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시간 2025년 1월 21일,
미국시간 2025년 1월 20일 트럼프가 취임했다.

출처 : 게티이미지
저는 매월 커피 한 잔의 가격으로
투자에 대한 생각을 매주 업로드 하고 있습니다.
위 링크 구독해주신다면 감사합니다.
*제 블로그는 종목 매매에 대해서
일체 권하지 않고 있으며
투자에 대한 모든 판단, 선택, 결과는
본인의 몫입니다.
트럼프의 취임식 10대 발언
(1) 남부 국경, 강력 봉쇄
불법 이민은 끝났다. 국경에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불법체류자는 본국으로 즉시 송환한다.
(2) 멕시코만? 이제는 ‘미국만’
우리의 바다는 우리의 이름을 가져야 한다.
(3) 파나마, 다시 미국의 품으로
잃어버린 전략 요충지, 되찾을 것이다.

(4) 에너지 독립 선언
석유와 가스 시추를 활성화해 에너지 비상사태를 돌파한다.
***역시나 오일이다..
>>트럼프는 미국의 에너지 자급자족을 목표로 삼고,
석유·가스 생산을 늘려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이루려 한다.
(5) 제조업 강국, 미국의 부활
산업을 되살리고, ‘Made in USA’의 영광을 되찾겠다.

(6) 그린 뉴딜 종료, 자동차 산업 재건
전기차 강요는 없다. 미국 자동차 산업을 다시 일으킨다.
>>테슬라에게는 위기이자 기회일 수 있음.
하지만 '미래차'는 결국 테슬라가 표준임.
(7) 국민 대신 해외에 세금 부과
미국민이 아닌 외국이 미국 경제에 기여하도록 만들겠다.
(8) 미국에는 오직 두 개의 성만 존재
생물학적 진실을 지킨다.
(9) 코로나 백신으로 전역당한 군인들, 다시 복무한다
미군의 정체성을 회복할 것.

(10) 화성에 성조기를 꽂을 것
미국 우주비행사들이 성조기를 꽂는 순간,
인류의 미래가 다시 미국의 것이 된다.
>>>본격적인 우주 항공 테마 체크
결국 트럼프 취임식에서
알 수 있는 점은
전통적 에너지의 부활+
우주에 대한 열망(=이는 방산과도 관련)
+미국 우선주의다.
트럼프 취임식 기반으로 수혜주
에너지 독립 & 원자재 강세
미국의 석유·가스 생산 확대로 에너지 기업 성장
약달러 정책 가능성 → 원자재·수출기업 수혜

ExxonMobil (XOM), Chevron (CVX), ConocoPhillips (COP),
Freeport-McMoRan (FCX), Newmont (NEM) 등과 같은 기업 체크
미국 제조업 부활 & 리쇼어링
생산시설 미국 이전 → 제조업 활성화
자동차·중장비·기계 산업 수혜

Caterpillar (CAT), General Electric (GE), Ford (F), Tesla (TSLA) 등도 체크
당연히 테슬라는 빠지지 말아야..
우주 산업 성장

트럼프의 화성 탐사 및 우주개발 확대 정책 기대
NASA 및 국방 계약 증가 가능성
Lockheed Martin (LMT), Northrop Grumman (NOC), Boeing (BA),
Rocket Lab (RKLB), Virgin Galactic (SPCE) 등도 함께 체크
(잠깐...)
트럼프 시대
금, 은 가격 전망은?
1) 약달러 정책 가능성 → 금·은 강세 요인
2) 금리 변동성 – 금리는 상승 시 부담, 하락 시 금·은 상승
3) 은(銀) 수요 증가 – 제조업·우주·전기차 확대 → 산업적 가치 상승
📈 결론:
금: 안전자산 수요 증가 시 상승
은: 산업 수요 확대로 금보다 더 큰 상승 가능성 🚀
**은이 상승 더 가능성 높아보임..
은 관련 물건 사실거면 빠르게 구매해야.
또 다른 힌트,
트럼프 2기 재무부 장관의 투자서한

스콧 베센트는 트럼프 2기 재무부 장관입니다.
트럼프가 취임하기 전 1월에 자신이 운영하던
헤지펀드인 '키 스퀘어'에 투자자 서한을 보냈습니다.
여기서 힌트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봅니다.
핵심만 요약해보겠습니다.
📌 트럼프 2기 경제 전망
트럼프는 복수보다 경제 재건을 목표로 할 것
1920년대 ‘광란의 20년대’ 스타일의
경제 호황 가능성
최대 리스크는 장기 금리 급등
📌 공급망 재편 & 인플레이션
리쇼어링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충격은 이미 지나감
과잉 생산 능력으로 디스인플레이션 or 디플레이션 전망
📌 트럼프 경제정책 방향
규제 완화, 에너지 독립, 제조업 부활, 감세 연장
전면적 관세 부과 가능성 낮음, 중국과의 갈등은 지속
📌 강달러 전망은 틀렸다
트럼프는 약달러 정책으로 제조업 경쟁력 강화
월가 예상과 달리 관세보다 약달러 전략 가능성 높음
📌 대선 이후 시장 전망
선거 전까지 부양책으로 시장 조정 제한적
트럼프 당선 시, 고점에서 시장 조정 가능성
‘광란의 20년대’ 시나리오가 시장에 전달되지 않으면 급락 위험 🚨
🔥 트럼프 2기 =
경제 호황 vs. 금리 상승 & 시장 변동성
또 다른 힌트,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인 낸시 펠로시는 '주식 투자'를 잘하기로
정말 유명합니다.
엔비디아 투자로 50억을 벌었다니까 대단하죠.
최근 낸시 펠로시가 트럼프 취임 전
주식 거래를 보고했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거래 대상:
콜옵션 매수: Alphabet(GOOGL), Amazon(AMZN), Apple(AAPL), Nvidia(NVDA), Tempus(TEMP), Vistra(VST)
주식 매수: Palo Alto Networks(PANW)
부분 매도: Apple(AAPL), Nvidia(NVDA)
📌 거래 규모:
총 수백만 달러 규모
Nvidia 주식 $1M - $5M 매도
Palo Alto Networks 주식 $1M - $5M 매수
📌 옵션 특징:
대부분 2026년 1월 만기
콜옵션 중심의 공격적 투자
🔥 투자 해석:
기술주 및 에너지 관련 주식에 적극적 베팅
장기 상승 기대 반영
낸시 펠로시는 대규모로 기술주 옵션을 매입한 것을 확인했는데
일부 투자자들이 앞으로 조정구간이 펼쳐지는 것이
아닌가라고 했는데 오히려
더 반등하면서 상승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결국 미국 기술주들은 앞으로도 강세일 것이다.
물론 건강한 조정이 나오면 더 반가울 것이고..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