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명에너지 주가 분석 및 IR, 사업보고서 등 분석을 진행해볼게요! 먼저 이 종목은 2022년 5월에 상장된 종목인데요! 상장 이후에 주가는 크게 치솟고 등락을 반복한 상황입니다.
<회사에 대한 소개 요약>
①코스닥에 상장된 종목 시총은 4,000억(코스닥 169위)
-2022년 5월 상장, 확정 공모가 15,000원, 기관 경쟁률 254:1
-원래 회사명은 솔반>드레디엔씨>코아케이블>물적분할(2014년)
②주요사업 :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 투자 및 건설 사업
- 신재생에너지 사업으로 풍력, 태양광 기반 시설 개발부터 설계, 조달, 시공, 운영관리까지 진행
- 가상발전소 사업 진출도 준비
-풍력 민간 발전사로는 1위
-태양광 관련주, 풍력 에너지 관련주이기도 함.
③2022년 매출, 실적은 대폭 감소
-매출액, 영업익은 감소했으나 당기순이익은 2021년과 큰 차이가 없음.
-하지만 세세하게 보면 발전소 8기 중에서 4기가 공동 법인 형태에 영업이익을 연결 실적에 포함하기 힘듦(공동 법인으로 해야 매출이 잡힌다고 함)
-특이한 사업 구조로 100% 존속법인이 발전소를 건설할 경우 연결기준으로 매출은 증가하지 않고 매출로 잡히는 것은 현재 PF와 SPC방식으로 공동법인에 투자한 것이 매출로 잡힘
-지배주주 순이익률을 보면 2021년엔 17%, 2022년엔 오히려 29%로 더 오름.
⑤실제 사업 벨류체인을 보면 굉장히 고부가가치 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⑥회사만의 경쟁우위
-포트폴리오가 다양함(풍력, 태양광, ESS)
-사업개발부터 발전사업, SPC, 운영/관리까지 진행
-인허가 노하우, 건설 노하우
-O&M 부문에서 노하우+리파워링 장점
-발전자회사별 손익을 보더라도 대부분의 발전소들이 흑자(2021년 기준)
⑦파트너사로도 KB금융그룹, CJ대한통운, LG화학, 삼성SDI, SK E&S, 현대일렉트릭, 한국남동발전, 한국수력원자력 등이 있음.
⑧IR 소통도 잘하는 편
신재생 에너지 현황(업황)

정부가 최근 신재생에너지 제품 생산하는 사업자나 발전 설비를 설치하는 사람에게 사업비 지원을 한다고 했습니다. 친환경 에너지 사업을 하는 대성에너지 입장에서는 탄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풍력발전법 통과로 절차 인허가 간소화 등도 기대가 되고 있는 상황임.

태양광은 한국 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도 탄력을 많이 받고 있습니다. 미국 태양광 대장주라고 할 수 있는 퍼스트 솔라도 연중 수익률이 20%나 기록하고 있음.
*한화큐셀이 미국 조지아주에도 태양광 투자를 크게 하기도 했음. 바이든은 2035년 전체 전력의 40%를 태양광으로 비중을 높이겠다고도 말한 바 있음.(향후 미국 대선에 의해서 이 정책은 유지될지 의문, 그래도 태양광 자체가 설비투자라서 투자가 이미 들어간 것을 폐기하긴 어려울 수 있음)
뉴스로 본 대명에너지
1. 꾸준한 IR

2022년에 상장된 회사이지만 기업 설명회도 적극적으로 하면서 투자자들에게 IR을 하려고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어떤 기업인지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서 좋습니다. 아무리 좋은 회사라도 결국 투자자들과 소통이 되지 않으면 아쉬울 수 있죠.
2. CB, BW 발행 이후 납입 완료

이번 조달 자금을 통해서 ESS사업 개발, 풍력 재생에너지 사업을 진행한다고 했습니다. 조달 자금까진 좋지만 얼마나 사업을 확장시켜 나갈지 궁금합니다.
향후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도 상향되고 있는 상황에서 친환경 에너지는 이젠 선택이 아닌 필수이고요! RE 100 캠페인도 계속 대두되고 있죠.
3. 기업의 실적

상장 당시에는 기대감이 높았던 호사이기도 하지만 작년 영업이익이전년 대비 무려 45%나 감소했다는 것은 아쉬운 부분 중 하나입니다. 기업의 실적을 한번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기업 실적으로 본 대명에너지
1. IFRS 연결 실적은

매출액 부문에서는 2022년 크게 줄은 것을 볼 수 있고 영업이익도 대폭 줄었습니다. 하지만 발전소 특성상 연결 실적으로 잡기 어려운 부분도 있다고 합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좀 더 자세히 따져봐야 합니다.
2023년 연결 매출액, 영업이익은 2022년보다 대폭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2. 실적 자세히 보면

실제로 매출액을 자세히 보면 건출계약으로 인한 수익이 크게 급감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대명홀딩스에서 말하는 매출 연결이 힘들다고 하는 부분이 이 부분인 거 같습니다.
공동법인으로 해야만 매출이 잡히는 것이며 실적을 판단하려면 배당 수익이 포함된 당기 순이익으로 보는 것이 낫다고 합니다.
판관비도 다소 늘어났는데 지급수수료와 퇴직급여, 기타판매비, 일반관리비 등이 대폭 늘었습니다.
사업보고서로 본 대명에너지
1. 평판이 좋다

재무, 사업 부문에서 안정되다 보니까 계속해서 신용평가 등급이 좋아지고 있습니다. 2021년엔 BBB단계였지만 2022년 기준으로 A단계입니다.
2. 경영 안정화

대표이사는 그대로 재선임되어서 진행되고 있고 사내이사도 신규로 선임을 하고 사외이사로 감사위원도 여럿 진행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지금도 워낙 탄탄하게 성장하고 있는 회사이기 때문에 경영진 교체는 많지 않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021년엔 최대 주주 지분 매각과 상속도 있었습니다.
3. 주요 매출 비중

공사를 통한 매출 비중이 약 71%이며 발전은 24%입니다. 공사로는 풍력발전단지/태양광발전단지 건설도급공사 수행과 ESS로 풍력, 태양광 연계 ESS 설치공사, 건물/공장 연계형 피크컷 ESS 시스템 구축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발전은 전력 및 REC 판매 수입으로 내고 있습닏. 수주 산업이라서 가격 변동 추이는 파악하기 어렵고 주요 원재료로는 풍력발전기, 전기자재 등이 있습니다.
*2022년 회사 매출액이 줄어든 것을 볼 수 있는데 '당기순이익'엔 변화가 없음. 위에서도 설명했지만 특이한 사업구조(발전소 4기분에 대해서)
4. 사업구조 어떻길래

위 사진을 보시면 알겠지만 SPC(특수목적법인)을 설립해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공사 전에 인허가를 통해서 사전용역매출을 발생하고 EPC(설계, 자금조달, 시공 한방에 계)까지 공사 매출을 올립니다. 이후 운영 과정에서는 SPC배당금, 사무위탁계약, O&M(발전소 운전 정비) 등을 통해 용역 및 배당금 매출을 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REC 공급인증서 만료 뒤 20년 이후에는 리파워링(최신식으로 교체)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공사 용역만 보더라도 위와 같이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3년 납기 공사 수주로는 금성산풍력EPC공사 , 인천검단 AA13-2BL, 가의해상풍력 계측기공사 등이 있습니다.
5. 향후 재생에너지 전망

지속가능 개발 시나리오를 기준으로 보면 태양광, 태양열 에너지는 대폭 늘어날 것이며 수력, 풍력도 약 2배 가까이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당연히 이에 따라서 대명에너지도 탄력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란 기대감도 들고 있습니다. 앞으로 보급 전망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에 기대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발전자회사 1,2위를 제외하고도 풍력설비 설치용량에서는 민간 사업자 중에서는 1위를 기록하고 있다는 것은 인상 깊습니다.
IR로 본 대명에너지

위 자료는 IPO 당시 공개한 IR자료입니다. 투자자 및 애널리스트를 대상으로 4월에 진행한 IR에 대해서는 제가 따로 찾지 못했습니다.
그래도 IR 홈페이지도 따로 만들어서 투자자들과 소통하려고 하는 것이 보이는 것은 인상 깊습니다.
기본적으로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인프라와 그린 솔루션도 보유했고 수익성도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매출액, 영업이익 연평균 성장률도 늘어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물론 2022년엔 매출액, 영업이익이 연결 기준으로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것은 아쉽)

앞으로 사업 확대는 해상풍력, 그린수소, VPP(가상발전소), 리파워링 쪽으로 목표를 하고 있다고 합니다.
리포트를 통해 본 대명에너지

증권사 리포트도 3월 말~4월 초 기준으로 해서 3개나 올라와 있습니다
돈 잘 버는 재생에너지 발전 기업이라는 부분에 주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장 최근 발표한 DS투자증권 안주원 연구원에 의하면 목표 주가 대비해서도 괴리율이 크다고 하는데 그 당시의 주가에 비해서는 현재는 조금 하락한 상태입니다. 그래도 현재 실적이나 향후 회사에서 가이던스 등도 제시하면 충분히 매력적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대명에너지 주가 결론

저도 OCI와 같은 친환경 소재를 목표로 하는 기업에 관심이 많기도 하지만 대명에너지와 같이 이렇게 실제로 친환경 벨류체인을 제대로 구축한 회사는 처음 보기도 합니다.
물론 기업마다 장단점도 있고 실제 회사의 실적과 다르게 주가의 흐름도 매우 다르기도 합니다. 하지만 IR 등도 꾸준하게 하고 회사와 투자자와의 접점을 찾아가려고 하는 것도 좋아 보입니다.
2022년 실적처럼 눈에 보이는 실적에 집중하기보단 실제 사업보고서, 재무상태표 등을 보면서 체크해보면 매력적인 기업이라는 것도 볼 수 있습니다.
*위 내용들은 제 개인 사건이며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니며 판단은 본인의 몫, 책임입니다.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