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딥시크 충격, 중국 AI는 미국을 이기려고 한다(Feat. 중앙통제)

by 웰쓰빌더

2025.01.28 오후 18:28

1월 27일 밤 - 1월 28일 새벽까지

딥시크 여파로 인해서 미국증시는

사실상 폭락했습니다.

물론 딥시크에 대해서 여러 평가가 갈리지만

확실한 것은 무료 생성형AI치고

성능이 매우 좋다는 것입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goodinvest4/goodinvest

저는 매월 커피 한 잔의 가격으로

매주 투자에 대한 생각을 다양하게 정리해서

올리고 있습니다.

구독해주신다면 감사합니다.

엔비디아의 최신형 반도체를 쓰지 않고도

이 정도라면 정말 대단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도 저는 중국 생성형AI이기에

개인정보는 털리지 않을까

해킹에는 취약하지 않을까란 생각도 합니다.

하지만 오늘 주제로 말씀드릴 것은

중국AI는 이제 폭발한다는 것입니다.

오늘 주제의 결론 :

✔ 중국의 생성형 AI는 정부의 강력한 통제 아래

방대한 개인정보와 빅데이터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어,

서방보다 빠르게 발전할 가능성이 크지만

감시 사회로의 위험도 내포하고 있다.


본문 짧게 요약

📌 중국 AI 급성장 핵심 요약

DeepSeek 등장 → 바이두 계열의 강력한 생성형 AI

엔비디아 칩 없이도 강력한 성능 → 글로벌 AI 시장 충격

🔹 개인정보 및 데이터 활용 차이

미국·유럽 → GDPR, CCPA 등 강력한 개인정보 보호 규제

중국 → 정부가 데이터 통제 → 방대한 개인정보·빅데이터 AI 학습 가능

🔹 AI + 감시 시스템 결합

CCTV + 얼굴 인식 AI → 도시 감시 가능

소셜 크레디트 시스템 → 시민 행동 추적

AI가 국가 통제 도구로 활용될 가능성

🔹 AI 데이터 경쟁력

14억 인구 → 방대한 인터넷·SNS·전자상거래·CCTV 데이터 활용

자체 시장만으로도 글로벌 경쟁력 확보

🔹 오픈소스 전략

챗GPT(OpenAI) → 클로즈드 소스

DeepSeek, Baichuan, ChatGLM 등 중국 AI 모델 → 오픈소스 공개

오픈소스로 글로벌 AI 시장 선점 + 정보 수집 가능성

🔹 AI 반도체 독립 추진

✔ 미국은 중국 향 AI 반도체 수출 규제

화웨이 등 중국 기업이 자체 반도체 개발 가속화

엔비디아 의존도 낮추고 AI 독립 추진

🔹 중국의 AI 패권 경쟁

미국 → AI 기술력·반도체·클라우드 인프라 우위

중국 → 정부 지원·데이터 활용·오픈소스 전략으로 격차 축소 중

미·중 AI 패권 경쟁 본격화

⚡ 결론:

✅ 중국 AI는 빅데이터 + 정부 지원

+ 오픈소스 전략으로 빠르게 성장 중

✅ 하지만 개인정보 보호 부족 +

감시 사회화 우려 등의 리스크 존재

AI 패권을 둘러싼 미·중 경쟁이

더욱 심화될 전망 🚀

중국의 생성형 AI 무섭다

훨씬 수월한 개인정보 접근

중국 기업은 미국이나 유럽과 다르게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더 수월합니다.

중국 정부에서 데이터를 강력하게 통제하지만

AI기술을 개발할 땐

국가차원에서 관리, 규제를

진행하기 때문입니다.

국가

개인정보 보호 수준

AI 학습 데이터 접근성

미국 (OpenAI, Google)

강한 규제 (GDPR, CCPA)

제한적 (개인정보 보호 중요)

유럽 (Anthropic, DeepMind)

매우 강한 규제 (GDPR)

매우 제한적

중국 (DeepSeek, Baidu, Alibaba)

상대적으로 약함

정부 차원에서 접근 가능

게다가 사생활 보호 규제도 서구보다

훨씬 넉넉한 편이라서 접근도 편하다.

예를 들어, OpenAI나 Google은 법적으로

동의 없이 개인 대화 데이터를 수집할 수 없지만,

중국의 AI 기업들은 정부 정책 아래 사용자

데이터를 쉽게 활용할 수 있음.

특히 미국과 유럽은 GDPR, CCPA 같은

개인정보 보호법으로 AI 학습 데이터 수집이 제한적.

보안도 참 좋지 않은데...

솔직히 생성형AI에 있어서 보안을

생략한다면 장기적으로는 '해로움'이다.

AI와 감시 시스템의 결합

💡 중국의 AI는 단순한 챗봇이 아니라,

실제 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될 가능성이 높다.

💡 하지만 AI가 국가의 통제 도구로 활용될 가능성이 큼.

중국은 이미 세계에서 가장 발전된 감시 시스템을 구축했다.

CCTV + 얼굴 인식 AI를 결합하여

도시 전체를 모니터링 가능하다는 사실.

소셜 크레디트 시스템(개인의 신용 점수를 평가하는 시스템)이

AI와 결합되어 시민들의 행동을 추적도 가능하다.

AI가 이런 데이터들을 학습하면 초고도 맞춤형 AI 서비스가 가능해짐.

하지만 전 인민을 감시한다는 말까지도

나온다니까 어떤 상황인지는 굳이

길게 설명안해도 된다.

무엇보다 '빅'데이터

중국의 인구는 14억입니다.

미국에 비해서 약 4배나 높습니다.

AI 모델은 데이터를 많이 학습할수록 더 똑똑해지는데

전 세계에서도 제일 많은 인터넷 사용자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은 강점이다.

SNS, 전자상거래, 금융 거래, 의료 기록,

CCTV 데이터까지 모두 AI 훈련에

활용할 수 있다.

*사실상 자체 시장만으로도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한 것이나 다름 없다.

또한 규모의 경제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데

14억 인구 중에서 수억명이 AI서비스를 사용하면

더 저렴해질 확률도 크다.

어떻게 보면 AI훈련에 필요한

조건도 적절하게 잘 갖춰져 있는데

돈까지 쓴다면 어마무시하다.

정부 차원에서도 대규모 투자를 진행중.

오픈소스 전략

중국은 현재 자신들의

생성형AI에 대한 오픈소스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소프트웨어의 소스 코드를 공개하여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 수정, 배포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반대로 챗GPT는 클로즈드소스임.

(개발사만 수정 및 배포 가능함)

예: DeepSeek R1, Baichuan, ChatGLM 등

중국의 많은 LLM이 오픈소스 형태로 공개됐다.

이는 중국이 글로벌 AI 생태계를 선점하기 위한 전략일 가능성이 크다.

오픈소스 AI 전략을 통해 전 세계 개발자들이

중국의 AI 모델을 활용하도록 유도 가능.

이는 장기적으로 AI 패권을 중국이 가져갈 수 있는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음.

*무엇보다 국제적인 표준도 점할 수 있고

오픈 소스 내에서 특정 기능을 삽입해서

해킹을 할 수도 있다.

'글로벌 정보 수집 도구'로 전락할 수 있다.

로그 데이터도 수집할 수 있다면 어떻게 될까..?

즉, 중국의 오픈소스 AI는 단순한 기술 공유가 아니라,

장기적인 AI 패권 경쟁과 정보 전략의 일부일 가능성이 크다. 🚀


중국은 미래를 노리고 있다.

엔비디아 칩이 아닌 최첨단 화웨이 자체 칩을

개발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특히 미국에서 AI반도체를 중국에

판매하지 못하도록 수출 제한도

걸고 있는 상황이라는 것..

AI연산력 확보를 위해서 자체 반도체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엔비디아 의존도를

낮추려고 하고 있다.

중국도 클라우드 AI인프라도

더욱 강화시키고 있으며 자체 AI모델도

운영하고 있는 상황임.

아래는 중국의 대표적인 AI 모델 개발 기업 및 해당 AI 모델과 주요 특징이다.

기업명

AI 모델

주요 특징

바이두 (Baidu)

ERNIE Bot 4.0

GPT-4급 성능 목표

알리바바 (Alibaba)

Tongyi Qianwen (通义千问)

전자상거래 & 클라우드 최적화

텐센트 (Tencent)

Hunyuan (混元大模型)

멀티모달 AI 지원

화웨이 (Huawei)

PanGu (盘古大模型)

기업용 AI 최적화

DeepSeek AI

DeepSeek R1

오픈소스 GPT-4 대체 모델

Zhipu AI

ChatGLM-4

AI 챗봇 & NLP 최적화

미국은 강력한 AI제제를 통해서 중국의

기술 발전을 견제하고 있지만

중국은 자체 AI생태계도 구축하고 있고

AI독립도 추진하고 있다.

AI기술력만 놓고 보면 AI모델이나 반도체,

클라우드 인프라가 미국이 앞서지만

데이터 활용이나 정부 지원에서는

중국이 우위에 있다.

특히 중앙 통제인 중국이 빅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서 AI를 육성시킨다는 것이

미국과의 큰 차이지 않을까..

장기적으로 AI반도체 독립과

오픈AI소스 확산 전략과 데이터 활용을 통해

미국과의 격차를 어떻게 줄이고 앞서 나가느냐가

AI전쟁의 핵심일지도..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웰쓰빌더

고수

콘텐츠 1844

팔로워 180

웰쓰빌더(인스타그램, 블로그에서 약 7,000명 이상의 팔로워를 기록하고 있는 웰쓰빌더입니다.) 중요한 현금흐름 어떻게 하면 좀 더 좋은 기업에 투자할 수 있을 지 알아보아요.
댓글 0
0/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