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알리바바 BABA 주가 분석, AI 시대 무서운 경쟁자(Feat. 그러나..)

by 웰쓰빌더

2025.03.06 오전 10:48

중국의 딥시크 기술력을 보고

전 세계가 놀라고 흔들렸다.

사실 AI 시대에 중국이 주목을 받을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정말 확실하다.

국민의 데이터를 다른 국가들보다도

훨씬 더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끔

정부에서 도와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즉 AI 시대에서 데이터가 기술력이나 다름 없는데

수많은 인구의 빅데이터를 다 가져가서

AI에 녹아들게 하니까 대박이 날 수 밖에 없다고 느꼈다.

그 와중에 오늘 소개하는 알리바바에 대해서

어떤 기업인지, 왜 AI시대에 강점을 지녔는지

남겨보려고 한다.

실제로 알리바바의 주가도 정말 미친듯이 오르고 있다.

요즘 휘청이는 빅테크에 비해서

훨 낫다고 느껴질 정도이다.

요즘엔 엔비디아의 성장세도 둔화된 느낌이다.

물론 어느순간 팍 치고 올라가는 순간도 있겠지만

'아직은 아니다'라는 평이 지배적이고

나 또한 동의한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goodinvest4/goodinvest

저는 매월 커피 한 잔의 가격으로

투자에 대한 생각을 매주 정리하여

업로드하고 있습니다.

위 링크 구독해주신다면 정말 감사합니다.

알리바바는?

◆중국 내 전자상거래 시장 점유율 1위

◆클라우드 시장 중국 1위, 세계 3위 (AWS, Azure 다음)

◆14억 인구를 기반으로 한 강력한 내수 시장

◆동남아시아, 유럽, 중동, 남미 등 글로벌 확장 중

→AI, 핀테크, 스마트 물류, 자율주행, 스마트 시티 등 미래 기술 투자

알리바바는 중국의 대표적인 테크 기업으로,

전자상거래, 클라우드, 핀테크, AI 등 다양한 성장 동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알리바바(Alibaba Group)는 중국을 대표하는

인터넷 기술 및 전자상거래 기업입니다.

쉽게 말해, 중국판 아마존(Amazon)과 같은 회사이지만,

아마존보다 더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1999년 마윈(Jack Ma)이 창립했으며, 현재 전자상거래, 클라우드 컴퓨팅,

디지털 금융, 물류, AI(인공지능)

다양한 분야에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입니다.

2014년 뉴욕증권거래소(NYSE: BABA) 상장

(역대 최대 규모 IPO, 250억 달러 조달)

2019년 홍콩거래소(HKEX: 9988) 2차 상장

(130억 달러 조달)

중국의 아마존이자, 카카오 + 네이버 + 토스 + CJ대한통운을 합친 초대형 디지털 기업 +클라우드까지 하니까

대단할 정도다.

전자상거래, 클라우드, 핀테크, AI, 물류 등 여러 산업을 장악한 중국 최대 테크 기업

중국 내수 시장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 유럽 등으로 글로벌 확장 중

정부 규제 및 미·중 갈등 등 리스크는 있지만,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은 높음

주요 사업 부문

1. 전자상거래

알리바바는 사람들이 온라인에서 쇼핑하고, 결제하고,

클라우드를 이용하고, 물건을 배송하는 것까지

모두 지원하는 플랫폼을 운영합니다.

타오바오(Taobao, 淘宝): 중국 최대 쇼핑몰 (한국의 쿠팡,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같은 오픈마켓)

티몰(Tmall, 天猫): 브랜드 제품이 입점하는 고급 쇼핑몰 (백화점 같은 느낌)

알리익스프레스(AliExpress): 전 세계 사람들이 중국 제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는 플랫폼

중국의 수많은 사람들이 이 플랫폼을 이용한다고 생각해보자,

압도적인 결제액을 자랑할 것이다.

알리익스프레스의 인기도 상당하다.

2. 클라우드

중국 최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입니다.

(AWS, Microsoft Azure처럼 기업용 IT 인프라 제공)

AI, 빅데이터 분석, 서버 호스팅 등 기업이 필요한 IT 서비스를 제공

중국뿐만 아니라 동남아, 유럽 등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 중

아마존 AWS + 구글 클라우드 같은 역할을 합니다.

3. 알리페이 – 디지털 금융과 핀테크

중국에서 가장 많이 쓰이

는 모바일 결제 서비스 (한국의 카카오페이, 삼성페이와 비슷)입니다.

온라인 쇼핑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QR코드로 간편 결제 가능합니다.

Ant Group(앤트그룹)이라는

자회사에서 신용 대출, 보험, 투자 상품도 운영도 함.

4. 챠이나오 - 물류 배송

AI 기반의 스마트 물류 시스템 운영하고 있씁니다.

중국뿐만 아니라 해외 배송 서비스 제공 (알리익스프레스 배송 담당)하고

빠르고 효율적인 물류 네트워크로 전자상거래 사업 지원

5. 미디어&엔터

유쿠(Youku, 优酷): 중국판 유튜브, 넷플릭스 같은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알리바바 픽처스(Alibaba Pictures): 영화 및 드라마 제작 사업

회사의 강점

대충만 요약해보더라도 아래와 같음.

✅ 강력한 시장 지배력

중국 내 전자상거래 점유율 1위(타오바오, 티몰 등)

14억 인구를 기반으로 한 강력한 내수 시장

글로벌 확장 전략 (동남아시아 ‘Lazada’, 유럽 ‘AliExpress’)

✅ 클라우드 컴퓨팅 성장

2023년 매출 기준 글로벌 3위 클라우드 기업 (AWS, Azure 다음)

중국 정부 및 대기업의 클라우드 전환 수요 증가

AI 및 빅데이터 연계 솔루션 강점

✅ 데이터 기반 AI 기술력

AI 추천 시스템, 스마트 리테일, 핀테크, 물류 자동화

AI 연구소 DAMO Academy 운영, 글로벌 AI 특허 다수 보유

스마트 시티, 헬스케어, 자율주행 등 신사업 진출

✅ 높은 현금 창출력

전자상거래 사업에서 안정적인 현금 흐름(FCF) 창출

자사주 매입(2023년 약 250억 달러 규모 진행)으로 주주가치 제고

✅ 글로벌 확장 가능성

동남아시아(Lazada), 유럽(AliExpress), 중동 및 남미 등 신흥 시장 확대

클라우드 및 디지털 인프라 수출을 통한 장기 성장 전략

AI 시대 알리바바가 기대되는 이유

방대한 데이터가 최대 장점임.

쇼핑·결제·물류에서 생성되는 거대한 AI 학습 데이터..

특히 실 사용자가 21년엔 12.9억명이라는

기록을 찍기도 햇다.

또한 강력한 클라우드 인프라도 보유했으며

AI + 클라우드 + 데이터의 시너지가

대단하다는 말 밖에 안 나온다.

리스크, 단점은

중국 정부 규제 리스크

중국이라는 나라에서 사업을 하는 기업은

항상 리스크도 갖고 있다.

중국 정부의 반독점 조사 및 테크 기업 규제 강화는

언제나 조심해야함.

뜬금 없이 기업을 때려 잡는 명목으로

데이터 보호법, 플랫폼 경제 규제 등으로 성장 제약 가능성도 있다.

특히 알리바바 마윈도 중국 정부의 집중 포격을

맞기도 했음.

알리바바의 자회사

앤트그룹 IPO 좌절 사건도 잊지 말자.

📅 사건 개요

2020년 11월, 앤트그룹(알리페이 운영사)이 역대 최대 IPO(약 370억 달러) 예정

홍콩·상하이 동시 상장 계획, 기업가치 3,100억 달러 평가

⚠️ 돌연 IPO 중단

중국 정부가 금융 규제 강화, "핀테크 기업은 금융회사처럼 감독받아야 한다" 발표

마윈(Jack Ma)의 정부 비판 발언 이후, 당국의 집중 규제 시작

앤트그룹의 대출·금융 서비스가 전통 은행 시스템을 위협한다고 판단

🚨 결과 및 영향

IPO 무기한 연기, 기업 구조 조정

마윈 공개 활동 축소, 알리바바에도 반독점 규제 강화

중국 핀테크 산업 전반에 대한 정부 통제력 확대

📌 중국 정부의 규제가 테크·

핀테크 기업 성장의 가장 큰 변수! 🚨

미·중 갈등 및 지정학적 리스크

미국과 중국 간 기술 패권 경쟁 심화로 인해서

반도체, 클라우드 분야를 포함한

여러 분야에서 불안 요소도 커지고 있음.

뉴욕증권거래소(NYSE) 상장 유지 여부(미국 회계 투명성 요구,

알리바바 등 미국 상장 중국 기업

퇴출 가능성도 상존)

글로벌 사업 확장 난항

미국 및 유럽에서의 중국 기업에 대한 불신이

생각보다 크다.

일단 기본적으로 '회원 데이터'가 털린다.

혹시 쇼핑을 한다면 품질에 문제가 있거나

의심을 할 수도 있다.

Made in China라고 하면 아직도

의구심을 품는 사람도 많다.

그래서 동남아로 눈을 돌리려고 하면

Shopee, Tokopedia 등과 경쟁해야 한다.

지금 당장은 중국의 많은 인구를 활용해서

매출도 크게 뽑아내고 있지만

미래를 본다면 더욱 조심해야 한다.

성장 핵심 포인트는

클라우드 + AI + 글로벌 확장이 성장의 핵심,

규제 리스크 관리가 필수이다.

하지만 미중 무역 분쟁으로 인해서

중국 기업들이 타격을 맞을 수 밖에 없다.

무엇보다 중국이라는 나라가 갖고 있는

폐쇄성이 글로벌에서 아쉬운 부분이 많음.

1️⃣ 클라우드 성장 (Alibaba Cloud)

중국 1위, 글로벌 3위 클라우드 시장 확대

AI 및 데이터 서비스 확장 (기업용 클라우드 수요 증가)

2️⃣ 글로벌 전자상거래 확장

동남아(Lazada), 유럽(AliExpress), 중동·남미 시장 공략

틱톡, 아마존 등과의 경쟁 속 차별화 전략 필요

3️⃣ AI 및 신기술 투자

AI 기반 추천, 자율주행, 스마트 시티, 헬스케어 진출

DAMO Academy(알리바바 AI 연구소) 연구 강화

4️⃣ 핀테크 및 디지털 금융 (Ant Group)

모바일 결제(Alipay) 및 금융 서비스 확장

정부 규제 완화 여부가 핵심 변수

5️⃣ 중국 정부 규제 & 미·중 갈등 대응

반독점 규제, 데이터 보안 이슈 관리

미국·유럽 내 사업 확장 시 지정학적 리스크 고려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웰쓰빌더

고수

콘텐츠 1766

팔로워 168

웰쓰빌더(인스타그램, 블로그에서 약 7,000명 이상의 팔로워를 기록하고 있는 웰쓰빌더입니다.) 중요한 현금흐름 어떻게 하면 좀 더 좋은 기업에 투자할 수 있을 지 알아보아요.
댓글 0
0/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