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비자 V STOCK 실적 발표, 주가 전망(Feat. 스테이블코인)

by 웰쓰빌더

2025.06.15 오후 20:25

오늘은 비자 V에 대해서 말해보려고 한다.

참고로 비자는 2010년대부터 워렌버핏이

장기보유하고 있는 기업 중 하나이다.

참고로 비자도 스테이블코인을 핵심 사업으로

명확히 채택한 바 있다.

물론.. 기존 비자 V의 사업은

Visa의 기존 사업은 신용카드·직불카드 기반의

글로벌 지급결제 네트워크 운영이며,

은행·가맹점 간 정산 인프라 제공과 수수료 수익 창출이 핵심이다.

1. 스테이블코인을 '핵심 사업'으로 명확히 채택

2025년 스테이블코인을 미래 통화이자 핵심 성장 동력으로 선언.

“위협이 아닌 기회”로 간주, Visa 네트워크에 적극 통합.

2. 4대 전략 방향

결제 인프라 혁신(Back-End Settlement Modernization)

기존 VisaNet 시스템에 USDC 정산 기능 통합 (2023년부터 시범 운영).

누적 정산액 2.25억 달러, 7일 무휴 정산, 타 스테이블코인·블록체인 확장 예정.

글로벌 송금 고도화(Cross-Border Movement)

Visa Direct와 연동, 국경 간 송금 속도·유동성 개선.

스테이블코인으로 글로벌 금융 접근성 강화.

프로그래머블 금융 활성화(Programmable Money)

스마트 계약 기반 대출, 자동화된 자산 운용 등 확장.

Visa Tokenized Asset Platform을 통해 은행이 스테이블코인 직접 발행·관리 가능.

카드와의 온·오프램프 구축(Stablecoin-Linked Cards)

Bridge, Baanx, Rain 등과 협력하여 스테이블코인 기반 카드 확산.

누적 가상자산 결제액 950억 달러, 암호화폐 구매 1000억 달러 달성.

3. 글로벌 파트너십 및 생태계 주도

서클(Circle), 크립토닷컴, 코인베이스, 브릿지(Bridge) 등과 제휴.

150만개 가맹점, 1만4500개 금융기관과 연결된 인프라 활용해 스테이블코인 확산 주도.

4. Visa의 역할

‘신뢰 가능한 다리’(trusted bridge) 역할 자처.

기존 금융과 블록체인 기반 금융을 연결하여 공정하고 개방적인 접근성 제공.

5. 향후 전망

모든 금융기관은 스테이블코인 전략이 필수인 시대가 도래할 것”

Visa는 규제 대응, 파트너십, 글로벌 결제 역량으로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선도자 포지션 확립.

*특히 요즘 아마존, 월마트에서도 자체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하려고 하고 있다는 부분에 주목해야 한다.

https://orangeboard.co.kr/portfolios/@365wealthbuilder

VISA만의 경쟁력은..

1. Visa는 글로벌 150만 가맹점과 1만 4,500개 금융기관을 연결한

결제 네트워크 인프라를 보유한 점이 핵심 경쟁력이다.

2. 스테이블코인과 AI를 기존 시스템에 통합해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며,

실제 정산과 발행 인프라까지 구축한 몇 안 되는 전통 금융사다.

3. 기존 수수료 기반 수익 모델을 유지하면서도

미래형 결제 시스템으로 확장 중이라는 점이 Visa만의 차별화 포인트다.

갑자기 이렇게 내용을 정리해보니

카카오페이가 떠오르는 이유는 무엇일까..

본문 내용 요약하면

1. Visa는 2025년 스테이블코인을 핵심 사업으로 선언하고 본격 도입 중.

2. USDC 기반 정산 시스템과 7일 무휴 인프라를 VisaNet에 통합함.

3. 은행용 스테이블코인 발행 플랫폼(Tokenized Asset Platform) 운영.

4. 글로벌 파트너십과 스테이블코인 결제 카드 확장 중.

5. 실적은 견조하나, 소송비와 규제 불확실성은 단기적 리스크 요인.

VISA 비자 실적은

Visa 2025년 2분기 실적 핵심 요약

매출 96억 달러 (YoY +9%), Non-GAAP 순이익 54억 달러 (YoY +6%)

결제·국경 간 거래량·처리 건수 모두 두 자릿수 성장

주당순이익(EPS) $2.76 (Non-GAAP, YoY +10%)

***

3대 성장 엔진 현황

1) Consumer Payments:

카드·비카드 결제 모두 확장

Tap to Pay: 미국 60% 돌파, 글로벌 76%

Token 사용 전자상거래 비중: 50% 이상

2) Commercial & Money Movement (Visa Direct):

Visa Direct 거래 +28% YoY (3B건)

기업 파트너십 확대: Jack Henry, TabaPay 등과 제휴

3) Value-Added Services (VAS):

매출 +22% YoY → 신성장 동력 부상

Pismo(발급처리), Featurespace(리스크 AI), Tink(Open Banking) 성과 두드러짐

국경 간 결제 성장률이 13%로 전체 성장 견인, 글로벌 여행·소비 회복세 반영됐다.

현금흐름 견고하고 자사주 매입 확대 → 경기 불확실성 속에서도 주주환원 의지 강함.

Visa 2025년 2분기 재무 요약 (세부 버전)

1. 매출 & 이익

총매출: 96억 달러 (+9%, 고정환율 기준 +11%)

GAAP 순이익: 46억 달러 (-2%) → MDL 소송 관련 9.9억 달러 충당금 반영

Non-GAAP 순이익: 54억 달러 (+6%)

Non-GAAP EPS: $2.76 (+10%)

2. 비용 구조

GAAP 영업비용: 42억 달러 (+22%) → 대부분 소송 비용 증가 때문

Non-GAAP 영업비용: +7% 증가 (인건비, 마케팅, 감가상각 요인)

3. 핵심 성장 지표

결제금액: +8%,

유럽 제외 국경 간 거래: +13%

총 처리 건수: 607억 건 (+9%)

4. 수익 구성

서비스 수익: 44억 달러 (+9%)

데이터 처리 수익: 47억 달러 (+10%)

국제 거래 수익: 33억 달러 (+10%)

기타 수익: 9.37억 달러 (+24%)

고객 인센티브(차감 항목): 37억 달러 (+15%)

5. 기타 재무 지표

현금 및 유가증권 보유액: 152억 달러

유효 세율: GAAP 기준 15.8%, Non-GAAP 기준 16.9%

소송 관련 충당금 증가로 GAAP 순이익은 감소했지만, 본질적인 수익성(Non-GAAP)은 견조.

국경 간 거래·기타 수익 두 자릿수 성장 → 소비 회복세와 글로벌 이동성 증가에 탄력.

1. GAAP 기준

총매출: $95.9억 (+9%)

서비스 수익 $44억 (+9%),

데이터 처리 수익 $47억 (+10%)

국제 거래 수익 $33억 (+10%)

기타 수익 $9.37억 (+24%)

순이익: $45.8억 (-2%),

EPS: $2.32 (+1%)

영업비용: $41.6억 (+22%) → 소송 관련 비용 반영

비영업이익: $3M (-98%)

2. Non-GAAP 기준

순이익: $54.4억 (+6%),

EPS: $2.76 (+10%)

영업비용: $30.7억 (+7%)

기본 사업은 두 자릿수 성장, 그러나 소송 충당금 증가로 GAAP 순이익은 역성장.

Non-GAAP 실적은 안정적이며, EPS 10% 성장으로 수익성 방어 성공.

Visa 2025년 실적 가이던스 요약

▶ 3분기 전망 (Q3 2025)

매출 성장률: 낮은 두 자릿수 성장

영업비용 증가율: 낮은 두 자릿수 증가

EPS 성장률: 10%대 후반

▶ 연간 전망 (Full-Year 2025)

매출 성장률: 낮은 두 자릿수 성장

영업비용 증가율: 10% 내외

EPS 성장률: 10%대 초반

비자 스테이블코인 내용..

이번 IR에서 비자 스테이블 코인 관련하여

내용을 자세히 확인할 수 있었다.

*비자 스테이블 코인 전략

1. 실제 정산에 스테이블코인 도입 중

USDC를 활용한 정산 누적 규모가 2억 2,500만 달러를 돌파함

7일 24시간 운영 가능한 정산 인프라 구현 중

기존 VisaNet 네트워크에 스테이블코인 결제와 정산을 통합함

2. Visa Tokenized Asset Platform 운영

은행들이 스테이블코인을 직접 발행·관리·거래할 수 있도록 인프라 제공

스마트 계약 기반 자동화 금융상품 구현 가능

프로그래머블 머니(PFM)를 통한 차세대 금융 시스템 진입 기반 마련

3. 주요 파트너십 및 확장 계획

BBVA와 협력해 이더리움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연내 발행 예정

다양한 블록체인과의 상호운용성 확대 중 (인터체인 전략)

4. Visa의 전략적 입장

아직 초기 단계지만,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매우 크게 평가

명확하고 실용적인 규제 환경 정비가 스테이블코인 확산의 핵심 조건

관련 제품·서비스를 계속 확장 중이며, 2025 Product Drop에서 구체적 로드맵 발표 예정

Visa는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기존 결제 수수료 기반 모델을 확장하며,

차세대 결제 인프라 주도권을 선점할 것으로 보인다.

규제 명확화와 파트너십 확대에 따라 Visa의 중장기 성장 모멘텀이 강화될 가능성이 높다.


더 중요한 부분은

**무엇보다 Visa의 전략은 '보완'이 아닌 '전환'을 지향

Visa는 단순히 기존 인프라에 스테이블코인을 ‘추가’하는 게 아니라,

스테이블코인을 포함한 디지털 통화를 기반으로

결제 시스템의 근본적인 구조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는 것에

주목을 해야 한다.

Settlement(정산), Liquidity(유동성), Programmability(프로그램 기능) 등

기존 인프라가 가진 병목을 디지털 자산 기반으로 극복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음.

게다가..

전통 금융사들이 스테이블코인을 규제·리스크로 보는 것과 달리,

Visa는 이를 ‘성장 시장’이자 ‘플랫폼 확장의 도구’로 적극 수용

이는 블록체인 기반 기업과 전통 금융의 첫 성공적 융합 사례가 될 수 있음


Visa는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단기 수익보다 장기 시장 지배력 확보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는 기존 금융 네트워크의

블록체인 네이티브화라는 구조적 변화의 시작점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단 비자의 약점은..

(스테이블코인 관련하여..)

1. 대형 유통업체(예: 월마트)의 자체 스테이블코인 발행 시도는 기존 카드 결제 수수료 구조를 우회하려는 움직임으로 Visa에 위협이 된다.

2. 소비자 보호, 신용 혜택 부족 등으로 B2C 결제에 바로 대체되긴 어렵지만, 장기적으로 수익성 구조 약화 우려가 존재한다.

3. 특히 규제가 완화되거나 상업 기업의 스테이블코인 발행이 허용될 경우, Visa의 결제 네트워크 지배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있다.

비자 주가 전망은..

[긍정적인 편..]

Visa는 스테이블코인을 통한 결제 인프라 전환에 선제적으로 투자하고 있어 장기적 시장 지배력 강화가 기대된다.

AI·VAS·글로벌 파트너십까지 복합적 성장 동력을 갖춘 만큼, 구조적 리레이팅 가능성이 크다.

[객관적인 전망..]

Visa는 견고한 기존 사업과 스테이블코인·AI 분야의 신사업을 병행하며 안정적 실적 흐름을 유지 중이다.

다만 규제 정비, 블록체인 도입 속도에 따라 주가 반응은 점진적일 수 있다.

[부정적인 전망]

스테이블코인 관련 실적 기여도는 아직 미미하며, GAAP 기준 순이익은 소송비 부담으로 역성장했다.

디지털 전환에 따른 투자 부담과 규제 불확실성은 주가 상승을 제약할 수 있다.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웰쓰빌더

고수

콘텐츠 1765

팔로워 168

웰쓰빌더(인스타그램, 블로그에서 약 7,000명 이상의 팔로워를 기록하고 있는 웰쓰빌더입니다.) 중요한 현금흐름 어떻게 하면 좀 더 좋은 기업에 투자할 수 있을 지 알아보아요.
댓글 0
0/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