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석유화학 산업 #2

by 인라밸

2024.10.03 오후 19:03

합성수지(플라스틱)

  • PE(폴리에틸렌, Polyethylene), C2

  • PP(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C3

  • PVC(폴리염화비닐, Polyvinyl Chloride), C2

  • PS(폴리스티렌, Polystyrene), C6

  • ABS(아크릴로나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C6

  • 위 5대를 5대 수지로 부르며 1~4번을 범용 플라스틱이라 칭함

  • PE(폴리에틸렌, Polyethylene), C2

    • 가장 많이 쓰이는 범용 플라스틱

    • 비닐봉지, 페트병 외에 간단한 플라스틱 용기

    • 세숫대야, 비누갑 등에 사용

    • HDPE(고밀도), LDPE(저밀도)로 분류

    • HDPE(반투명, 고밀도, 내열성)

      • 병뚜껑, 전자레인지 용기, 식품용기, 유아용장난감

    • LDPE(방수, 내구성, 투명성)

      • 비닐, 지퍼백, 화장품 용기, 튜브타입 용기

  • PP(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C3

    • 자동차 내외장재, 소독 가능, 주방용기, 밀폐용기, 의료기기 등

  • PVC(폴리염화비닐, Polyvinyl Chloride), C2

    • 범용 열가소성 플라스틱

    • 견고함, 내구성 등의 성질을 목적에 맞게 변화시킬 수 있음

    • 건설업에 가장 많이 사용

    • 장판, 샷시, 아이들 장난감

    • 인도로 수출하는 경우가 많음

  • PS(폴리스티렌, Polystyrene), C6

    • 일회용품, 소형가전, 문구류, 단열재 등에서 사용

  • ABS(아크릴로나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C6

    • 가공성이 뛰어나고, 내열성, 내충격성 우수

    • 자동차, 가전, IT기기 등 다양한 소재로 활용(주로 백색가전)

오일산업의 구조

  • 유전에서 원유 채취(E&P)

  • 생산, 수송, 정제, 석유화학으로 나누어짐

  • 우리나라의 E&P는 SK이노베이션이 대표적

  • 전통원유

    • 땅속의 원유가 액체상태 수직시추

    • 주로 중동지역

    • 25년 이상의 원유를 채굴 가능

  • 셰일오일

    • 지중해 암석층에 녹아져있음(수평시추)

    • 액체상태가 아닌 돌속에 분자형태로 녹아져있음

    • 개발기간 2~3년

    • 원유생산 4~5년

    • 주로 미국에서 생산

  • 상압정제

    • 원유를 열을 가하면 끓는점이 낮은것부터 추출하게 됨

    • 연료유(벙커C유) 비중이 문제됨(38%~70%)

    • 원유 가격보다 연료유 가격이 훨씬 싸며 이 비중이 높을수록 적자

  • 고도화과정

    • 벙커C유를 다시 정제하는게 고도화과정

    • 나프타는 석유화학의 핵심원료

  • 전략비축유

    • 전쟁, 기후변화 등을 대비하여 전략비축

    • 판매했을 때 이익이 정제마진

    • 1배럴당 4$정도되면 손익분기점이라 볼 수 있음

석유화학산업

  • 업스트림

    • 에틸렌을 만들어내는 설비(Cracker)

    • 에틸렌 - 고압상태에서 액체

    • 롯데케미칼, LG화학, 대한유화

  • 다운스트림

    • 에틸렌을 기초원료로 삼아 중합하여 소재 생산

    • LG화학, 금호석유, 한화케미칼 등

  • 핵심 결정변수

    • 유가, 이익률(마진), CAPA

석유화학 사이클에 대한 이해

  • E&P 기업은 10년주기로 원유 생산이 늘어남

  • 정유업체는 보통 6년마다 이익 사이클이 찾아옴

  • 1년에 1억 배럴정도가 정상수요

  • 석유화학은 4~6년 사이클 주기를 가짐

  • 사이클이 일어나는 이유는 스프레드와 수요공급의 균형이 깨진경우

  • 가장 대표적인 석유화학 제품은 에틸렌은 1년에 700만톤 증가

  • 2021년 사이클을 일시적인 수요증가로 인하여 발생한 사이클

정유사의 챌린지

  • 전기차의 대중화는 휘발유, 디젤의 수요의 감소를 야기

  • 2024~2026년은 가솔린 최고 수요, 2033~2035에 디젤 최고 수요로 피크아웃(절대량 감소)

  • 직접적으로 전기차에 들어가거나 석유화학 산업에 투자하는 회사들이 존재(SK이노베이션 VS 에스오일 등)

  • 원유 수요가 10년뒤 성장이 멈춰버린다는 위기의식 투영

석유화학의 챌린지

  • 플라스틱 분해에 시간이 오래걸리기에 해양과 토양오염 촉발

  • 커피빨대->종이빨대 등

  • 플라스틱 재활용 방법이 석유화학 업체의 챌린지

  • 폐플라스틱 -> 원유로 전환 등

  • 분해가 잘되는 플라스틱(미생물, 곡물로 생산)

산업에 대한 이해 #2

  • 사이클은 수요-공급 밸런스에 의해서 형성

  • 보통 주요 제품들의 시황은 6~7년 정도의 주기로 생성

  • 증설 발표와 실제 물량 출회까지 3~4년이 걸림

  • 제품-원재료의 스프레드로 이익 발생

  • 제품의 수요공급, 원재료의 수요공급 밸런스를 유심히 보아야 함(총 4가지)

  • HDPE 올라가는데 3년, 내려가는데 3~4년

  • 부타디엔 올라가는데 2년, 내려가는데 3년

  • 증설사이클과 경기사이클이 맞물리면서 나타나는 현상

  • 유가가 상승하는 상황에서 2번은 원재료 가격보다 제품가격이 덜올라가는 케이스

    • 제품의 수요공급 밸런스에 따라서 결정됨

    • 2번 오버서플라이

    • 가장 좋은 시나리오는 1번 케이스(원유상승 -> 원재료 상승 -> 제품가격 상승)

    • 래깅효과로 인해서 원재료 가격이 상승했음에도 과거 원재료 가격으로 투입할 수 있음

    • 1번은 차화정시기의 케이스(당시의 유가가 120$이었는데 이유는 중국의 수요성장) -2009~2011

    • 2번 미중무역분쟁+지정학적 이유로 유가 급등 -2018~2019

  • 4번 오버서플라이 - 아마 지금 구간이지 않을까?

  • 3번구간 2015~2017년 셰일오일붐으로 유가가 하락, 경기회복 구간

  • LG화학은 주가 고점 및 저점이 계속 올라가는 모습을 보여줌(재투자를 잘함)

  • 롯데케미칼은 상승사이클이 아님(재투자를 못함)

  • 나프타를 쪼개는 설비가 NCC

  • 올레핀계열(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 아로마틱계열(벤젠, 톨루엔, 자일렌)

  •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을 모두 할 시 이익변동성이 덜함

산업 업황

  • 2024년 신규증설 감소 -> 다운사이클의 끝자락

  • 국내 화학제품은 중국향 수출이 매우컸으나 점차 줄어드는 추세

  • 중국의 자급률이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

  •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경기가 화학산업의 핵심

  • 납사와 스프레드는 반비례관계

  • 유가와 납사는 정비례관계

  • 즉 유가 하락시 스프레드 벌어짐

  • NCC 스프레드는 '21년을 기점으로 지속 우하향중

  • 2Q24 QoQ +13% 상승

석유화학 밸류체인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인라밸

파머

콘텐츠 527

팔로워 26

아직 배울게 많은 직장인 투자자 가치투자를 지향하는 인라밸입니다.
댓글 0
0/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