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키움증권 디스플레이 리포트 요약, 2024년 OLED 산업 전망

by 웰쓰빌더

2023.11.29 오전 11:46

키움증권 디스플레이 산업 리포트 요약을 해보겠습니다.

늘 양질의 리포트 발간해주시는 애널리스트 분들에게 정말 감사합니다.

2024년은 IT와 전장 OLED가 두번째 빅사이클을 이끌 것이라고 합니다.

특히 2021년 OLED 스마트폰과 TV 패널 출하량이 정점을 찍고 전방 수요 부진 여파로 디스플레이 업체들의 실적 약세가 이어졌지만 24년부터는 OLED 아이패드 출시로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특히 LG디플이 약 60~70%, 삼성디플이 약 30~40% 패널 생산 담당)

IT OLED 시장은 스마트폰 OLED 시장의 약 5배 규모이며 높은 성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전방 수요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전장산업은 수주 사업 특성상 수년간의 실적 안정성을 확보 가능하고 디스플레이 패널 업체들이 전장 OLED 사업 확대에 집중 하면서 패널 및 소재/ 부품 업체들의 안정적인 중장기 실적 주도 전망.

리포트를 읽으며 새롭게 배운 부분

1. 2024년은 전장 및 IT OLED의 사이클이 될 것으로 보여.

*21년 OLED 스마트폰 및 TV 패널 출하량이 정점 기록하고 전방 수요 부진 여파로 실적 약세 예상

*아이패드 출하량은 약 1,000만대로 예상되고 LG디플이 60~70% 파이 가져갈 것으로 보이고 삼성 디플은 약 30~40% 패널 생산 담당.

*아이패드의 시장 점유율은 약 40%대를 유지하고 있음. 이번 출시엔 11인치와 12.9인치의 2가지 프로 라인업으로 출시 예상.

*참고사항으로 2023년 2분기 기준 아이폰 15내 출하량은 삼성디스플레이가 70~75%, LG디플이 20~25%(2024년 아이폰 내 패널 3사 점유율은 삼디플이 60~65%, LG디플이 25~30% 예상)

2. IT와 전장 패널의 성장 사이클은 함께 갈 개연성이 매우 높음.

*IT OLED 패널 출하량은 5년간 약 CAGR 40%로 성장할 전망

*글로벌 IT OLED 패널 출하량은 2019년 400만대였지만 2024년 2,150만대로 예상.

3. 2024년 OLED 아이패드에는 첫 하이브리드 OLED패널 쓸 것으로 보여. LG디스플레이의 점유율 우위가 예상.

*게다가 2027년에는 OLED 맥북도 출시 예정(이 때 첫번째 OLED 맥북 모델은 삼디플이 점유율 우위 가져갈 전망)

4. 현재 OLED 태블릿 시장은 삼성전자가 무려 70%나 점유율을 차지. 2024년 OLED 아이패드 출시가 OLED태블릿, 노트북 시장 성장 가속화 예상.

5. 전장 OLED 디스플레이 시장도 가파른 성장성 주목.

>아직은 전장용 OLED패널 침투율은 매출액 기준 단 4%이지만 OLED는 LCD대비 소비전력도 낮고 무게 감소도 가능. 디자인 경쟁력도 있어서 전기차, 자율주행 시장 확대와 함께 향후 적용 확대 전망.

>프리미엄 자동차 업체들도 OLED패널 채택 확대.(특히 BMW, 아우디, 벤츠는 전장계의 애플이 될 것으로도 전망)

6. OLED 스마트폰 시장은 2021년 정점을 찍고 성장둔화가 됐지만 2024년 중국을 필두로 3년만의 회복세도 전망(OLED 스마트폰 침투율도 확대 지속)

>이 중 주목해야 할 기업은 삼성과 화웨이.

7. OLED TV 패널 출하량은 2023년보다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삼전의 WOLED TV출하 확대 예상.

8. 리포트에선 LG디플, 덕산네오룩스, LX세미콘, PI첨단소재, 덕산테코피아, 피엔에이치테크, 토비스, 비에이치, 제이앤티씨를 언급.

이 중 피엔에이치테크는 IT 및 전장 OLED의 최대 수혜업체로 보고 있음.

나의 결론

OLED 시장은 좋아질 것. 반도체와 함께 관심 가지면 좋은 테마다. 삼디플은 비상장 기업이고 삼전이 지분을 갖고 있고 LG디플은 상장 되어 있다. 나라면 하단에 있는 벨류체인 기업을 체크할 거 같다.

2024년 OLED 아이패드 출하량이 1,000만대가 에상되고 있는데 LG디스플레이의 점유율 우위가 예상된다고 합니다. 24년 OLED 아이패드는 11인치와 12,9인치 2가지 프로 라인업으로 출시될 전망이라고 합니다. 최상위 OLED 기술이 적용될 전망이라고 합니다.

OLED 아이패드 예상 출고가는 1,500~1,800$이며 12.9인치 아이패드 프로 대비 판가 약 50% 증가 예상임.

IT OLED 패널 출하량은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이 약 40%로 성장할 전망이라고 합니다. 특히 IT OLED 패널 출하량만 하더라도 2019년 400만대에서 2024년엔 2,150만대로 예상이라고 합니다.

2024년 OLED 아이패드에는 첫 하이브리드 OLED 패널을 쓸 것으로 예상되며 LG 디스플레이의 점유율 우위가 예상되고 IT OLED 시장 내 삼성디스플레이의 점유율은 하락 예상임. 하지만 2025년부터는 다시 확대 예상.

아이폰이 스마트폰 OLED시장을 이끌었는데 아이패드도 IT OLED시장을 이끌 것으로 예쌍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OLED 스마트폰 침투율 추이만 보더라도 LCD의 비중은 줄어들고 OLED는 대폭 늘어나고 있습니다.

IT용 OLED패널의 경우 노트북, 태블릿을 중점으로 계속 쓸 것으로 전망되고 있고 2027년에는 OLED맥북도 출시 예정이라고 함. 이 때 첫번째 OLED 맥북은 삼디플이 점유율 우위 가져갈 것으로 판단.

게다가 모니터용 OLED패널도 QD-OLED, WOLED중심으로 OLED침투율 확대가 예상된다고 합니다.

IT OLED 시장(태블릿, 노트북)을 보면 전체 가용시장이 OLED 스마트폰 23억대라고 합니다. 엄청나다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환산하면 면적 기준으로 엄청나다고 할 수 있음.

IT OLED 예상 타임라인을 보면 2023년엔 삼성디스플레이가 8.7G OLED투자 착수에 들어가고 2024년엔 아이패드용 OLED 양산착수, 삼성디스플레이 8.7G OLED ph2투자 등을 진행하며 2025년엔 8.7G Phase 1셋업 진행 등이 예상되어 있습니다.

2024년 OLED 아이패드 벨류체인을 보면 위 사진과 같습니다. OLED 발광소재, 부품, 후공정에 있는 기업들입니다.

가장 많이 겹치는 종목들을 체크해보면 좋겠죠?

OLED 전장 디스플레이 시장 규모는 가파른 성장이 예상되며 아직 OLED 패널 침투율은 매출액 기준 단 4%에 불과. 하지만 OLED는 LCD대비 소비 전력, 무게감소가 가능하며 디자인 경쟁력도 갖추고 있음.

2025년 전장용 OLED디스플레이 시장 규모 추이도 더더욱 좋아질 것으로 보여. 2023년 예상 4%에 불과하지만 2025년엔 무려 10%까지.

프리미엄 자동차 업체들 중심으로 OLED패널도 확대하는데 페라리, BMW, 포르쉐, GM, 벤츠, 루시드, 테슬라 등 OLED 패널을 일부 모델에 적용, 채택 준비 중. 특히 이 중 BMW, 벤츠, 아우디는 전장계의 애플이 될 것으로 전망.

OLED 스마트폰 시장은 2021년 정점을 찍고 성장 둔화가 됐지만 2042년 중국을 필두로 3년만의 회복세 전망이 예상.

중국 중심의 스마트폰 수요 부진으로 OLED 스마트폰 출하량이 성장 둔화가 됐지만 글로벌 OLED 스마트폰 침투율은 확대 지속.

OLED 스마트폰 시장은 삼전, 중국 주요 OEM 업체 중심의 성장 예상. 삼성은 2024년 중저가 모델로 OLED 패널 채용을 확대하고 있음. OLED 스마트폰 출하량 및 침투율도 반등 예상.

중국은 OEM업체 중심의 성장 재개가 예상. 화웨이의 판매량이 늘어나는 것도 주목.

2024년 OLED 스마트폰 출하량 점유율 예상을 보자면 애플이 33%, 삼성이 20%, 샤오미가 11%, Vivo가 7% 등이라고 합니다.

중소형 OLED 시장에선 아이폰 내 점유율이 곧 OLED 기술력임이 증명이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LG디플은 POLED 패널 출하량이 아이폰 15 프로 모델 품질 지연 인증으로 예쌍치 하회했으나 향후 성장할 전망.

2023년 2분기 아이폰 15내 출하량 점유율은 삼성디스플레이가 70~75%, LG디플이 20~25%, BOE가 5% 미만임.

하지만 2024년 아이폰 내 패널 3사 점유율은 삼성디스플레이 60~65%, LG디플은 25~30%, BOE는 8~10%로 예상.

대형 OLED 쪽으론 삼성 WOLED TV 출하 확대가 예상된다고 합니다. OLED TV 패널 출하량은 2년 연속 역성장이었다고 합니다.

2024년 LG디스플레이의 삼성전자향 WOLED 패널 출하량은 약 100~130만대.


리포트 내 기업 분석

1. LG디스플레이

IT와 전장 OLED를 통해 체질 개선이 기대된다고 합니다. 특히 2023년 4분기 영업이익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할 전망이라고도 보고 있습니다.(POLED 패널 출하량이 대폭 증가해서 수익성 개선 주도)

2024년 WOLED 패널 신규 고객사 확보와 IT OLED패널 신규 공급, 모바일 POLED 물량 증가 등 사업부 중심의 체질도 개선 기대되고 있습니다.

키움증권 디스플레이 리포트를 보면 정말 상세히 LG디스플레이의 주가와 12개월 포워드 P/B차트 등이 나와 있습니다. 과연 어떤 턴어라운드가 펼쳐질지 궁금합니다.

2. 덕산네오룩스

2023년 4분기 영업이익이 예상치에는 부합할 전망이라고 합니다. 2024년 1분기 조기 출시될 갤럭시 s24시리즈의 양산효과가 2023년 4분기 재고 조정 영향을 상쇄시킬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OLED아이패드 출시에 힘입어 성장 재개될 것으로 보며 IT 및 전장 OLED사이클로 수년간 실적 성장이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3. LX세미콘

2023년 4분기 영업이익은 예상치에 부합할 전망으로 보고 있으며 실적 바닥 통과와 함께 OLED아이패드용 DDI, 신규 고객사인 삼성디스플레이 물량 확대도 기대되고 있습니다.

24년 1분기부터 OLED아이패드용 패널 시양산과 삼성디스플레이향 공급 확대 모멘텀을 기대한다고 합니다.

4. PI첨단소재

2023년 4분기 영업이익은 예상치 부합할 전망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전방 수요 개선시 가파른 실적 회복이 예상된다고 합니다. 중국 중심의 스마트폰 수요 개선 수혜와 함께 IRA시행에 따라 배터리 절연용 PI필름 수요로 탄력을 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화웨이를 비롯해서 중국 스마트폰 수요 개선 움직임에 따라 탄력이 기대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5. 이녹스첨단소재

2023년 4분기 영업이익은 예상치 부합할 전망이라고 보며, 2024년 매출액, 영업이익 큰 폭으로 실적 전망을 보고 있습니다. 수산화 리튬 신사업 가치를 제외하더라도 저평가로 보고 있습니다. 수산화리튬 중장기 공급계약 확보도 매력 포인트입니다.

6. 덕산테코피아

2023년 4분기 영업 적자 실적 바닥 통과할 전망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2024년 전 사업부 실적 전망이 좋아질 것으로 보며 전해액 신규 공장의 초도 양산이 시작된 것으로 보고 미국 테네시 공장 또한 2024년 3월 완공 예정으로 물량 확정만 되면 실적 전망치 상향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7. 피엔에이치테크

IT 및 전장 OLED 사이클의 대장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2023년 4분기 영업이익은 예상치 부합할 전망이며 고객사의 IT 및 전장 OLED 사이클의 최대 수혜 업체라고 보고 있습니다.

IT 및 전장 OLED 패널향 매출액 비중은 30%를 상회.

특히 2024년 출시될 IT OLED 패널에 고굴절 CPL 및 발광소재를 공급할 전망

8. 토비스

토비스는 2023년 4분기 영업이익이 일회성 비용으로 시장 기대치는 하회할 전망이지만 2024년 전장 사업부 비중이 대폭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피엔에치테크는 온전히 디스플레이 쪽으로만 사업 실적이 반영되는 것은 아니라 체크.

9. 제이앤티씨

2023년 4분기 실적은 흑전을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 흑전을 전망하고 있고 중화권 고객사 스마트폰 판매량 반등과 유리 소재 고도화로 회사의 스마트폰 부문 커버글라스 매출과 수익성이 늘어날 것으로 보여.

2024년 화웨이 수혜로 출하량 늘어날 것으로 보여. 차량용 중심의 커버글라스 적용 확대 본격화. 수주잔고는 2028년까지 6,000억원 이상 예상. 가파른 성장세 보이고 있어.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웰쓰빌더

고수

콘텐츠 1846

팔로워 180

웰쓰빌더(인스타그램, 블로그에서 약 7,000명 이상의 팔로워를 기록하고 있는 웰쓰빌더입니다.) 중요한 현금흐름 어떻게 하면 좀 더 좋은 기업에 투자할 수 있을 지 알아보아요.
댓글 0
0/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