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즘 제일 큰 관심을 받는 기업 중 하나가
바로 에이피알이라고 할 수 있다.
해외 매출이 계속해서 급증하고 있는데다가
특히 미국향으로도 노출이 점점 커지고 있는 부분이
호재라고 할 수 있다.
증권사에서 나온 리포트를 기반으로 공부해보려고 한다.
*물론 증권사 리포트가 '정답'은 아니지만
'정보'의 제약이 적은 투자자 입장에서는
여러 관점에서 공부하기 좋음.
*또한 요즘 화장품, 미용 관련 테마 쪽은
구글트렌드로 검색량 보면서 투자하는 것이
많아지고 있는거 같음.

medicube로 검색해봤음.
본문 핵심만 요약
대략적으로 리포트들에선 이와 같은 부분에 주목하고 있음.
실적 추정치나 목표 주가는 다를 수 있음.(리포트 발행 시점도 다르니..)
화장품 중심 구조 전환 성공, 글로벌 B2B·오프라인 유통 확장 중
Ulta Beauty 입점 등 미국·유럽 시장 본격 진출, 고성장 지속
1Q25 영업이익 +97%, 기대치 상회, 2025F 영업익 최대 2,500억 원 전망
주요 유통 파트너: 실리콘투(주력), 예스아시아(보조)
브랜드력 강화: 메디큐브 중심, 글로벌 인지도 확대
PER 17~20배로 저평가, 목표주가 상향 (최대 15만 원), 중장기 수익 기대 큼
메리츠증권 리포트 요약
(25년 5월 29일)

화장품 중심의 구조 전환과 글로벌 B2B 확장은
장기 성장 동력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
고성장 대비 저평가 구간에 있어
중장기 수익 기회로 유망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본다.
리포트 내용을 요약하자면 아래와 같음.
1Q25 영업이익 546억 원 (YoY +97%) → 시장 기대치 32% 상회
화장품 매출 급성장 (1,650억 원, YoY +152%) → 디바이스 매출 추월
해외 매출 고성장: 미국 +187%, 일본 +198%, 기타(B2B) +442%
사업 구조 전환 성공: 디바이스 → 화장품, B2C → B2B 확장
2025년 가이던스 초과 예상: 매출 1.14조, 영업이익 2,226억 원
적정주가 상향: 8.4만 원 → 11.8만 원, 상승여력 +19.9%
EPS 성장률(CAGR 24~27년): 36.2%, ROE 45.7%, PER 17.4배 (저평가 구간)

에이피알에 대해서 미국 시장으로의 침투와 동시에
중국 소비 회복+한류 가능성을 키포인트로 보는 거 같다.

제품력+마케팅과 함께 본격적으로 화장품 브랜드로 회사로
보는 것으로 보인다.
유안타증권 리포트 요약
(25년 5월 19일)

오프라인 유통 확대와 글로벌 B2B 전략이 고성장을 견인하고 있다고 본다.
목표주가 15만 원으로 제시했으며 밸류에이션 매력 부각이라고 한다.
*리포트에서 주목하는 부분..
2025F 매출 1.25조 원, 영업이익 2,500억 원 전망 (YoY +104%)
Ulta Beauty 美 전 매장 입점 확정 → 하반기 매출 본격 반영
글로벌 오프라인 확장 + 유럽·중동 B2B 다변화 지속
미국 관세 영향 제한적 → 자체 유통 구조로 수익성 방어

미국 내 K-뷰티의 위상도 제고가되고
특히 울타뷰티향으로 매출액이 올 8월부터 인식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한다.
유럽이나 중동 등으로 매출 지역도 빠르게 다변화되고 있고
브랜드 네이밍도 점점 커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추가적으로 프로모션 없더라도 미국 매출도
견조하다고 하니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에이피알 벨류체인에 대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대략적으로 요약하자면 아래와 같다.
원재료·패키징 → ODM/OEM 생산 → 브랜드(에이피알) → 글로벌 유통망 → 소비자
주요 유통처: Amazon, Ulta Beauty, Boots UK, Qoo10 Japan, 해외 B2B: 실리콘투, 예스아시아
주요 브랜드: 메디큐브, 에이프릴스킨, 포맨

공부하며 흥미로웠던 부분 중 하나는
실리콘투와 예스아시아를 통한 유통이다.
둘의 차이는 대략적으로 이러하다고 한다.

요즘 홍콩거래소에서 핫한 예스아시아홀딩스..
실리콘투: 유럽·중동 중심, 글로벌 분산 유통망과 sell-thru(소비자 판매) 관리 역량 강점, 전략적 파트너
예스아시아: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 실리콘투(약 6:4 비중) 대비 성장성과 지역 커버리지 제한적
유진투자증권 리포트 요약
(25년 5월 12일)

글로벌 오프라인 확장(Ulta 등)과 B2B 채널 다변화로 장기 성장 기반 견고하다고 보는듯..
고성장 대비 밸류에이션 매력(PER 20.4배) 유지, 중장기 주가 상승 여력 충분하다고 한다.
1Q25 영업이익 546억 원, 컨센서스 대비 +32% 상회
화장품 매출 급증(1,650억 원, +152%) → 디바이스 추월
Ulta Beauty 美 오프라인 입점 → 하반기 본격 매출화
B2B 비중 21%, 유럽·중동 중심 실리콘투와 협업 확대
2025F 영업이익 2,500억 원, ROE 48.6%, PER 20.4배

메디큐브의 브랜드 파워도 주목할 부분 중 하나이고
뷰티 디바이스 사업으로 부스터프로 미니 제품을
미국, 일본 등에서 런칭한 부분도 체크..
DS투자증권 리포트 요약
(25년 5월 9일)

구조적 성장과 글로벌 확장으로 실적 상향 여지 충분하다고 보고
고성장 대비 여전히 저평가 구간, 중기 투자 매력 부각된다고 보고 있다고 한다.
특히 현재 추세가 지속이 된다면
당사 추정치도 상회할 가능성도 상존한다고 함.
1Q25 영업이익 546억 원, 컨센서스 대비 +32% 상회 → 실적 서프라이즈
화장품 매출 YoY +152% → 전체 매출 비중 60% 이상, 글로벌 성장 지속
Ulta Beauty 등 미국·일본 오프라인 확장 본격화
2025F 영업이익 2,108억 원, ROE 43%, 목표주가 125,000원(상향)

뷰티디바이스의 고성장세를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화장퓸/뷰티 쪽도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이 들 정도..

일단 메디큐브가 정말 화장품 브랜드로 평판도 점점
널리 알려지고 있다..대단하다
내 생각은..
에이피알은 화장품 중심 구조 전환과
글로벌 오프라인·B2B 확장으로 실적과 브랜드력을 빠르게 키우는 중이다.
Ulta 입점 등 미국 시장 진출이 본격화되며,
고성장 대비 저평가 매력도 여전히 유효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실적이 꺾인다면 당연히 악재임.
메디큐브와 동행할 투자자라면 당연히 체크해볼법한..
젊은 CEO분의 역량이 대단하다.

또한 에이피알과 동시에 브이티도 한 번 체크해볼듯?
아직 먹을 룸도 많아 보이고 말이다..
*물론 내 생각일 뿐임.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