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기

궁금한 종목명/종목코드를 검색해보세요

의견 보내기
의견 보내기
앱 다운
이용 안내

240121 이스트소프트와 매커스 뉴스

by 따봉

2024.01.21 오후 20:15

1. What's next for AI in 2024 (by MIT technology review)

1) Customized chatbots

2) Generative AI’s second wave will be video

3) AI-generated election disinformation will be everywhere

4) Robots that multitask

이와 함께 24년에 주목을 받을 top AI apps으로 많은 미디어에서 Synthesia를 언급하고 있다.

2. 대표님의 1달전 영상

위 기사와 함께 1달전 이소 정상원 형님의 영상

작년까지는 텍스트, 이미지 기반의 AI가 급격히 발달. 이미 상당한 레벨까지 올라왔음

이러한 트렌드가 이제 영상으로 옮겨가면서 영상도 급격하게 발전중

그리고, LLM의 등장 덕분에 AI 휴먼에 "뇌"가 생김

LLM이 없으면 AI 휴먼 시장도 없었을 것

"LLM"이 AI휴먼의 티핑포인트가 될 것으로 보인다.

https://www.youtube.com/watch?v=17KBd7MvGuo

1달전 영상 수준. 정지영상을 동영상으로..

3. 애플 비전프로의 Persona

비전프로가 사전예약을 시작한지 30분만에 매진이 됐다. (30분도.. 예약하기까지 프로세스가 있어서 시간이 걸린 것 같음)

여러가지 기능이 있지만 개인적으로 궁금한 기능 중 하나는 persona

real time으로 얼굴표정, 핸드제스쳐까지 그대로 표현을 한다고 함 (이소 "클론"의 상위(?) 버전)

마소의 teams, 시스코의 webex 등과 연동이 될 예정

삼성도 비슷한 제품을 준비중인거 보면, 향후 애플의 페르소나 기술은 다른 빅테크들의 디바이스에도 연동될 가능성이 높아보임

https://www.apple.com/newsroom/2024/01/apple-vision-pro-available-in-the-us-on-february-2/

애플 뿐만 아니라 다른 빅테크들도 AI영상에 진심이다. 아래는 nVIDIA의 Maxine

nVIDIA도 이 정도의 기술을 가지고 있으면서 Synthesia 지분을 투자한 것을 보면,

Synthesia 가치가 그만큼 있다고 생각이 된다.

https://www.youtube.com/watch?v=3GPNsPMqY8o

구글의 프로젝트 스타라인(project starline)

전용 모니터를 통해 3D로 표현을 해줌

AI는 아니지만, 어쨌든 사람은 이미지/소리보다 영상에 더 많은 가치를 부여하게 된다.

https://www.youtube.com/watch?v=obuyCkotJ_s

물론, 마소도 애저에 연동된 TTS 서비스가 있다.

4. PIM

개인적으로는 CXL보다는 PIM이 좀 더 양산에 가까운 기술인 것 같아 공부중에 있다.

마침 김경민 연구원님도 비슷하게 말씀을 하셨다.

https://www.youtube.com/watch?v=6t5buNyX3ZY

PIM은 메모리에 프로세서를 연결해 메인 CPU/GPU를 거치지 않고 메모리에서 어느 정도의 연산을 스스로 수행하는 것

PIM은 이미 21년부터 상용화 가능한 수준의 솔루션이 나와있는 것으로 보인다.

삼성은 HBM, 닉스는 GDDR6에 프로세스를 연결한 PIM 솔루션을 보유

2개의 FPGA와 16개의 AiM을 연결한 보드

위의 보드를 슬롯 형태로 삽입하면 시스템 아키텍쳐 변경없이 바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

PIM에 연결되는 프로세서는 아직까지는 FPGA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PIM 시장이 커지면 물량베이스로 ASIC이 나오거나 AMD가 제품을 출시할 것 같은데, 아직은 시장 개화단계이기 때문

왠지 올해 PIM 수혜주를 열심히 공부해야 될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우선, 1차원적인 사고로는 매커스..

단순 유통사라고 시장에서는 홀대를 받고 있는데,

FPGA와 같은 반도체 기술지원은 난이도가 높고 관련된 엔지니어의 연봉도 매우 높은 편이다. (작년 기준 평균연봉 1.23억)

그만큼 진입장벽이 높고, AMD에서도 대리점을 아무나 내주지 않는다.

대주주 지분 16%, 자사주 36%..

+ 1.22 추가) 포스팅 하고 하루 뒤에 좋은 영상이 올라와서 추가함

PIM은 이론적으로는 성능, 발열 측면에서 상당히 우수함

그러나, 메인 CPU/GPU 업체에서 메인이 돼서 기술개발을 해야 함

nVIDIA는 이미 GPU+HBM만으로 넘사벽 성능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PIM이 매력적이진 않음.

그러나, nVIDIA에 뒤쳐진 AMD가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PIM이 될 수도 있지 않을까.. (본인들 CPU/GPU + PIMs(FPGA+HBM))

또한, nVIDIA GPU 가격이 너무 비싸서 부담인 클라우드 업체들(마소, 아마존 등)도 관심을 가질만한 솔루션이 아닐까 싶다.

https://www.youtube.com/watch?v=qIcxqmseotg

Disclaimer

  • 당사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콘텐츠에 수록된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서, 당사 및 크리에이터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콘텐츠는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모든 콘텐츠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크리에이터의 의견이 반영되었음을 밝힙니다.

따봉

파머

콘텐츠 370

팔로워 30

따봉입니다.
댓글 0
0/1000