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OLED 변화의 바람 리포트 요약 정리

by 인라밸

2022.09.20 오후 22:05

  • OLED 시장의 확장은 태블릿 및 노트북이 담당할 전망

  • LG전자 OLED 42인치 TV 출시 예정

  • 삼성D 삼성전자 타겟으로 신규투자 진행 전망

  • RGB OLED 성수기 진입(신제품 수요 - 폴드 및 아이폰), IT용 8.5G OLED 투자

  • Tendem 구조의 적용 영향을 많이 받을 것으로 예상(디스플레이 단위 면적 당 소재 수요가 크게 증가)

  • 2스택텐덤으로 넘어갈 시 RGB 2배, ETL 2배, HTL 2배로 인한 밝기와 내구성 1.5배~2배 증가 예상


LCD

-> LCD패널의 가격은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음 코로나때 반짝 상승했으나 중국의 물량 공세에 여지 없이 당하고 있는 중

-> 증권가에서는 2023년 태블릿 및 노트북 시장이 턴어라운드 될 것이라고 전망

  • 수요 약세시점 1Q20(모바일) -> TV(2Q21) -> 노트북(3Q21)

  • 매크로 불확실성이 계속되는한 TV 수요의 강세가 지속되긴 어려울 듯

  • INNOLUX 가동률 50%로 내릴 계획 고려중, 삼성D는 LCD 팹 셧다운, LGD는 LCD케파 축소(60K/월 -> 30K/월)

  • 중국업체 모두 가동률 조정 진행 중

-> LCD 업체의 재고를 꾸준히 모니터링 하다보면 LGD에게도 기회가 있을 것 같다.

  • 통상적인 사이클의 과정은 수요감소 -> 공급감소 -> 세트업체 재고조정 -> 수요증가 -> 가격상승으로 이루어진다.


OLED

  • OLED 시장이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선 어플리케이션 확장 필요

  • 애플은 OLED 시장에서 출하량 기준으로 30% 정도 차지

  • 하반기 아이폰 출하량 기대치는 1.1~1.2억대 가량이며 프로모델의 판매량이 더 많은 가능성도 있다(통상 일반 5 프로 5)

-> 현재로썬 아이폰의 확장은 삼성디스플레이의 확장과도 같다. 삼디플을 통해서 애플에 납품하는 업체(소부장)들을 찾아보자..!

  • 200불 이하의 스마트폰 에서는 OELD 침투율이 추가적으로 높아지기는 어려울 것

  • 태블릿과 노트북 침투율 증가가 시장 성장의 동인이 될 가능성 존재

  • 2016~17년의 대규모 투자사이클을 기대하기는 어려움

  • 북미 고객사 및 어플리에키션 확장에 대응하기 위해서 국내 디스플레이 업체 들은 투자 진행 혹은 예정에 있음(삼디플 8.5G->8.6G)

  • 8.6G의 원장은 8.5G대비 9% 가량 커짐 수직 증착 혹은 하프컷 수평증착이 예상됨

-> 말그대로 수평을 수직으로 변경한 것

  • LGD 역시 3.3조원 투자를 통한 15K/월 수준의 라인 확보 예정(2023년 중, 이미 진행 중)

  • 삼성전자의 TV점유율은 세계 1위이며 이러한 이유로 LGD에서 삼성전자향으로 공급하기 위해 노력하였었음

  • 삼성D의 QD 디스플레이 CAPA는 30K/월 수준으로 패널 150만장 정도 가능한 CAPA


IT OLED 기술 변화 - 2 Stack Tandem, Hybrid OLED

2Stack Tandem

  • OLED는 휘도와 수명에서 역의 상관관계를 가짐(밝게 쓸수록 소자의 수명은 짧아짐)

  •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나온 방식이 2 Stack Tandem 구조의 적용

  • 통상적으로 1 Stack 만 적용하였지만 LGD가 차량용으로 공급하는 POLED에서 2Stack 방식 적용

  • 2스택 텐덤으로 가는 과저에서 핵심은 Stack을 CGL이라는 층을 통해서 효율적으로 연결하는 것임(Charge Generation Layer)

  • 각각의 스택에 전자 또는 정공을 제공해주는 역할을 한다.

  • 2스택 텐덤의 장점은 수명증가와 휘도 증가

  • 아이패드용 OLED에서는 2스택텐덤을 통한 수명의 4배 증가와 휘도 2배 증가를 기대(전력효율은 비슷한 수준 예상)

  • 다만 소재 수요의 폭이 2배일지는 현재까지 파악이 어려움

  • 2stack 구조에서 유기발광츨 총 두께가 1stack 수준일 것으로 예상되어 2배가 증가할지 미지수

  • 공정이 2회 진행됨에 투입되는 소재양의 증가는 불가피하며 약 60% 증가할 것

Hybrid OLED

  • Flexible OLED는 섭셋을 PolyImide 소재 사용하지만 아이패드에선 유리기판을 사용하는 Hybrid 구조 예상

  • Rigid OLED(유리기판), Flexible OLED(PI)

  • 아이패드 프로 연간 출하량은 700만대 수준이며 맥북이나 DHL(Dell, HP, Lenovo) OLED 노트북 출하 시 추가 투자 및 침투율 상승 전망

  • 스마트폰 보다는 태블릿/노트북이 팔릴 수록 판매량 당 면적이 커서 시장성장에 유리한 구조

  • 태블릿/노트북의 경우에는 스마트폰 대비 면적이 5~6배 크다.

  • 2스택을 고려한다면 소재수요는 8~9배 증가할 전망

  • 다만 패널가격이 큰 변수이며 적정한 수준에서 책정되어ㅕ야 한다.

  • 8.5세대 원장에서는 Oxide TFT가 적용되기에 LTPS TFT보다 소재 투입량이 더 낮을 가능성도 있음

-> 결국 핵심은 기존보다 소재의 투입량이 늘어나느냐 아니느냐가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어질 듯


QD 디스플레이

  • Quantom Dot 또는 양자점은 수나노미터 크기의 초미세 반도체 입자

  • OLED와는 다르게 탄소가 들어가지 않은 무기물 분자

  • QD는 광발광, OLED 전계발광

  • 입자의 크기에 따라 다른색을 내며 색 표현력이 좋다.

  • QD를 적용한 디스플레이는 OLED-> QD OLED -> QNED의 방향으로 진행 중(삼성전자 17년 QLED 판매)

  • QD OLED는 2022년 11월 양산 예정

  • QD OLED는 컬러필터가 사용되며 4스택 구조의 3개의 블루 OLED를 갖고 있음

  • QNED의 구조는 QD OLED와 비슷하지만 백라이트로 나노 LED를 사용

  • QD컬러필터, BLUE LED를 잉크젯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고 있음


신기술 적용의 확대 : Micro OLED

  • 애플 MR기기는 2023년 상반기에 출시 예정(목표 100~150만대)

  • 마이크로 OLED는 실리콘 기판위에 만든 OLED

  • 기존에는 유리 원장위에 증착하는 방식이였으나 마이크로 OLED경우 실리콘 기판 위에 TFT와 OLED 소재 증착

  • OLEDoS라고 불림

  • DDI 내재화를 통해 패널이 차지하는 공간 최소화 필요

  • AR/MR이 성공적으로 안착되려면 PCB DDI 공간을 줄여야 함

-> 만약에 이게 진짜로 된다면 여럿 업체 날라가지 않을까? 아직 멀었긴 하지만..

Micro OLED 공정

  • 아직까지 공정이나 방식이 픽스되지 않았으나 대체로 5개로 구분되어짐

  • Wafer Fabrication -> anode -> evap -> cf -> moduling(후공정)

  • Wafer Fabrication은 말그대로 DDI와 TFT를 실리콘 웨이퍼 위에 패턴 형식으로 새기는 공정

  • 실리콘 기술이 있는 업체에 외주를 주는방식 채택 전망(소니-> TSMC, LGD-> SK하이닉스)

  • 웨이퍼에 회로가 새겨진 뒤에 디스프레이 업체가 유기소자 증착 및 CF형성

  • anode 공정은 양극과 PDL 증착(회로부와 OLED 소재 연결)

  • 그 이후 OLED 소재 증착 진행

  • 현재 마이크로 OLED 양산 CAPA를 보유하고 있는 업체는 Sony와 BOE

  • MR기기는 애플이 한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신규 어플리케이션은 애플이 흥행시킨 경험이 많음

  • 4Q22에 오큘러스 퀘스트프로 제품 출시 준비(예상 출하량 900~1000만대)

-> 개인적으로 MR이나 VR에 대해 보수적인 입장이다. 시장이 본격적으로 개화되는걸 보고 들어가도 늦지 않을 듯


-> 소재의 증가는 덕산네오룩스가 좋을 듯

-> 2스택텐덤이 본격적으로 자리 잡는다고 하면 증착을 2번해야..? 증착에 들어가는 부품이 있나

-> LCD업체의 재고가 줄어드는걸 보고 LGD를 매수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지 않을까?

-> PI첨단소재는 아이패드 및 노트북에 Flexible OLED가 들어갈지 Rigid OLED가 들어갈지에 따라서 갈릴 듯 아마 Rigid OLED를 쓰지 않을까..?

-> MR이나 AR기기에 대해선 솔직히 잘 모르겠고 2스택 텐덤도 디일렉 기사를 살펴보면 2025년 이후에 적용될 것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 결론적으로 2스택텐덤의 기술보다는 OLED 적용처의 확대가 가장 큰 핵심이지 않을까?

-> 소재주 덕네오, 장비주 아이씨디


※ 제 개인적인 의견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모든 판단과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제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이웃추가 부탁드립니다.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인라밸

파머

콘텐츠 527

팔로워 26

아직 배울게 많은 직장인 투자자 가치투자를 지향하는 인라밸입니다.
댓글 0
0/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