
"[Tariffs] will affect every bran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ir balance of what they make where. So in our case, and we've had plenty of meetings about this in the past few months, we've got our business plan, and we're going to continue to work that plan to the best advantage of our customers, our dealers — who are also customers who have big investments in Kia — and to hit the volume levels, we want to keep growing [in the US]."
"[관세는] 각 브랜드의 수익 균형에 따라 다르게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저희의 경우 지난 몇 달 동안 이에 대해 많은 회의를 가졌고, 사업 계획도 수립되었으며, 앞으로도 기아차에 대규모 투자를 하고 있는 고객인 딜러들에게 최선의 이점을 제공하기 위해 이 계획을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며, 물량 수준을 달성하기 위해 [미국에서] 계속 성장하고 싶습니다."
Center added: "We're not chasing business rules, we're doing what we think is the right thing for Kia, and that's building as many cars as we can here."
센터는 "우리는 비즈니스 규칙을 쫓는 것이 아니라 기아차가 옳다고 생각하는 일을 하고 있으며, 이는 우리가 할 수 있는 한 많은 자동차를 생산하는 것입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Building EVs is next on the agenda at Hyundai and Kia’s joint plant in Bryan County, Georgia. The company touts the $20.5 billion it has spent in the US on its domestic production facilities, which it says employ over 570,000 workers.
조지아주 브라이언 카운티에 위치한 현대와 기아의 합작 공장에서 전기차 건설이 다음 의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57만 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는 국내 생산 시설에 미국에서 지출한 205억 달러를 선전하고 있습니다.
At Kia’s big "Kia Day" event in Portugal late last month, the automaker unveiled a number of new vehicles, including the EV4, a sporty EV sedan that also comes in hatchback form.
지난달 말 포르투갈에서 열린 기아차의 대규모 '기아 데이' 행사에서 기아차는 해치백 형태의 스포티한 전기차 세단 EV4를 비롯한 여러 신차를 공개했습니다.
Center believes cars like the EV4 will only grow the company’s sales and not cannibalize other similar vehicles like the gas-powered K4 or larger EV6 midsize crossover; these will be "net incremental volume," he says, meaning its sales will be additional sales over and above what Kia normally would get.
센터는 EV4와 같은 자동차가 가스 구동 K4 또는 더 큰 EV6 중형 크로스오버와 같은 다른 유사한 차량을 식인하지 않고 회사의 판매량만 늘릴 것이며, 이는 "순증분량"이 될 것이며, 이는 기아차가 일반적으로 얻을 수 있는 것 이상의 추가 판매량이 될 것이라고 말합니다.
Korean automaker Kia, is killing it. Kia America, part of the Hyundia Motor Group - reported another record sales month in February, powered by its mix to gas powered offerings like the high-selling Telluride SUV, as well as EV vehicles like the Ioniq 5 hatchback.
finance.yahoo.com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