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일 레포트 중 관심이 가는 기업만 기재하고 있습니다
※ SK 이노베이션(메리츠/노우호)
1) 동사의 2Q21 영업이익은 5,065억원으로 시장 예상치에 다소 부합. 당분기 유가 상승에 따른 재고평가이익(2,430억원)을 제거한 실질 영업이익이 개선되는 점이 긍정적
2) (1) EV배터리부문은 영업적자 -979억원 을 기록하며 구조적인 외형 성장과 수익성 개선 Cycle에 진입한 점, (2) 윤활 유사업은 영업이익 2,265억원으로 분기 사상 최대 이익/이익률을 달성(타이트 했던 원재료 공급 여건과 판가 상승), (3) 화학부문은 전 제품군 마진 개선 효과로 영업이익 1,679억원을 달성, (4) 정유부문은 재고평가이익을 감안해도 정제마진이 bep에 유사한 수준으로 반등한 점이 긍정적
3) 21.8월 기준 동사 수주잔고는 1TW(원화 환산 140조원 추정)으로 LGES 수주잔고(180조원)에 견줄 수준으로 증가. 가파른 성장속도를 시현 중인 동사는 EV배터리부문 선도기업으로 점진적 사업 재평가가 필요
4) 물적분할 = 주가 급락의 트라우마. 결국 분할 이후 사업 가치에 신뢰가 필요
※ SKC(목표주가 195,000원 / 시총 61,347억원 / PER 95.1배) 메리츠/노우호
1) 전 사업부문의 높아진 이익 체력으로 분기 영업이익 1,350억원(이익률 16.3%)을 달성하며 시장의 상향된 눈높이에 부합
2) PO 호조 및 고부가 PG 판매 비중 증가로 영업이익률 33% 달성
3) 넥실리스는 국내 5공장 조기 가동 효과로 꾸준한 외형 성장을 시현 중
4) 최근 전방 EV배터리 생산기업들의 중장기 생산capa 가이던스 상향으로 소재 기업들에 주가 프리미엄이 여전. 연중 동사의 Mobility부문에 추가 모멘텀 배경은 넥실리스(동박)의 생산capa 확장 외에 신규 2차전지 소재 사업 확장의 기대감
※ 원티드랩(상장 예정 / 8월 11일) 키움/김상표,도기범
1) 채용 시장은 기존 채용광고 및 헤드헌팅 위주의 시장에서 AI기반 매칭 솔루션 시장으로 중심축이 전환 중이다. 2020년 기준 국내외 채용 시장의 약 30%가 매칭시장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
2) 약 71%의 기업들이 업계 추천을 통한 매칭 방식을 선호함에 따라 국내 채용 AI매칭 플랫폼 점유율 1위 기업인 동사의 성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
3) AI매칭 플랫폼은 구인 기업이 원하는 인재 채용이 완료 되었을 때 기업 고객으로부터 후보자 연봉의 7%를 수수료로 수취
4) 직접적인 수익률 증대의 핵심 요소는 1. 플랫폼 유저수 및 기업 고객수 증가, 2. 솔루션 정교화를 통한 매칭률 및 합격률 상승이며, 간접적인 요소는 3. 고액연봉직군 유저의 유입
5) 동사의 1분기 실적은 매출액 57억원 (+93.3% YoY), 영업이익은 4억원으로 흑자전환에 성공
※ 신성델타테크(목표주가 : 30,600원 / 시총 4,191억원 / PER 30.8배) 키움/김두현
1) 2021년 실적은 매출액 7,578억원 (+53.7% YoY), 영업이익 455억원 (+239.6% YoY)을 예상
2) 영업이익에서 2차전지 부문의 기여도 가 30%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과거 받았던 가전제품 업종 PER에서 2차전지 업종 PER로의 벨류에이션 리레이팅이 필요한 시점으로 판단
3) 연결자회사 신성오토모티브 (89.3%)와 신 성에스티 (43.5%)를 통해 LG에너지솔루션향으로 2차전 지부품을 납품
4) 동종업종 기업들의 순수 2차전지 매출액 비중이 10 ~ 50%인 점을 감안 시 신성델타테크 Target PER 24.9배는 합당하다는 판단
※ GS리테일(목표주가 : 50,000원 / 시총 36,965억원 / PER 6.3배) 이베스트/오린아
1) GS리테일의 K-IFRS 연결 기준 2021년 2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한 2조 2,856억원,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7.7% 감소한 428억원으로, 당사 추정치와 시장 컨센서스를 하회
2) 1. 편의점 부문의 회복 지연, 2)기타 부문 적자 확대에 따른 것. 2021년 2분기 편의점 기존점 신장률은 -1.0%를 기록했는데(담배 포함 -1.5%), 5월 기존점 신장률이 담배 제외 기준 -4%로 특히 부진했음(4월 +4%, 6월 -2.5%). 올해 5월 강수 일수가 14.4일로 50년만에 최다를 기록하면서, 비우호적인 날씨 영향이 작용했던 것으로 판단
3) 디지털 부문 매출액이 YoY 44% 증가했음에도 물류 및 판촉비 등이 늘어나며 영업손실이 152억원 확대. 디지털 부문은 홈쇼핑과의 합병 이후 통합 동사의 통합 온라인몰 '마켓포' 런칭을 통해 시너지를 위한 노력 지속 전망
4) 슈퍼마켓은 체인 오퍼레이션 작업으로 매출액이 감소하고 있으나, 흑자 기조는 지켜나가고 있음. 호텔 부문은 재산세 영향으로 영업손실 75억원을 기록했으나, 이를 제외하면 흑자 추세는 이어지고 있고 투숙률도 개선되는 중
#GS리테일 #신성델타테크 #원티드랩 #SKC #SK이노베이션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