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인튜이티브 서지컬 ISRG 주가 전망, 압도적인 의료수술 로봇 1등 기업

by 웰쓰빌더

2025.03.02 오후 15:43

얼마 전 고영이란 기업에서

뇌수술 보조 로봇 FDA에 통과했다는 소식을 듣고

정말 대단하단 생각을 했다.

한국의 인튜이티브서지컬이 탄생했다는 말도

나오기도 했는데..

하지만 ISRG 인튜이티브 서지컬의

독점력은 상당하다.

오늘은 이 기업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


ISRG는?

인튜이티브 서지컬은

로봇 보조 수술(Robot-Assisted Surgery, RAS)

시장을 개척한 기업입니다.

2000년에 첫 번째 다빈치 수술 시스템을 출시하며

의료 업계의 혁신을 주도해왔습니다.

회사의 대표 제품인 다빈치.

최소 침습 수술(Minimally Invasive Surgery, MIS)을

가능하게 하여

환자의 회복 시간을 단축하고 수술의

정밀도를 높이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현재 인튜이티브 서지컬은 전 세계 로봇 수술 시장에서

8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수술 자동화 및 AI 기반 의료 혁신을 선도하는 기업

설립 연도: 1995년

본사 위치: 미국 캘리포니아주 서니베일(Sunnyvale, California)

산업: 의료 기기, 로봇 수술

대표 제품: 다빈치 로봇 수술 시스템 (da Vinci Surgical System)

시가총액: 약 2,041억 달러 (2025년 3월 초 기준)

티커 심볼: ISRG (나스닥 상장)

회사의 설립배경은

담낭을 예로 들어 설명

기존 개복 수술(Open Surgery)은

출혈과 감염 위험이 높고, 회복 기간이 길었음.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소한의 절개로 수술하는 MIS 기술이 등장.

MIS를 보다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로봇 보조 수술 시스템이 필요했음.

그래서 공동 창업자인 프레데릭 몰(Frederic Moll)이

연구를 시작했음.

레지던트 시절, 기존 수술 방식의 한계를 경험하며

새로운 기술 개발을 결심함.

1980년대 미국 스탠퍼드대학 산하 SRI 국제 연구소에서 로봇 수술 개념 연구 시작.

1995년 인튜이티브 서지컬(Intuitive Surgical) 공동 창업했음.

*또한 미국 국방부 산하에 있는 DARPA가

1980년대 원격 수술을 위한 로봇 연구 진행.

SRI 연구소에서 이 기술을 발전시키며,

민간 의료 시장으로 확장 가능성을 모색.

인튜이티브 서지컬은 프레데릭 몰의 혁신적인 아이디어

DARPA의 연구, 그리고 SRI 국제 연구소의 기술력이 결합되어 탄생한 기업입니다.

이후 최소 침습 수술의 대중화와 함께 시장을 선점하며

의료 산업에서 필수적인 기업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

사업 모델 및 수익구조

인튜이티브 서지컬의 사업 모델은

하드웨어(로봇 시스템), 소모품 및 서비스로 구성됩니다.

다빈치 수술 장비 판매

병원 및 의료 기관에 다빈치 시스템을 판매하며,

한 대당 150만~250만 달러 수준의 가격.

(최소 대당 20억 이상이라는 뜻..)

이는 초기 매출의 큰 부분을 차지하지만,

상대적으로 낮은 마진 구조를 가짐.

작년 회사의 다빈치5가 FDA승인을 받았다.

기구 및 소모품 판매 (고마진)

다빈치 시스템을 사용할 때

필요한 소모품(수술 도구 등)을 반복적으로 판매.

수술 1건당 약 700~3,500달러의 소모품이 필요함.

전체 매출에서 가장 큰 비중(약 50% 이상)을 차지하며, 높은 마진을 보유한다.

외과의들은 자신만의 수술 방법이 있는데

여러 도구를 전용 수술팔에 갈아 끼우는 형식이다.

**사실 로봇 수술비가 비싼 이유는

장비 비용이 비싼 것이 아니라

소모품, 부품을 바꿔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든다.

부품 사용 횟수가 10회로 정해진 것이 있고

어떤 것은 1-2회로 정해진 것이 잇다.

서비스 및 유지보수

로봇 수술 시스템의 유지보수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제공.

고객이 지속적으로 ISRG의 제품과 서비스를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전략적 수익 모델.


경쟁 우위(강점)

로봇 수술 시장의 절대 강자

다빈치 시스템은 글로벌 로봇 수술 시장에서

8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시장 선도 기업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 8,000대 이상의 다빈치 시스템이 전 세계 병원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신규 시스템 판매뿐만 아니라

기존 고객 기반을 활용한 지속적인 수익이 기대됨.

네트워크 효과 및 높은 진입 장벽

병원 및 의료진이 다빈치 시스템을 한 번 도입하면

운영 시스템과 훈련된 의료진의 숙련도 때문에

다른 시스템으로 변경하기 어렵다.

이미 세계적으로도 다빈치를 쓰는 시대인데

대체되기 매우 어려운 구조이다.

즉 새로운 경쟁자가 시장에 진입하더라도

기존 고객 기반을 빼앗아 오기가 어려운 구조.

이미 예전부터도 다빈치로봇 독점을

깰 수 있다는 기사가 여럿 나왔는데

그 어떤 기업도 성공하지 못했다.

고마진 소모품 및 서비스 매출 증가

단순 하드웨어 판매보다는

지속적인 소모품과 서비스 매출이 증가하는 구조로,

매출의 안정성이 높다.

경쟁사 대비 높은 영업이익률(약 30%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로봇 수술 시장의 빠른 성장

최소 침습 수술(MIS)은 환자의 회복 속도를 높이고,

병원의 입원 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병원과 보험사 모두에게 경제적인 이점을 제공.

*실제로 병원에 오래 입원하는 것이 병원에 결코 좋은 것이 아니다.

국내 기준으로 이야기 해보면

대학병원에서도 2개월 이상 입원을 권하지 않는다.

보험 수가 문제도 있고 말이다.

이에 따라 로봇 수술의 도입이 빠르게 확산 중이며,

미래 의료 시장에서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 잡고 있음.

난 작년에 갑상선암 수술을 받았는데

로봇 수술 받는 사람이 굉장히 부러웠었음.

비용은 많이 쓰지만 부작용도 매우 적다고 함.

약점

경쟁 심화

메드트로닉(MDT), 존슨앤드존슨(JNJ)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들이 로봇 수술 시장에 뛰어들고 있음.

특히 메드트로닉의 Hugo 시스템JNJ의 Ottava가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면서 경쟁 압박이 커질 가능성이 있음.

높은 초기 비용 및

병원의 도입 장벽

다빈치 시스템의 도입 비용이 높아,

일부 병원들은 쉽게 구매하지 못할 수 있음.

기존 병원의 수술 방식을 바꾸는 것이 쉽지 않으며,

의료진의 추가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도 걸림돌.

하지만 미래는 로봇수술이라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

또한 고가의 의료 장비이기 때문에

금리가 상승하면 병원들의 구매력이 낮아질 가능성이 있음.

다만, 로봇 수술 시장의 장기적인 성장 트렌드는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로봇 수술이 보험 적용을 받을 수 있는

국가와 아닌 국가의 차이가 큼.

미국에서는 비교적 수술 비용을 보험으로 보장받을 수 있지만,

신흥국에서는 여전히 비용 부담이 문제.

결국 장점이 더 많다.

암이나 수술할 질환 등에 걸리지 않는 것이 제일 좋다.

하지만 앞으로도 외과적 수술은 다양하게

많을 수 밖에 없다.

*인구도 늘어나고 앞으로도 우리의 삶, 환경은

무궁무진하게 달라질 수 밖에 없다.

*고령화 및 암 환자 증가로 인해

최소 침습 수술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전망.

특히 회사의 로봇이

암 수술, 비뇨기과, 부인과 등

다양한 수술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현재 미국, 유럽 중심의 시장이지만,

중국, 인도, 중동 등의 의료 인프라 개선과

함께 신흥 시장으로의 확장이 기대됨.

강점

글로벌 로봇 수술 시장의 압도적인 1위 기업

지속적인 소모품 및 서비스 매출로 인한 안정적인 현금 흐름

R&D 투자를 통한 기술적 우위

경쟁사가 따라오기 어려운 시장 지배력과 네트워크 효과

신제품과 AI 기술 발전으로 새로운 시장 창출 가능성

리스크

경쟁사의 시장 진입 가능성

높은 초기 비용으로 인한 병원의 도입 장벽

🔎 투자자에게 추천되는 이유

장기적 성장성이 높은 헬스케어 기술주

지속적인 수익 모델(소모품+서비스)로 인한 안정적인 현금 흐름

단기적인 금리 변동성보다는

장기 투자 관점에서 매력적인 기업

💡 투자 시점 고려

단기적으로 시장 변동성이 있을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 로봇 수술 시장의 성장을 감안하면 매력적인 장기 투자 기회가 될 수 있음.

현재 주가가 과대평가되어 있는지

확인 후 적절한 진입 시점도 체크해야함.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웰쓰빌더

고수

콘텐츠 1765

팔로워 168

웰쓰빌더(인스타그램, 블로그에서 약 7,000명 이상의 팔로워를 기록하고 있는 웰쓰빌더입니다.) 중요한 현금흐름 어떻게 하면 좀 더 좋은 기업에 투자할 수 있을 지 알아보아요.
댓글 0
0/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