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JEPI ETF 특징 배당금 장단점은

by 웰쓰빌더

2023.03.05 오후 21:12

JEPI ETF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요즘 투자하시는 분들이라면 월배당 etf에 관심 있는 경우가 많을 것입니다.

특히 여러 테마가 있지만 커버드콜 전략에 대해서 궁금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먼저 커버드콜 ETF에 대해서 궁금하시다면 제가 이전에 써놓은 글을 확인하시면 더 이해도 팍팍 가실 것이랍니다!

커버드콜의 특징이라면 횡보장, 하락장에서는 주가 손실이 막아지지만 반대로 상승 장에서는 상방이 어느정도 닫혀 있어서 큰 수익을 보기 힘듭니다.

또한 기존의 여러 커버드콜 ETF들이 장기적으로 수익이 떨어지는 구조이기에 조심해야 합니다. 일단 JEPI ETF에 대해서 심층 분석을 해보죠.

커버드콜 ETF이 어울리는 투자 대상

★월배당으로 꾸준한 현금흐름, 큰 수익은 어려움

1) 당장 투자할 종목은 모르겠고 달러로 월배당을 받으면서 우수한 배당주, 종목에 재투자 하고 싶은 사람.

-월배당으로 시작해서 향후 분기배당 등 다양한 종목에 투자

2) 꾸준한 현금흐름이 필요한 사람(은퇴자, 나이가 어린 학생)

-인출 등을 해야 할 일이 있는 사람

3) 배당 위주로 투자를 하고 싶은데 이색적인 고배당인 종목을 찾는 사람

-개별 종목에 투자하긴 귀찮고 차라리 커버드콜의 매력에 빠진 사람

하지만 커버드콜 자체가 고성장은 힘들고 배당을 줄이는 순간 메리트가 크게 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향후 금리가 내려가는 순간 미국 증시엔 다시 활황이 불텐데 큰 금액이 묶여 있을 때 얼마나 유동적으로 잘 투자하느냐도관건.


JEPI ETF특징은

1. JEPI란?

★JP모건사의 펀드매니저가 관리하는 액티브펀드

일단 JPMorgan Equity Premium Income ETF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이 종목은 S&P500 지수를 추종하고 있으며 현재 54.03달러입니다. 현재 기준 환율을 고려하면 약 7만원대이지만 향후 환율이 떨어지면 주가가 크게 내려갈 수 있음.

현재 가격방어는 잘 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커버드콜 ETF들은 항상 멀리 따져봐야 한다. 또한 인덱스가 아닌 액티브 펀드입니다. 펀드매니저의 수익에 따라서 천차만별 달라집니다.

2. 벤치마크 지수

S&P 500 TR USD를 추종하고 있습니다. 최근 5일간 수익률을 보면 S&P 500 TR USD은 1.37%로 올랐는데 JEPI는 오히려 0.28%로 하락함. 배당락 등 문제 발생.

3.ETF 소개서

2022년 말 JEPI 소개서에 위와 같이 써있습니다. 경제의 불황의 가장자리에 있고 미국 주식의 역풍이 나타날 수 있는 리스크를 감시하고 있고 변동성을 통해서 확신도 높은 종목에 초점을 맞추고 매력적인 종목 선택 기회를 얻고 있다.

4. 미국 대형주에 투자+콜옵션

★옵션과 미국 대형주에 투자

일단 주식 및 파생상품에 60년 이상 경험이 있는 포트폴리오 매니저가 JEPI 상품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총 비용은 0.35%라는 것을 참고해야 합니다. 1,000만원을 투자해도 매년 35,000원씩 비용이 나가는 셈임.

현재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Hamilton Reiner, Raffaele Zingone입니다. 분산형 주식 포트폴리오를 갖고 있으며 콜옵션 매도도 적절히 활용하고 있습니다.

2020년 5월 20일에 상장한 종목으로 아직 이력은 단 3년도 없는 종목이기 때문에 조심해야 합니다.


커버드콜에 대한 고찰

미래에셋 글로벌X에서 운용중인 S&P 커버드콜500 커버드콜 ETF인 XYLD의 경우 10년을 투자하더라도 단 수익률이 0.59%입니다.

이 기간 SPY에 투자만 하더라도 172%의 수익을 냅니다. 물론 XYLD로 나오는 배당수익을 계속해서 재투자 하며 172% 이상의 수익을 낼 수도 있었겠지만 결코 쉽지 않았을 것입니다. 똑같은 전략을 취하진 않겠지만 적어도 JEPI ETF를 보면서 SCHD등도 인덱스펀드도 쳐다봐야 함.(물론 JEPI도 배당금이 향후 더욱 오른다면 2배, 3배 더 수익을 낼 수도 있겠지만 이는 모름, 액티브 펀드이기 때문에 리스크도 있음)

여기서 우리는 다시 문제로 돌아오게 됌. 원금을 170% 이상 불려주는 자산에 10년을 묶어둘 것이나 분배금이 깎일 우려도 있고 원금 손실도 있는 JEPI를 계속 두느냐. 이건 본인의 판단. 물론 현재 현금흐름이 중요하고 향후 배당금이 상승될 수도 있기 떄문에 지켜봐야함.

글로벌X에서 운용하는 XYLD(S&P500 커버드콜 ETF)만 보더라도 배당금을 매년 계속해서 늘려왔음. 물론 2016년엔 한번 꺾인 적이 있고 2019년에도 한번 꺾인바가 있음.


JEPI ETF 장점은?

1. 높은 배당수익률

다른 고배당 ETF와 비교해서도 훨씬 높은 수익률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작년 기준으로 JEPI 배당금 수익률은 무려 11.77%이기 때문입니다. 미국 고배당 채권이나 리츠와 비교를 해서도 장점입니다.

또한 최대 장점이라면 달러로 매월 배당을 받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물론 2023년 3월에 지급되는 배당금은 JEPI와 비슷한 JEPQ가 더 높습니다.

2. JEPI 포트폴리오

★커버드콜 100%가 아닌 게 장점

회사 보통주와 함께 콜옵션 등을 매수하고 있습니다. 일단 1등은 PGR이라는 손보사를 1.68%를 갖고 있으며, 애브비, 마스터카드, HSY 등도 있습니다. 코카콜라나 비자 등도 보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JEPI 투자할 바에는 차라리 JEPI에 투자하고 있는 상위 개별 주식에 투자라하는 말도 하는데 사실 이는 JEPI 투자자들의 주목적이 아닐 것입니다.

대형주를 82%정도 추종하고 있습니다.

섹터 비중으로 보면 금융과, 헬스케어, 산업용 소재 등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테크의 경우에는 단 7.8%입니다. 현재 약 114개 종목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JEPI ETF 단점은

1. 비용(수수료 등)

SPY와 비교를 하더라도 총비용도 너무 높을 뿐만 아니라 향후에 장기 투자를 하더라도 수익 비중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당장 현금흐름이 나오는 것은 좋지만 꾸준하게 나오는 월배당으로 재투자를 해야 합니다. 대략 26%정도 차이면 상당히 큽니다.

2. SPY와 비교를 하면

JEPI와 S&P500 인덱스 펀드 ETF인 SPY를 비교하면 최근 1년간 하락장에서는 JEPI가 오히려 유리했습니다. +1.33%로 수익권이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3년, 10년으로만 넘어가도 12%이상의 수익을 자랑하는 SPY를 따라 잡기란 쉽지 않을 것입니다.

JEPI ETF에서 나오는 배당금을 계속해서 인덱스펀드나 장기 성장 종목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또한 SPY의 경우 505개 종목에 포트폴리오를 나눠서 투자할 수 있지만 JEPI는 110개입니다. S&P500의 상승을 기대한다면 SPY가 답이지만 결국 JEPI ETF투자 목적 자체는 월배당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결론은

아예 S&P500에 관심이 많다면 월배당 ETF인 JEPI에 투자를 하면서 IVV나 SPY 등에 관심을 가져보는 것도 좋지 않을까 싶다. 혹은 SCHD와 같은 배당성장주에도 관심을 가지며 꾸준하게 자금 볼륨을 다양하게 굴려야 합니다.

'투자는 오롯이 본인이 결정하는 것이며 투자를 권하는 내용은 아닙니다.'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웰쓰빌더

고수

콘텐츠 1765

팔로워 168

웰쓰빌더(인스타그램, 블로그에서 약 7,000명 이상의 팔로워를 기록하고 있는 웰쓰빌더입니다.) 중요한 현금흐름 어떻게 하면 좀 더 좋은 기업에 투자할 수 있을 지 알아보아요.
댓글 0
0/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