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17일 예정된 'CF100 정책 포럼' 일정.
산업부 장관 주재 일정이라 재료 트레이딩 측면에서 한번 체크해볼 필요는 있는 듯.
일전에 'RE100' 이라는 친환경 정책으로 태양광,풍력 관련주들이 주목받은 적이 있었는데 CF 100은 원전, 연료전지로 사용 전략을 충당하는 것. 2018년 구글과 UN에너지, 지속가능에너지기구 등이 발족하였음.

* RE100 vs CF100
-> RE100 : 사용 전력 100%를 태양광/풍력/수력 등 재생에너지로 충당
-> CF100 : 사용 전력 100%를 원전, 원료전지 등으로 충단
- 정부는 재생에너지 비중이 낮은 국내 여건 특성상 RE100보다 원전과 수소연료전지까지 포함한 CF100으로 탄소중립 전략을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음.
- 삼성,현대차 등 RE100 가입 기업들도 국내 재생에너지 보급에 한계가 있다고 보고 CF100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분위기
- 정부는 이후 CF100을 국제 사회 의제로 띄우려고 노력 중.
- 한덕수 국무총리는 7일(현지시간) 스웨덴 순방에서도 울프 크리스터손 스웨덴 총리를 만나 CF100을 글로벌 의제로 만들자고 논의.
- 대한상공회의소가 지난해 국내 제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62.2%는 국내 재생에너지 여건을 고려해 RE100 대신 CF100을 추진하는 것에 찬성
CF100 관련주로 굳이 엮자면 원전 관련주, 수소연료전지 관련주들이 개연성이 높은 상황인데..
원전 관련주들이 대체로 추세가 꺾인 모습이라 그나마 볼만한게 지투파워 정도인 듯. 아직 일정(5/17)까지 5거래일이 남았는데 움직임을 살펴봐야할 듯.

수소연료전지 관련주들은 역시 추세는 별로 좋지못하니 체크하는 정도만..(에스퓨얼셀 / 범한퓨얼셀 / 동아화성 등)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