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세대 통신용 저유전 기판 소재 요약 보고서
로드맵 서비스 (최신 로드맵 자료 보고서)
유기/복합 소재
차세대 통신용 저유전 기판 소재
① 보고서 요약 블로그
해당 보고서는 요약 보고서임으로. 원문은 아직 업로드되지 않은 상태이다.
※ 저유전기판 소재 요약 보고서
① 저유전 기술 정의 [dk(유전율), df(유전손실)]

② 글로벌 시장 입지
저유전 관련 재료 시장은 글로벌 기업(Top 5)의 점유율이 40% 수준을 차지하는 독과점 구조를 띄고 있음

③ 글로벌 주요 기술 개발 동향

※ 중공실리카(dk,df용), CCL
① 석경에이티 제품군


기존 SG 시리즈가 있었지만. 오버스펙으로 고객사 니즈에 따라 LOTAN 시리즈 출시. 상표 및 특허 작업 완료 상태.
통신용 (5G, 6G)로 중공실리카를 타케팅 해서 제품화 준비까지 끝냈지만.
다들 알다시피 통신 산업 전방 투자가 이연 되면서 해당 제품군도 계속 딜레이 되어오던 상태였다.
하지만 AI, 통신 부문의 전방위적 드라이브가 걸리며 다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② CCL
솔루스첨단소재, '북미 GPU 기업' 동박 공급에 20% 급등[핫스탁] ::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 (newsis.com)
㈜두산은 이번 전시회에서 ▲5G·6G 통신용 CCL ▲무선주파수 패키지형(RF-SiP) 시스템에 활용되는 CCL,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ADAS)의 핵심 부품인 오토모티브 레이더(Automotive Rader)용 CCL 등을 선보인다.
이 소재들은 저유전, 저손실 특성을 지니고 있어 통신 전파 손실 감소는 물론 대용량의 데이터를 안정적이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두산에서 개발한 PTFE(Polythtrafluoroethylene) 레진 소재를 CCL의 절연층 소재로 활용하면 초고주파(mmWave), 6G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 최근 이슈 되었던 CCL 관련 기사들이다. 보다시피 왜 저유전, 저손실 특성이 필요한지. 어떤 곳에 쓰이는지 대충 알 수 있다.

석경에이티 분석 2022 1H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 FCCL은 동박 + 필름으로 구성되는데. 필름은 PI, LCP... 너무 많이 했다.
해당 링크나 오렌지보드에 이미 적었던 내용이라 생략하겠다.
저유전, 저유전손실 특성을 가지기 위해서 꼭 중공실리카로만 해결 가능한 건 아니지만.
이것도 그저 성장동력 소재들 중 하나일 뿐이다.
저번 달에 있었던 일본 나노텍 행사다.
해당 행사에서 글로벌 업체들로부터
다른 쟁쟁한 일본 업체들과 비교해서도 방문객도 많고, 중공실리카에 대한 문의가 많았다고 한다.
한 3년 동안 드디어 빛을 보나 했던 거라 그러려니 했는데... 이제 진짜 빛을 보는 건가 싶다.
⑤ 석경에이티 관련 소재 개발

위에서 언급한 제품군 같은 경우는 이미 진작에 준비 완료 되었던 제품군이고.
여전히 시장에 나올지 안 나올지도 모르는 소재와 기술을 연구 개발 중이다.
아직 정말 작은 회사라 의구심이 가득한 시장의 눈초리를 이해하지만.
언젠가 뭔가 하나쯤은 터질 회사라 생각한다.
그럼 이제는 중장기 성장동력 소재 말고.
현재 가파르게 올라오는 부문을 이야기 해보자.
※ 삼성전기와 석경에이티 임가공
석경에이티는 삼성전기 mlcc 원료 및 자성체 성능 개선을 위한 표면산화막 제거 임가공을 한다.
① 삼성전기 최근 리포트 코맨트
※ 2024.02.01 / 이베스트 / 김광수
전장 및 서버(FC-BGA) 산업의 재고 조정이 진행되는 가운데 고신뢰성
MLCC, AI서버/네트워크 고부가 기판의 수요는 견조하게 지속될 것이다.
특히 전기차 시장의 성장률 둔화 우려 대비 하이브리드 차량 시장 성장세 확대로
전장용(IVI, ADAS 등) MLCC 수요는 2023년 대비 증가할 것이다.
MLCC 전장 비중이 2021년 8%→ 2023E 20% → 2024E 20% 중반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한다.
2024년 Capex는 1조원 수준으로 베트남 투자가 완료되는 FC-BGA 기판은 감소하고
MLCC(고부가 전장용) 향 투자가 증가될 것으로 파악한다.
MLCC→기판, 점진적인 실적 개선 전망
※ 2024.03.21 / NH / 이규하
MLCC는 출하량 기준으로 2021년 고점을 기록한 뒤 수요 둔화와 세트 업체들
재고조정으로 2023년까지 업황 부진. 하지만 이미 역사적으로 낮아진 재고.
먼저 재고 측면에서 MLCC는 더 이상 낮아지기 어려운 수준까지 떨어진 상황
중화권 스마트폰 수요 회복, 전장과 AI 관련 물량 증가로 향후 업황 회복세 본격화
될 것.
5G, 전장 등 고부가 MLCC 제품 믹스로 마진 개선
※ 2024.03.26 / KB / 이창민
시장 내 낮은 MLCC 재고 수준.
AI 스마트폰 확산에 따른 고부가/고성능 MLCC 수요 확대 및 대당 탑재량 증가 효과
※ 2024.03.27 / DS / 조대형
전장 중심 수주에 따른 MLCC의 Blended ASP의 상승을 전망하는
한편 온디바이스 AI 확대에 따른 스마트폰에서의 추가 개선 가능성
컴포넌트 사업부 내 약 90%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되는 MLCC의
높은 내구성을 요구하는 전장용 MLCC 비중 확대와 함께 성장을 전망된다.
이에 따라 동사 MLCC 가동률도 4Q23을 바닥으로 점진적인 회복을 예상한다
최근 일본의 금리 인상으로 엔화의 추가 약세 가능성이 낮아졌다고 판단해
동사 점유율 하락 가능성도 제한적이라고 판단해서 삼성전기 콜도 많이 나오는 중이다.
② 석경에이티 제품별 break down

YbF3 + SiO2 + BAG&SRG + 기타 = 소계
소계 + 임가공 = 합계
ⓐ 소계 원가율
20년 40.76%
21년 39.3%
22년 36.91%
23년 34.49%
ⓑ 임가공 원가율
20년 45.95%
21년 27.34%
22년 23.49%
23년 28.79%
ⓒ 합계 원가율
20년 41.78%
21년 36.29%
22년 34.15%
23년 32.91%
23년의 경우 전체적으로 성장률이 침체된 반면. 임가공만 매출 30% 수준 성장했다.
처음에는 석경에이티 측에서 별로 중요하게 생각 안 했던 걸로 기억한다.
"아 뭐 맡겨준다니깐 저희야 하면 좋죠 많이 남으니깐" 이런 뉘앙스로 기억한다.
그도 그럴 듯이 정말 많이 남기 때문이다. 근데 이게 점점 비중이 커지더니.
작년부터는 전기차용, 신제품 쪽도 받아서 하는 걸로 알고 있다.
"전기차 고속충전" 삼성전기, 전장용 고압 MLCC 개발 - 파이낸셜뉴스 (fnnews.com)
장덕현 삼성전기 사장 “내년, 전장용 매출 2조원 이상 목표” - 조선비즈 (chosun.com)
KB證 "삼성전기, AI 수혜주로 각광…목표가↑" ::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 (newsis.com)
애초에 시가총액 700 ~ 800억 일 때도 표면산화막 제거 임가공을 갑자기 맡긴 데는 기술력 말고 이유가 없다.
물론 전부 다는 아니지만 이만큼 많이 남겨먹는데도 흡족하게 계속 물량을 늘려주고.
전기 입장에서 중요한 전장, 신제품까지 맡기는 걸 보면 아마 점점 물량을 이쪽으로 밀어주지 않을까 싶다.
작년 MLCC 바닥이라 이야기하는 작년에도 석경의 임가공 쪽은 YoY 30% 수준이었는데.
올해 업황이 턴하면서 전장, 신제품군까지 늘면 얼마나 늘지 모르겠다.
석경에이티 쪽도 모른다고 한다.
임가공 쪽은 소재 같은 것도 삼성전기에서 일본 거래처에 사서 석경에 가져다주면 그걸로 하는 거고.
석경에이티 입장에서 크게 어려운 일이 아니라서 시키면 바로바로 하는 느낌이라 매년 정확한 가이던스가 없었다.
그래서 보수적으로 작년 수준으로 IR 하는 듯싶으나 업황을 보면 이 부분에서 큰 성장이 가능해 보인다.
※ 붕산염 기반 전해질
LG엔솔·KAIST, 리튬메탈전지에 '붕산염·피란 전해액' 세계 첫 적용...수명·안전성 대폭 개선 < 산업·유통 < 기사본문 - NBN NEWS (nbnews.kr)
차세대 ‘리튬메탈전지’ 원천기술 확보 (hankookilbo.com)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 배터리는 덴트라이트 문제로 리튬메탈음극재 사용이 더 힘들다.
따라서 무음극 기술 등이 이야기 나오던데... 흠...
LG엔솔 - KAIST는 '붕산염 피란 전해액'을 사용하여 리튬메탈음극재 적용에 성공했다.
작년 12월, 어제자로 두 번이나 비슷한 내용의 기사를 낸 걸 보면 그만한 의미가 있어 보인다.
석경에이티"‘Boracite’ 결정구조 전고체전지용 전해질 개발" (sentv.co.kr)
전고체 배터리 전망_할로겐화물 및 붕산염 고체 전해질 (tistory.com)
붕산염 고체 전해질은 로켓 연료용으로 개발, 높은 에너지밀도, 고온에서 훌륭한 성능, 나트륨 배터리로 확장성
but 공기 중 불안정, 저온 성능, 합성방법 난이도, 수율 및 비용 상업화 문제가 있다고 한다.

석경에이티 지적재산 상세표
Boracite은 Borates (붕산염) 광물의 일종이다.
붕산염은 붕산화물 전해질의 원재료라고 보면 된다.
석경에이티의 고체 전해질의 경우 '붕산화물계'라는 명칭 덕에 아예 다른 계열로 오해를 받고 있으나...
산화물계이다.
워낙 생소하고 정보를 얻기 힘들다. 붕산염 피란 전해액이지만 borates 계열이라 가져와봤다.
위 기사를 통해서 붕산염 전해질도 충분히 전해질로써 사용이 가능한 방증 아닌가 싶다.
배터리는 리튬황, 리튬메탈음극재, 고체전해질, 나트륨으로 가는 듯 싶은데.
동사는 여러모로 확장성이 기대 된다.
※ 9할9푼9리의 생각
4월 안으로 착공한다고 하니 그저 기다릴 뿐.
23년은 주춤했지만. 3 공장 이후에는 다를 것으로 보인다.
중장기 성장동력 소재들이 전부 매력적이다.
석경에이티, 지난해 영업익 35억…"올해 양적 성장 원년" ::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 (newsis.com)
23년 실적의 경우 전반적으로 원가율은 낮아졌으나.
재고자산 증가에 따른 감가상각비, 인건비와 경상연구개발비 증가로 이익률에 악영향이 있었다.
23 1Q가 가장 도드라지게 보였었는데. 나머지 분기는 정상적인 수준이었다.
일전에 이야기한 정관 변경에서 유상증자 (전환사채 발행 한도 증액)를 곰곰이 생각해 보았다.
아마 3 공장 증설 이후에. TIM, 중공실리카, 산화물계 고체 전해질, 삼성전기 임가공 등
갑자기 물량이 터질까 봐 거기에 맞춰서 설비 증설을 대비하는 게 아닐까.
3 공장 1차 투자규모가 120억 정도인데. CB도 없으면서 기존 300억에서 500억으로 늘린다...?
주주가치를 신경 쓰는 대표님 스타일 상 충분히 벌어서 투입하던지. 차입해서 하던지 할 스타일인데 의문이 든다.
천천히 필요하면 벌어서 투입할 텐데. 흠... 여하튼 이래저래 순풍이 부는 듯하다.
주식 관련해서 연락은 환영입니다. 편하게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본 채널의 게시물은 단순 의견 및 기록용도이며, 매수-매도 등 투자권유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언론보도, 관련 리포트 등을 참고하여 작성자 본인이 판단하여 작성한 자료로 전문성을 담보하지 않으며 제시된 자료들이 사실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어떠한 경우에도 게시물을 읽은 사람의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 등의 판단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매매에 따른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본 채널에 언급된 모든 종목들은 작성자 또는 작성자의 가족 및 지인 등이 보유했을 수 있으며 언제든지 예고없이 매수, 매도할 수 있습니다.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