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기간 동사무소에 갈 일이 생겨 방문하니,
잡지를 무료로 가지고 가라고 하더라.
모두가 좋아하는 가상자산에 대한 내용이며, 과거라면 하지 않겠지만, 달러자산의 약10%정도는 BMNR투자중.
15-20%까지 확대해볼까 생각중인데, 변동성이 장난 아니다.
초기 42$수준에서 일부 매수, 이후 일주일간 매수하기로 한 금액만큼 분할로 지속적으로 매수.
현재는 평단 위에 있는 가격이어서 중지한 상태임.


24년9월 한경머니 기사 내용
작년 7월 실업률 예상치 상회 =>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 => 엔케리 트레이딩 청산 => 투자 시장 변동성 극대화.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플과 SEC의 4년간 소송이 일단락 되면서 가상자산 시장이 반등세를 보여줌
반감기 이후 1-2년 내의 가격 급등 패턴
금리인하 => 위험자산인 비트코인 가격은 상승
금리인상 => 기업 수익 할인율이 증가 => 예금금리 인상 => 위험자산 매력감소
저금리 => 유동성 풍부 => 돈의 힘 발생 => 투자 자산시장 상승 => 24년여름 금리인하 가능성 증가 => 가상자산,투자자산 기대감 증가
비트코인 반감기
거시경제 유동성과 금리와 무관하게 반감기 이후 1-2년이내 비트코인 가격은 급등 => 금리와 비트코인이 반드시 반비례하는 것은 아님
금리와 유동성 보다는 반감기 싸이클로 인하여 비트코인 가격이 상승
미국 기준금리 & 비트코인 가격 추이
특이점 두번째 반감기에는 양적긴축 & 금리인상시기 => 그렇지만 비트코인 가격은 상승
금리인하와 양적완화 예상 => 비트코인 상승론에 힘이 생기고 있음

시기 |
최저가 |
최고가 |
상승률 |
비고 (당시 금리상황) |
2012 반감기 - 2013 |
$12.35.00- |
$1,242.00- |
100배 |
08년 이후, 09-14년 까지 양적완화 "0" 금리시기 |
2016 반감기 - 2017 |
$665.00- |
$19,785.00- |
30배 |
17-19년 양적긴축으로 금리인상 15년12월 "0" 금리 종결 |
2020 반감기 - 2021 |
$8,572.00- |
$68,997.00- |
8배 |
20-22년 양적완화 구간 20년3월부터 "0"금리 유지 |
2024 반감기 - |
$64,965.00- |
- |
- |
아직 양적긴축과 고금리 유지시기 |
상한선과 하한선의 경계는 존재하지 않음
과거 데이터 금리인하 or 동결 => 경기침체 발생 => 경기침체시 Fed는 금리인하진행 (경기활성화 목적) => 금리하락 => 불경기
금리인하초기 경기침체로 인하여 위험자산 회피경향도 발생 => 가상자산의 가격 하락 가능성역시 발생 가능함
하지만 시간 경과이후, 안정기에는 위험자산 매력도 역시 증가 => 자산시장 상승 가능
24년9월 기사로는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금리인하 시작을 전망
실제로 작년에 9월,10월,12월 금리는 하락하였으며, 당시 전망은 25년말 기준금리는 3.9%전망했지만, 요원해보이는 상황
금리를 맞춘다는 것은 진짜 ㄷㄷㄷ

미국 대선 전환점에 있는 가상자산 시장
365일 24시간 돌아가는 시장 => 상하하선은 미존재 => 변동성 감수가 필요 => 시장은 항상 불합리 => 특히 가상자산은 제멋대로
새로운 전환점의 시기 => 1.24년 미국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 출시, 2.비트코인 4번째 반감기, 3.기준금리인하, 4.대통령선거
큰 줄기를 따라서 새로운 이슈 발생 => 1.미국 이더리움현물 ETF출시, 2.홍콩 이더리움/비트코인 현물 ETF출시, 3.솔라나ETF신청,4.마운트곡스/FTX/제네시스트레이딩 대규모 채권상환등 다양한 이슈 지속 발생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