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반도체산업(현대차증권)

by 投資아레테

2022.04.20 오전 10:47

1. 고인플, 러우전쟁, 중국 봉쇄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기업들의 1분기 실적은 대부분 양호. 그러나 삼성, TSMC, 마이크론 등 어닝서프라이즈 기록 업체들의 주가는 깊은 조정. 이는 1분기 실적이 피크아웃일 때 나타나는 현상인데, 1분기 이후 IT 관련 수요 둔화 우려가 깊게 반영되는 듯.

2. 그러나 2020년 이후 비메모리 공급 부족으로 인해 많은 기업들이 파운드리와 자동차 반도체 기업들과 LTA(Long Term Agreement)를 맺으면서 매크로 불확실성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업체들도 많아짐.

3. 전방시장 부진으로 인해 하이엔드 보다 로우앤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저가 반도체 팹리스 기업은 타격을 받을 것. 반면, 파운드리는 대부분 호실적 기록.

- TSMC와 마이크론은 1분기 양호한 실적과 함께 2분기 매출액 가이던스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 이는 충분히 가능한 시나리오임. 왜냐면 이들은 LTA 비중이 높은 곳이기 때문

4. 반도체 업종에서는 파운드리와 자동차 반도체, 디스플레이에서는 플렉시블과 폴더블이 LTA 비중이 가장 높을 것.

5. 메모리 반도체는 DDR5, 스마트폰에서는 High End, 노트북에서는 게이밍&스튜디오&기업용, TV에서는 게이밍이 유리할 것.

6. 한국 반도체 업종은 메모리 비중이 크지만 DDR5로의 제품 교체기, 경쟁사 사고로 인한 NAND 가격 상승 국면에서 이익 방어력을 가질 것으로 보임.

7. 삼성 파운드리는 우려에도 불구하고 산업 전반적인 공급부족을 감안할 때 하반기는 상반기 대비 양호할 것이며 삼성D는 계절적으로 하반기가 좋았음.

8. 제반 여건상 한국 반도체 업종 실적의 1분기 피크아웃은 낮을 가능성.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投資아레테

파머

콘텐츠 4007

팔로워 4

-
댓글 0
0/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